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7-12-13 07:36
[한국사] 장보고란 이름의 뜻
 글쓴이 : 타이치맨
조회 : 2,024  

장보고는 활을

『삼국유사』에서는 권2 기이2 신무대왕 염장 궁파조에서 장보고과 관련된 기록이 전하며, 『삼국사기』권10 신라본기10 흥덕왕 3년(828)조와 같은 책 권44 열전4 장보고(張保皐)·정년(鄭年)조에서 관련 기록이 전한다. 『삼국유사』 권2 기이2 신무대왕 염장 궁파조에는 궁파(弓巴)라고 하였으며, 『삼국사기』 권10 신라본기10 흥덕왕 3년(828)조에 의하면 성은 장씨이고 궁복(弓福)이라고도 하였다. 그리고 『신당서(新唐書)』 열전 권220 열전145 동이 신라조에는 장보고(張保皐), 일본측 기록인 『속일본후기』, 『입당구법순례행기』에는 장보고(張寶高)라고 하였다.

이렇게 사서에 따라 장보고의 이름은 궁복, 궁파, 장보고(張保皐) 혹은 장보고(張寶高)로 기록되어 있다. 그의 이름은 본래 궁복(弓福) 혹은 궁파(弓巴)로 성이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 이름 중 복(福)과 파(巴)는 신라계 이름에서 아이를 뜻하는 “보”의 차음표기로 볼 수 있다고 한다. 이렇게 본다면 이름의 의미는 “활보” 즉 활 잘 쏘는 아이의 뜻으로 볼 수 있다고 한다.(노태돈, 1978)

그런데 『삼국사기』의 세주와 중국측 기록, 일본측 기록을 보면 그의 이름이 장보고(張保皐) 혹은 장보고(張寶高)로 나타난다. 이것은 그가 중국에 들어가 궁복의 궁(弓)과 비슷한 장(張)으로 성을 삼고 복(福)자를 음이 비슷한 2자로 나누어 보고(保皐) 혹은 보고(寶高)라고 하여 이름으로 삼았던 것으로 볼 수 있다.(今西龍, 1933) 특히 일본측 사료에서만 보이는 보고(寶高)라는 이름은 장보고(張保皐)의 동음이자 표기로서 그가 해상으로 부를 축적한 후에 스스로를 격상(格上)하는 의미에서 개명하였던 것이며, 이는 그의 이전 행적을 알지 못하는 일본에만 그 최후 성명이 전한 것으로 보기도 한다.(김광수, 1985)

- '문화콘텐츠 닷컴'에서 -


어릴 때 이름을 한자로 ‘궁복, 궁파’로 다르게 기록하고 있다. ‘궁’은 ‘활’에 해당하는 말을 훈으로 차자한 것이며, ‘복, 파’는 우리말 인칭접미사 ‘-보’를 음차하여 표기한 것이다.

장보고의 신분이 낮아서 성이 없었다고 한다. 그래서 그 딸을 왕비로 삼고자 할 때 대신들이 신분의 천함을 들어 반대하였다. 출세한 후에 張씨 성을 붙였는데, 아마도 활을 뜻하는 弓자가 들어간 성을 일부러 골랐을 것으로 보인다.

통상적으로 이름에 쓰인 ‘福’에서 받침 ‘ㄱ’은 묵음으로 본다. ‘巴’는 고대 시기에는 그 음이 ‘보’에 가까웠다.

또한 인칭접미사에 해당하는 ‘-보’를 ‘보고’로 개명하였다. 그냥 외자가 싫어서 뜻이 좋은 두 글자 이름으로 한 것일 수도 있다.

그러나 ‘복’의 받침이 단순히 묵음이 아닐 수도 있다. 미세하나마 그 이전에는 인칭대명사 ‘-보’가 두 글자로 뒤에 /kV/에 해당하는 음이 있었는데 소실되면서 미세하게 받침 /ㄱ/이 남아 있어서 ‘복’자를 사용할 수도 있었을 것이다. 그렇다면 미세한 받침을 무시하면 그냥 ‘巴’로 전사하기도 했을 것이다.

‘보고’라는 이름이 ‘福’의 미세한 받침소리를 반영하여 개명한 이름일 수도 있다.

이 시기에 이렇게 받침이 있는 한자로 받침 없는 우리말을 전사한 사례가 종종 나타난다. 그때마다 저 소리가 반드시 받침이 없다고 단정할 수 있을까 의심이 든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야차 17-12-13 19:30
   
삼국시대나 통일신라시대에는 한자를 음차했기에 순우리말 방식대로 읽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고려시대나 조선시대야 많은 사람들이 중국식 이름을 사용했지만요
혁거세는 밝은누리, 밝은내 이렇게 궁복은 활보 이런식으로요
바카스 17-12-13 21:42
   
해신
 
 
Total 5,295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163 [한국사] 오골성(烏骨城)의 위치와 고구려 (12) 감방친구 12-14 2797
2162 [한국사] 음운학, 임나가라의 가라 질문 (36) 도배시러 12-14 1318
2161 [한국사] 정치게시물 상습등록 잠금, 블럭 (16) 의로운자 12-14 980
2160 [한국사] 정치게시물 잠금 (10) 의로운자 12-14 412
2159 [한국사] 고구려 기년법(펌) 고이왕 12-14 871
2158 [한국사] '모기'의 신라말 타이치맨 12-14 1266
2157 [한국사] 이 사람 누구인가요? (3) 엄빠주의 12-13 1221
2156 [한국사] 삼국시대 관련 질문인데요 (25) 남해 12-13 882
2155 [한국사] 장보고란 이름의 뜻 (2) 타이치맨 12-13 2025
2154 [한국사] 고대국어에 대해 이해가 없기 때문에 나타나는 헛소… (8) 타이치맨 12-12 1563
2153 [한국사] 고대국어의 닿소리 (2) 타이치맨 12-12 1322
2152 [한국사] 산동반도 등주에서 고구려 가는 코스 고찰 (28) 감방친구 12-12 3569
2151 [한국사] 위치 비정의 중요성과 그 어려움 (45) 감방친구 12-11 3038
2150 [한국사] 한국어의 계통 (41) 타이치맨 12-11 3207
2149 [한국사] 사마천의 조선열전과 사군 (4) 도배시러 12-11 2013
2148 [한국사] 일본과 한국의 차이에 대한 개인적 고민. (5) 필라델피아 12-09 2642
2147 [한국사] 칙령 41호로 본 우리땅 독도. (46) 닥터그리어 12-09 2631
2146 [한국사] [가설1] 우리 민족의 기층 종족 (14) 윈도우폰 12-09 2322
2145 [한국사] [가설2] 우리 민족 최초의 국가 (3) 윈도우폰 12-09 1621
2144 [한국사] [가설3] 단군조선 (5) 윈도우폰 12-09 1228
2143 [한국사] [가설4] 고죽국과 기자조선 (3) 윈도우폰 12-09 1345
2142 [한국사] [가설5] 위만조선과 민족대이동 (3) 윈도우폰 12-09 1759
2141 [한국사] [가설6] 열국시대 (3) 윈도우폰 12-09 1637
2140 [한국사] [가설7] 한사군과 졸본부여, 백제 (11) 윈도우폰 12-09 1991
2139 [한국사] [가설8] 부여계 중심의 고대국가의 형성 (7) 윈도우폰 12-09 1499
2138 [한국사] 경성안내 (3) 엄빠주의 12-07 1003
2137 [한국사] 모용선비의 도읍 변천 (3) 감방친구 12-07 1691
 <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