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6-01-27 02:24
[기타] 발해 중앙 군사 조직
 글쓴이 : 두부국
조회 : 2,763  

10위

《신당서》 발해전에는 발해의 군사조직에 대해 '좌우맹분위(左右猛賁衛)·좌우웅위(左右熊衛)·좌우비위(左右羆衛)·남좌우위(南左右衛)·북좌우위(北左右衛)가 있다'고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발해의 중앙 군사 조직을 10위제로 보고 있으나 남좌우위와 북좌우위를 각각 하나로 보아 8위제라고 하는 견해도 있다. 


맹분위, 웅위, 비위가 궁성의 숙위(宿衛)를 담당하고, 남좌우위와 북좌우위가  남위금병(南衛禁兵) 과 북위금병(北衛禁兵)을 관장했을 것으로 추측되는 정도이며 각 위의 구체적인 역할에 대해서는 알 수 없다. 각 위에는 대장군 1명, 장군 1명을 두었다. 10위제는 발해 멸망 때까지 지속되었다.







북우위

발해 중앙군대조직인 10위(衛)의 하나. 

각 위에는 각각 대장군 1명과 장군 1명을 두었다. 장군 밑에는 다시 여러 등급의 무관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북우위의 역할에 대해서는 전하지 않아 자세히 알 수 없다. 다만 10위 가운데 좌우맹분위(左右猛賁衛)·좌우웅위(左右熊衛)·좌우웅아(左右熊衙)가 궁성(宮城)의 숙위를 담당하는 데 대하여, 남북의 좌우위(左右衛)가 각기 남아금병(南衙禁兵)·북아금병(北衙禁兵)을 관장하였을 것이라고 추정한 견해가 있다. 10위와 마찬가지로 북우위도 역시 발해 초기부터 멸망할 때까지 존속한 것으로 보인다.








북좌위

발해 중앙군대조직인 10위(衛)의 하나. 

대장군 1명과 장군 1명을 두었으며, 장군 밑에는 다시 여러 등급의 무관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각 위의 역할이 전하지 않기 때문에 북좌위의 임무가 무엇인지 알 수 없다. 다만 당나라의 제도를 참조하여 남북의 좌우위(左右衛)가 각기 남아금병(南衙禁兵)·북아금병(北衙禁兵)을 관장했을 것이라고 추정한 견해가 있다. 북좌위도 역시 10위와 마찬가지로 발해가 멸망할 때까지 존속하였다고 보인다.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57426&cid=40942&categoryId=31749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04436&cid=40942&categoryId=31748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04475&cid=40942&categoryId=31748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동방불패 16-01-27 02:35
   
해동성국 발해 ㅠㅠ
 
 
Total 3,664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664 [기타] 흉노족에게 납치 당하는 중국녀 (2) 두부국 01-30 4723
3663 [기타] 주류사학 계보 (3) 두부국 01-29 2447
3662 [기타] 별무반 군대조직 두부국 01-28 1861
3661 [기타] '고구려 평양의 진짜 위치 찾기' 연구 활기 (7) 두부국 01-28 4288
3660 [기타] 발해 중앙 군사 조직 (1) 두부국 01-27 2764
3659 [기타] 영원성 전투 (1) 두부국 01-26 2304
3658 [기타] 고려시대에 쓰이던 순수 우리말 (1) 두부국 01-26 3168
3657 [기타] “고려 북서쪽 경계는 만주지역” (9) 두부국 01-26 3799
3656 [기타] 그들이 새로운 활동지로 가생이 선택했나 보군요 (8) 돌개바람 01-25 2162
3655 [기타] 한사군 요동설은 사이비 이론이 아니라 조선 실학중 … (1) 두부국 01-25 2099
3654 [기타] 아래 RaMooh 님 보니깐 (1) 으라랏차 01-25 1552
3653 [기타] 책사풍후 아프리카tv 진출 (7) 두부국 01-25 4470
3652 [기타] 저 아래 쭝궈런이 하는 소리가 헛소리인 이유.. (11) Centurion 01-25 3050
3651 [기타] 중국 역사서에 나타난 고구려의 영토 (7) 두부국 01-25 4311
3650 [기타] 올곧은 붓과 엄정한 시각으로 '고조선의 모든 것&… (1) 두부국 01-22 1641
3649 [기타] 폭풍같았던 칭기즈칸의 기마군단…몽골은 또다른 한… (15) 두부국 01-20 5653
3648 [기타] 실증사학의 문제점 (3) 두부국 01-19 1780
3647 [기타] 몽골노래입니다 (4) 두부국 01-16 2140
3646 [기타] 우리말 '단군'과 터키어 '탱그리(Tengri, 하… (8) 두부국 01-16 3948
3645 [기타] 김운회의 新고대사: 단군을 넘어 고조선을 넘어 두부국 01-16 2520
3644 [기타] 정묘호란과 병자호란 (8) 두부국 01-16 2109
3643 [기타] 천년제국 부여 (8) 두부국 01-15 3861
3642 [기타] 알타이어 노래 (1) 전쟁망치 01-13 1867
3641 [기타] 만주족 노래 하나더 (3) 호랭이해 01-13 1910
3640 [기타] 만주족 노래라네요 (6) 두부국 01-13 3712
3639 [기타] 일뽕러들 (10) 야차 01-12 1618
3638 [기타] 태조 이성계와 고구려 천문도 (3) 두부국 01-12 2019
 1  2  3  4  5  6  7  8  9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