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7-06-16 19:48
[한국사] 대한제국 경제가 그리 만만한 경제가 아니었음.
 글쓴이 : 솔루나
조회 : 2,141  

1905년부터 1920년까지는 일본 자본의 진출과 한국 경제의 식민지화가 강력히 추진되었다. 따라서 한구겡 침투한 일본 자본은 한국 경제의 성장 요인이라기보다 위축 요인으로 작용했다. 그러나 조선 말기와 대한제국기의 한국 경제는 자력 발전과 개항 및 대외무역의 일반적 영향과 자극으로 일제 자본의 수탈과 방해를 뚫고 아무튼 계속 성장한 것으로 보인다.

오랜 세월 OECD 경제 통계의 책임을 맡았던 매디슨이 2012년 산출한 아시아 각국의 1인당 GDP 통계를 보면, 조선경제는 늦어도 개항 훨씬 전인 1869년에 이전에 저점을 통과했고, 1911년 통계치를 주시하면, 고종시대 전반에 걸쳐 고도성장이 진행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잇다. 이 통계에 의하면 조선은 1820년 1인당 국민소득 600달러로 중국과 공동으로 동아시아 3위 국가였으나 늦어도 1869년 이전에 저점을 통과하여 1870년 604달러로 반등하기 시작했고, 이후 40년 동안 연평균 약 5.3달러씩 매년 고도성장을 거듭하여 1911년 815달러에 달해 일본, 필리핀, 인도네이사에 이어 아시아 4위 국가가 되었다. 1911년 통계는 1910년 통계이므로 대한제국의 성과로 봐야한다.

https://books.google.co.kr/books?id=6Qe3DgAAQBAJ&pg=PA145&lpg=PA145&dq=%EB%8C%80%ED%95%9C%EC%A0%9C%EA%B5%AD+%EA%B2%BD%EC%A0%9C&source=bl&ots=ob26OQyafp&sig=3hYA9593MKhi-A6QlFGh6_3e2Mc&hl=ko&sa=X&ved=0ahUKEwiy357vl8DUAhUDvrwKHZBjBt0Q6AEIbDAR#v=onepage&q=%EB%8C%80%ED%95%9C%EC%A0%9C%EA%B5%AD%20%EA%B2%BD%EC%A0%9C&f=false


개혁 정책과 근대화로 대한제국은 우리가 알던 것과 달리 일제의 방해에도 불구하고 고도 성장을 하던 나라였음. 이 때의 한국의 경제와 독립후 경제를 비교하면 일본의 경영이 얼마나 저질이었는지 알 수 있음.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Marauder 17-06-16 20:01
   
이전에 다른분이 올린글에서도 알 수 있는데 경제적인 부분은 충분했고 외세와 관리나 지도층들이 문제였죠. 다만 산업화 도시화되려면 결국 농촌의 희생이 뒷받침 되야하는데 일본은 자국도시화에 그 배후지로 조선을 선택해 등골을 쭉쭉 빨아먹었죠.
호갱 17-06-16 20:07
   
일본은 지들 산업화 성공할려고
우리나라 식량기지만들려고 쌀농사몰빵책해서 한반도 발전에 관심도 없던 나라입니다.
jungjisa 17-06-16 22:19
   
어쩌니 저쩌니 해도, 애초에 식민지가 되지 말았어야..
     
솔루나 17-06-17 01:29
   
그건 정치외교의 문제...
바토 17-06-16 22:36
   
그런 나라에서 왜 민란이 일어났지?
     
TheCosm.. 17-06-16 23:14
   
현대의 사례에 빗대어 표현하기는 부적절한 부분이 있으나, 일치하는 부분도 있어서 언급하여 본다면. 동남아나 인도, 중국 등의 예시처럼 국가의 성장률은 높게 나오더라도 그것과 비례하여 내정이 잘 이루어질 것이라는 보장은 없습니다.

특히, 부정부패를 기본 베이스로 하여 체계적이지 못하고 비효율, 비능률적인 국가 시스템은 백성들로 하여금 그 고통만 심화시킬 뿐 타당한 해결책이나 대안을 내놓는 것도 아닙니다. 현대의 일부 국가들도 이러한 문제점들로 인해 빈부격차와 지역 갈등 등의 온갖 사회문제를 마주하고 있는데.

과거 근대 시기의 국가라면 상황은 이보다 더 심각했기에, 민란과 같은 극단적인 형태도 마다하지 않을 수밖에 없었을 것입니다.
     
솔루나 17-06-17 01:29
   
대한민국 8-90년대는 한국의 대표적인 고도 성장기인데 왜 데모가 일어났죠?
     
그노스 17-06-17 02:03
   
Bruce Cumings 의 A Modern History 를 보시면 이 당시의 조선은 농경관료체제가 고도로 발달해서 완성된 상태로 있었고,

통감부의 이토 히로부미가 한국 사법제도를 개혁한다는 명분으로 일본인의 한국 토지 소유를 합법화 시키기 위해 법학자인 우메 겐지로를 한국 정부 법 최고고문으로 불러들였는데, 그의 보고서에서조차 조선에서 수백 년 전부터 인민들의 토지소유권이 인정되어 왔다는 것을 부정할 수 없다는 말이 나옵니다.

반면에 Robert C. Allen 의 Global Economic History 를 보시면 일본은 메이지 유신 이후에야 농민들에게 실질적인 토지소유권이 인정되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그 와중에도 에도시대 동안 부락에서 공동으로 운용하던 토지마저 메이지 정부가 모두 빼앗아 버렸기 때문에 일본 농민들이 실제로 이용할 수 있는 토지는 구시대보다 더 적어졌다고 합니다.

즉 일본의 경우에도 민란인 잇키가 빈번해졌지만, 조선처럼 정치적 부패에 저항한 민란•농민혁명을 말할 수는 없고, 근대적인 개혁 이전의 일본 농민들에게 기본적인 권리 자체가 없었다고 보는 것이 옳지 않나 합니다.
Banff 17-06-17 00:14
   
한국의 GDP가 nominal로 $600 되는때가 1975년즈음이에요. 그래서 1820년에 $600이라는 얘기는 아마 inflation이나 물가비교로 대충 계산하고, PPP로 계산한듯 하네요. 공식 통계가 없었는데 1800년대 gdp 계산을 가정을 많이 넣고 했을듯하고.  절대수치는 의미없고, 그냥 trend만 대략 판단하면 될듯.  하지만 책은 재밌어보여요.
     
Marauder 17-06-17 08:34
   
저도 어떤 블로그에서 봤는데 1900년대가 1달러 2달러 수준... 그걸 믿지는 않는게 보통 당시 수입은 쌀로 계산하는 편이고 결국 쌀생산량에서 국제달러가격으로 직환산하기 때문에 인플레가 상관없음. 그래도 너무 높다고는 생각되긴하네요.
전쟁망치 17-06-17 03:20
   
흥미롭군요
 
 
Total 31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1 [한국사] 고려왕조 의장기 조선왕조 왕가 의장기, 대한제국 독… (1) 고이왕 03-01 4464
30 [한국사] 대한제국 군대해산과 박승환 (40) 꼬꼬동아리 07-02 3555
29 [한국사] 대한제국군의 마지막 전투 (8) 레스토랑스 10-07 3418
28 [한국사] 한국인보다 한국을 더 사랑한 이방인 "헐버트"[대한… (6) 히스토리2 05-04 3282
27 [한국사] 대한제국의 CIA "제국 익문사" (6) history2 03-30 2815
26 [한국사] 왜 일제는 대한제국을 조선으로 변경했을까? (6) 히든카드3 11-10 2755
25 [한국사] 대한제국의 마지막 궁궐 (평양의 풍경궁) (1) 히스토리2 05-29 2623
24 [한국사] 대한제국의 제식장비 국산화 노력들 (13) 인류제국 09-10 2511
23 [한국사] 대한제국 경제가 그리 만만한 경제가 아니었음. (11) 솔루나 06-16 2142
22 [한국사]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후 에밀리 브라운에 대해 아십… history2 04-08 2067
21 [한국사] 대한제국 유물 (4) 쿤신햄돌 07-01 2057
20 [기타] 대한제국 망국의 사견 (10) 관심병자 09-06 2008
19 [한국사] 청과 대한제국의 무력충돌 (3) 인류제국 09-04 1982
18 [기타] [대한제국 120주년] 다시 쓰는 근대사 <12> 비상계… 관심병자 01-09 1966
17 [한국사] 한국 안의 일본인 (제14장 부분)-대한제국멸망사에 기… (6) 솔루나 06-20 1946
16 [한국사] 대한제국은 무기력하게 망하지 않았다 (5) 국산아몬드 08-13 1861
15 [한국사] 대한제국 국새 인류제국 03-21 1767
14 [한국사] 대한제국은 아시아 2위의 경제대국”, 새로 쓴 한… (9) 진주만 02-28 1737
13 [한국사] 대한제국 시 왕 호칭 질문요. (2) 솔루나 05-15 1704
12 [한국사] H.B.헐버트가 쓴 대한제국멸망사를 읽으면서 느끼는 … (4) 솔루나 06-20 1659
11 [기타] 대한제국 애국가 관심병자 12-02 1641
10 [한국사] 미국인이 본 미국이 대한제국에 취했던 태도 솔루나 06-25 1496
9 [한국사] 나름대로 저력이 있던 1900년 기준 대한제국의 GDP 고이왕 04-13 1463
8 [한국사] 1900년 대한제국 1인당 GDP 815달러, 아시아 2위, 서유럽 … 국산아몬드 10-03 1424
7 [북한] (제 1편) 대한제국의 일본육사 출신 김경천 (김현충=… 돌통 08-15 1271
6 [기타] 대한제국의 황제 고종의 삶 관심병자 08-16 1270
5 [한국사] 대한제국의 군사조직 정비 및 운영 체계 인류제국 07-23 1214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