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8-01-10 15:33
[한국사] 누구의 눈으로 역사를 보는가에따라 시야가 달라진다.
 글쓴이 : 스리랑
조회 : 937  



이덕일소장님 글 요약 


역사관은 그 종류가 많아 보이지만 크게 나누면 둘이다. 나의 눈으로 보는 역사관과 남의 눈으로 보는 역사관이 그것이다. 누구의 눈으로 보느냐에 따라 그 의미가 크게 달라진다. 팔레스타인을 유대인의 시각으로 보느냐, 아니면 아랍인의 시각으로 보느냐에 따라서 크게 달라지는 것이다.

역사를 보는 관점이 얼마나 중요한지는 이규보(李奎報·1168~1241)와 김부식(金富軾·1075~1151)의 눈을 통해 잘 알 수 있다. 둘 다 고려인이고, 유학자였다. 김부식은 ‘삼국사기’(三國史記)를 남겼고, 이규보는 ‘동명왕편’(東明王篇)을 남겼는데, 김부식은 유학자의 관점으로 ‘삼국사기’를 썼다.


공자가 ‘춘추’(春秋)에서 천명한 역사관이 유학의 역사관이다. 공자는 주(周)나라를 임금의 나라로 보고 나머지는 신하의 나라인 제후국이나 오랑캐로 보는 역사서술이다. 여기에서 중국 한족(漢族)을 세계의 중심으로 보는 중화(中華) 춘추사관이 나왔다.

그런데 김부식·이규보처럼 몸은 한족(漢族)이 아니지만 유학자의 시각으로 역사를 보는 경우이다. 이족(夷族)의 몸에 한족(漢族)의 눈을 가진 유학자들이 탄생한 것이다. 김부식은 사마천의 ‘사기’를 본뜬 기전체(紀傳體)로 ‘삼국사기’를 썼는데, 기전체가 바로 춘추필법의 역사서다.




황제의 사적인 ‘본기’(本紀), 제후의 사적인 ‘세가’(世家), 신하의 사적인 ‘열전’(列傳) 등으로 나누어 쓰는데 이민족의 역사는 열전에 서술하기 때문이다. 김부식은 ‘삼국사기’에서 고구려,백제,신라, 삼국 임금들의 사적을 ‘본기’(本紀)라고 불렀지만 실제 내용은 제후들의 사적인 ‘세가’(世家)에 준해 편찬했다.


이규보도 공자의 제자를 자처한 유학자였다. 이규보는 고구려 시조 추모왕의 이야기를 담은 ‘동명왕편’을 썼다. 공자는 “괴력난신(괴이한 것과 용력과 패란과 귀신)에 관한 것은 말하지 않았다(논어 ‘술이(述而)’)”라고 말했는데, 이를 따라 이규보는 “동명왕의 이야기는 실로 황당하고 기괴한 이야기라서 우리들(유학자들)이 이야기할 바가 아니다”라고 믿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러던 이규보는 명종 23년(1193) ‘구삼국사’(舊三國史)를 읽어 보게 되었다.


지금은 전해지지 않는 ‘구삼국사’는 “(동명성왕의) 신이한 사적이 세상에서 말하는 것보다 더해서 처음에는 믿지 못하고 귀(鬼·도깨비)나 환(幻·허깨비)의 이야기로 생각”했다. 그러나 이규보는 “세 번을 반복해서 탐미해 점점 그 근원에 들어가니, 그제야 고구려 시조사를 바라보는 역사의 눈이 달라졌다는 뜻이다. 그러자 도깨비, 허깨비의 이야기가 아니라 거룩한 사적이고 신령한 이야기로 보였다는 것이다. 그래서 ‘동명왕편’을 썼다는 것이다. 이규보는 김부식이 ‘삼국사기’에서 이런 내용들을 빼놓은 것을 비평했다.




유학자의 눈에는 중국 개국군주들의 사적만 성인(聖人)의 사적이었는데, 고구려인의 눈으로 보자 동명왕의 이야기도 나라를 개창한 성인의 사적으로 보인 것이다. 사마천은 ‘사기’, ‘고조 본기’에서 한 고조 유방(劉邦)의 모친 유온(劉?)이 대택(大澤) 언덕에서 잠잘 때 꿈에 신을 만났고, 교룡(蛟龍)이 그 몸 위에 올라와 유방을 낳았으며, 적제(赤帝)의 아들이라고 썼다. 유방 부모의 신분이 낮은 것을 감추려 한 것이다.


또 유방이 있는 곳의 하늘에는 늘 운기(雲氣)가 서려 있었다는 등의 황탄한 이야기를 잔뜩 써 놓았지만 중국의 역대 주석가들은 그 의미를 분석하고 덧붙였지 황탄하다고 비판하지 않았다. 유독 우리나라 학자들만 자국사에 가혹한 잣대를 들이대 깎아내리는데 그 근본 이유가 남의 시각으로 우리 역사를 바라보기 때문이다.


바로 이 때문에 이 나라는 역사학자들과 역사에 관심이 있는 일반 국민들 사이의 괴리가 전 세계에서 가장 큰 나라가 되었다. 때로는 중국인의 시각으로, 때로는 일본인의 시각으로 우리 역사를 본다.


모두 자국사를 환(幻)과 귀(鬼)로 보는 것이다. 그러니 국조(國祖) 단군(檀君)의 사적을 신화라고 깎아내리기 바쁘다. 우리 사회가 중심이 없고 혼란스러운 가장 큰 이유는 역사관이 바로 서지 못했기 때문이다. 신체는 세계 10위권 경제로 성장했지만 정신은 유아 수준을 벗어나지 못했다. 이제 성(聖)과 신(神)의 역사관으로 나 자신을 찾을 때가 되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아스카라스 18-01-10 20:29
   
무엇하나 토씨하나도 틀린 게 없는 글이네요
가난한서민 18-01-11 02:40
   
제목부터 잘 지었다 샹각했는데 높은 식견을 가진 교수님의 좋은 말씀입니다.
 
 
Total 5,29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269 [한국사] 임진왜란때 명군이 아무런 활약도 (48) yj12 01-21 3605
2268 [한국사] 도종환 장관...사학 개혁 의지가 있는지... (4) 북창 01-21 1664
2267 [한국사] 와...이거 뭔가요? (2) 북창 01-21 1168
2266 [한국사] 번역요청같은건 할수없으려나요 이강의가 흥미로워… (6) 개념의경 01-21 831
2265 [한국사] "중국 랴오닝서 신석기 훙산문화 유적 무더기 발견" (1) 월하정인 01-20 2216
2264 [한국사] 신라는 나당연합까지 철강으로 버틴건가요? (10) 아스카라스 01-20 1838
2263 [한국사] 고구려어 = 일본어를 퍼뜨리는 일본 공작원(펌) (14) 고이왕 01-19 3903
2262 [한국사] 고령 고분군서 6세기 대가야 대외교류 짐작 ‘유물 … (4) BTSv 01-18 2212
2261 [한국사] 우리나라 가야 신라권 갑옷 사진 모음 (3) 고이왕 01-17 2845
2260 [한국사] 백제의 코끼리는 어디서 왔을까? (1) 신수무량 01-17 1884
2259 [한국사] 조선족, 고구려와 관련 없어”… 中 박물관, 버젓이 … (1) 고이왕 01-17 1644
2258 [한국사] 신채호와 민족주의 (잡설) (28) 꼬마러브 01-17 1257
2257 [한국사] 고구려 역사상 최악의 군주는 누구일까요? (8) 여름비 01-15 3236
2256 [한국사] 다문화 문제의 기원 (28) 감방친구 01-14 2091
2255 [한국사] 민족주의자가 본 민족주의에 대한 담론 (3) profe 01-13 875
2254 [한국사] 광개토 태왕 비문 영상을 보고 (5) 스파게티 01-13 1048
2253 [한국사] 민족주의를 비판하는 사람들 (11) 스리랑 01-13 1205
2252 [한국사] 한국어를 다른 언어와 독립된 언어로 보아야 하나요? (4) BTSv 01-13 1325
2251 [한국사] 광개토 태왕비 이야기인대 (9) 스파게티 01-13 1353
2250 [한국사] 그동안 우리의 뇌리속에 잘못입력된 고구려,백제,신… (8) 스리랑 01-11 4114
2249 [한국사] 요수,요하 고지도 (1) 도배시러 01-11 2204
2248 [한국사] 고려군 주축이 중무장보병이었다는데 맞나요? (10) 툴카스 01-10 2710
2247 [한국사] 누구의 눈으로 역사를 보는가에따라 시야가 달라진… (2) 스리랑 01-10 938
2246 [한국사] 일본놈들이 조선의 전적을 골고루 가져갔네요. (8) 케이비 01-10 2609
2245 [한국사] 여몽전쟁에 대한 저의 잡설 (6) 빨리문좀 01-09 1709
2244 [한국사] 광개토대왕시절 토욕혼을 공격했다는게 사실인가요? (8) 탈레스 01-09 2146
2243 [한국사] 여몽 전쟁에서 무신 정권이 비난받는 이유와 반론 (9) 국산아몬드 01-07 2370
 <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