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21-04-09 22:37
[한국사] 라. 우리말 ‘해(日)’의 고대 소리값(音價) 재구(再構) (2)
 글쓴이 : 감방친구
조회 : 1,213  

금(金)과 예(濊), 진(辰)의 의미망(意味網) 검토



라. 우리말 ‘해(日)’의 고대 소리값(音價) 재구(再構) (2)


그런데 계림유사(鷄林類事)에는 반절(反切)로써 그 소리값을 부연하여 교정한 어휘가 “日曰契(黒隘切)” 외에도 5 개가 더 존재한다.

순서

발췌

한자

음차자

반절

현대 한국어

日曰契(黒隘切)

黒隘切

三曰洒(厮乃切)

 

# 당송음은 [/]에 가깝다

厮乃切

栗曰監(銷檻切)

鋪檻切

 

*로 교감

 

虎曰監(蒲南切)

蒲南切

魚曰水脱(剔恙切)

水脱

수탈/수태

剔恙切

물고기

士曰進(寺儘切)

/

寺儘切

선비


이 가운데에서 그 재구하기가 역부족인 ⑤를 제하고 보면, ②와 ⑥은 반절(反切)로써 그 소리값을 교정한 것이 분명한데 ③과 ④는 음차자와 반절의 소리값이 전혀 다르다. 따라서 앞에서 ① “日曰契(黒隘切)”에 대해서, [개]에 가까운 [해]로 분석하여 黒隘切은 契의 소리값을 부연함으로써 교정한 것이다 한 추정은 재고할 필요가 있다. 

우선 ④ 虎曰監(蒲南切)을 보면, 음차자는 監(감)으로, 당송음 역시 /kam/이다. 반면에 이를 반절로써 교정한 蒲南切(포남절)은 현대음으로 [팜]으로, 당송음 역시 /bam/, 또는 /pam/이다. /k/과 /p/은 전혀 연접성이나 친연성이 없는 음가(音價)이다. 즉 “監”과 “蒲南切”은 호랑이(虎)를 뜻하고 가리키는, 우리말 이음동의어를 같이 채록하여 적은 것으로 봐야 한다. 지금은 호랑이를 감, 또는 검, 또는 ᄀᆞᆷ 등으로 부르지 않지만 평북 방언으로 ‘대가름’이라 하였으며, 호랑의 새끼, 즉 범의 새기를 ‘개호주’라 하고, 이 방언형으로 ‘갈가지’, ‘개오지’ 등이 있는 것에서 호랑이를 가리키는 말로서 ‘범/ᄇᆞᆷ’ 외에 ‘ᄀᆞ’ 계열의 말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③의 栗曰監(鋪檻切)을 보면, 음차자는 監(감)으로, 당송음 역시 /kam/이다. 반면에 이를 반절로써 교정한 鋪檻切(포함절)은 현대음으로 [팜]으로, 당송음 역시 /bam/, 또는 /pam/이다. ④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k/과 /p/은 전혀 연접성이나 친연성이 없는 음가(音價)이다. 그런데 栗(율)은 ‘밤’이라는 뜻 외에 ‘단단하다’라는 뜻을 지니고 있다. 여기에서 채록자인 손목이 채록과정에서 감(柹)을 밤과 혼동하여 이음동의어로서 함께 나란히 적었을 정황이 포착된다. 이러한 정황은 ⑤에서 “魚曰水脱”하여 물고기(魚)를 水脱(수달)이라고 적은 예에서 분명해진다.

따라서 《계림유사(鷄林類事)》에 나타난 우리말 ‘해(日)’의 소리값(音價)은 다음 두 가지로 결론지을 수 있다.

첫째, “黒隘切”에서 黒의 소리값은 /hək/이 아니라 /xək/이며, 계림유사(鷄林類事)에서 “日曰契”이라 적고 그 뒤에 “黒隘切”하여 契의 소리값을 부연한 까닭은 契의 두 가지 소리값 /s/과 /kʰ/ 가운데에서 /kʰ/를 강조하기 위한 것으로 그 재구값은 [해]보다는 [개]에 가까웠을 것이다. 

둘째, 다른 사례로써 교차하여 본 바대로 “日曰契(黒隘切)”은 하나의 단어, 하나의 소리값을 채록하여 적은 것이 아니며 해(日)를 뜻하는 이음동의어인 ‘契(계)’와 ‘黒隘切(해)’를 나란히 적은 것이다. ‘해’는 오늘날 ‘해’로 그대로 남아있으며 ‘ᄀᆞ’ 계열의 말은 오늘날 ‘빛깔’의 ‘깔’, “날이 개다”할 적의 ‘개다’에서 ‘개’로 그 흔적이 남아있음이 관찰된다. 그런데 지난날 고대의 사회에서 해(日)가 왕권과 존엄을 상징하였던 바 ‘ᄀᆞ’의 그 계통성을 그러한 뜻을 지니고 쓰인 다른 말의 사례에서 찾아볼 수 있다고 보는 바이다.





_______________________

ⓒ 무쿠리(mvkuri)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Total 117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17 [한국사] 2. 고조선 제국과 고대 요동 끝판 정리 (8) 아비바스 04-25 940
116 [기타] 인도 타밀 유물중 관심을끄는것, 토기방울,거대 항아… 조지아나 07-12 1124
115 [기타] 단군 설화 해설 (5) 관심병자 06-11 1898
114 [한국사] 흉노영토와 북부여 영토(북부여의 다른이름인 동호… (2) 수구리 01-11 2169
113 [세계사] 열도 호빗의 배 마루(丸)와 기도하는 손...합장 (3) 나기 11-25 1315
112 [기타] 백제 마지막 도읍 사비성은 어디였을까 (12) 관심병자 08-16 1270
111 [한국사] 한韓(마한, 진한, 변진)은 산동성과 강소성이었다(삼… (2) 수구리 08-15 1087
110 [한국사] 전한시대의 흉노영토와 고조선 영토 2/2 (동호를 지웠… 수구리 08-13 781
109 [한국사] 왜국倭國은 절강성과 대만이었다(삼국지 위서동이전… (10) 수구리 08-09 1094
108 [한국사] 가야, 임나, 일본 어원 분석결과: 부여와 관련된 명칭… (4) 보리스진 07-29 878
107 [한국사] 만주와 한반도 후기 구석기시대 년대기 2. 기후와 지… 지누짱 05-27 1259
106 [기타] 한강문명설 , 하버드대 - 우랄알타이어 기원 한국어 … (8) 조지아나 05-05 2719
105 [기타] 신라화랑이 얼굴 희게 분장한것이.. 인도 타밀 전통… (9) 조지아나 04-13 2567
104 [한국사] 라. 우리말 ‘해(日)’의 고대 소리값(音價) 재구(再… 감방친구 04-09 1214
103 [세계사] 주몽이 아니라 주몽 (6) 잡은물고기 03-21 1173
102 [기타] 한국정부 일본이 강탈해간 고문서,역사서 반환 요구… (9) 조지아나 03-09 2108
101 [한국사] 중국 래이來夷 족은 어느나라 쪽 사람인가요??? (9) 갓등 03-06 1386
100 [기타] [심층분석] 허황옥과 가야사 (ft. 신나라와 한나라 ) (3) 조지아나 02-18 1055
99 [한국사] 허황옥 이야기가 핫한듯 하여 잠깐 숟가락 얹어 봅니… (2) 일서박사 01-16 1081
98 [기타] [ENG, KOR] 타밀인들의 가야사 허황후 해석 (인도에 … (2) 조지아나 01-15 1433
97 [한국사] 김치중국전통 음식? 사천성_ 가야사 허황후가 태어… (13) 조지아나 01-12 1430
96 [한국사] 대한민국은 역사 내전 중인가? (3) 보리스진 11-13 1024
95 [한국사] 진나라 이후 동이족은 고대 동이족과 관련이 있습니… (26) 예왕지인 10-11 1321
94 [한국사] 허황옥과 왜의 이동경로 (2) 밑져야본전 08-28 1144
93 [북한] 김일성 없는 북한이 무너지지 않은 이유는 그 놈의 … 돌통 07-29 1016
92 [한국사] 잘몰랐던 사실 / 선조 임진왜란 대비를 철저히 했다 (3) 러키가이 04-12 1381
91 [한국사] 발해의 십자가 유물ㅡ 개방과 공존의 상징이였다 (8) mymiky 01-17 3160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