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7-12-06 09:40
[한국사] 질문 : 한국사를 좀 깊이 공부해 보고 싶습니당
 글쓴이 : ChocoFactory
조회 : 1,180  

안녕하세요 ^^
한국사를 좀 깊이 공부해 보고 싶습니다.
시험을 보거나 하는 계획은 아직 없고 

몇년전부터 국사좀 제대로 공부해 보자 생각했었는데 여의치가 못했어요 
그래서 좀 부끄럽기도 해요 ㅠ.ㅜ

국사 인지도는, 고등학교 졸업한 정도의 인지 수준정도라고 보고
더 깊이 좀 공부해 보려면 어떤 책이나 영상 같은거를 좀 공부해야 할까요?
어떤 부분이라도 좋으니까, 참고 될만한 방법을 좀 알려주세요 

(포탈에 질문을 올리니까 웬 시험대비 책장사들이 그렇게 많이 달려 드는지... )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mymiky 17-12-06 11:06
   
이왕 깊이 하실꺼라면 한국사 자격증에 도전하세요..
요새 초딩부터 일반인까지 도전해서 쉽게 나와요.
처음 나왔을때는 진짜 어려워서, 1등급은 거의 전공자 수준의 시험이였는데,
요새는 수준이 많이 낮아졌음.

어떤 책이 좋냐면 범위가 너무 추상적인데요;;
서점에 역사코너 가시면, 다양한 책들이 잘 나와 있습니다.

그쪽에서 님이 좋아하고, 관심이 있는 시대부터 살펴보셔도 좋고,
무난하게 조선시대부터 보셔도 되고, 최근의 근현대사 보셔도 좋고.

윤홍준의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 시리즈로 시작하셔도 좋습니다.
저는, 아버지가 보시던 이 책으로 역사공부를 많이 했습니다.
우리나라 문화재에 대해 어느정도 지식도 쌓을수 있었고요.

이 시리즈, 전국편도 있지만, 그외에도 북한편도 있고 일본편도 있고, 그래요.

이책저책 다양하게 틈틈히 많이 읽어보세요.
그래야 자기 취향이란 것도 생기죠.

저자들 중에서,되도록이면 그 시대 전공자들이 쓴게 좋습니다.
고려사를 전공한 사람이 고려시대 연구한 역사책이 좋지.
고려사 전공한 사람이 신라시대 쓴것보다 말이죠.

전문가들도, 똑똑한척 해도,
자기 전공 이외엔 잘 모르는 경우가 많거든요.

영상은 무난하게 kbs 역사저널 그날 같은게 좋을듯 합니다.
그외에 조선티비에서 한 영웅삼국지나 mbn의 왕의 여자 다시보기 추천할께요.
이해한다 17-12-06 11:56
   
시험을 칠 생각이 없으시다고 하시니, 저의 사례로 보자면 역사란 추론하는 학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런 유물이 있기에 이럴것이다. 이런 자료가 있기에 이런 논리에 있기에 이럴 것이다. 역사에 관련된 많은 자료를 접하시고 그 흐름을 가늠하시는게 역사를 아는 바람직한 자세라고 저는 생각되네요. 인터넷을 통해 관련 자료를 파악하고 왜 이렇게 됬는지 왜 이렇게 될 수밖에 없었는지 알고자 하면됩니다. 물론 이건 역사에 대한 학문로서 자세이지, 시험과는 연관 없습니다.
나유키 17-12-06 14:10
   
시간이 많으시면 젤 쉬운게 가까운 시립도서관 가서 인문역사 관련 책 읽으시면 됩니다~
밥밥c 17-12-06 15:39
   
딱히 시험용이 아니라면 시대를 구별해서, 관심이 있는 시대로 하는 것이 좋습니다.

조금더 정확하게는 이마저도 지리,문화,군사등의 관심사로 다시 나누어지기도 해요.

예를들어 고대사의 경우 가장 관심이 많은 쪽은 지리부분입니다.

특히 재야사학은 고대사 지리부분에 거의 몰빵수준이죠.^^;
윈도우폰 17-12-06 16:39
   
한국사를 보다 더 잘 아려면 동아시아사 및 세계사도 함께 공부하여야 하고 역사를 잘 알려면 인문학과 사회과학 쪽의 소양도 갖추어야 라지요...뭐 저도 아직은 그 기준에서 멀지만...다른 틀에 비추어 역사나 한국사를 보실 수 있도록 하는게 단편적 지식의 축적보다도 더 큰 의미가 있지 않을까 하네요^^
도배시러 17-12-06 16:55
   
관심 특정시대를 먼저 정하세요.
관련 (카더라, 논문정리)서적을 읽어보시고 ,  관련 원문사료를 직접 찾아보고 대조하시다보면
역사소설 쓰는 방법, 역사진실을 찾는 방법등을 체득하시리라 생각해봅니다.
ChocoFactory 17-12-07 03:18
   
감사합니다
필요했던 부분들을 콕콕 집어 주셨네요

도움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
진정해진정 17-12-07 23:16
   
늦었지만, '브루스 커밍스의 한국 현대사'라는 책도 추천드려요. 제가 한국 현대사를 공부한 계기가 된 본격적인 입문서입니다.
루리호 17-12-08 10:05
   
제일먼저 국립중앙박물관을 가서 하나하나 천천히 구경하고오세요

그다음에 고대사부터 책을하나사서 읽어보시고 흥미가 더생기시면 박물관 순회 더해보는것을 추천합니다

역사를 공부할때 쉽게하시려면 눈으로 그 실물을보고 책을보면 이해가 크게 다가올겁니다
칼리S 17-12-08 23:18
   
괜히 유사사학자들의 농간에 놀아나지 않게, 삼국사기, 고려사, 조선왕조실록을 기초로 관심있는 쪽을 찾아서 보세요.

삼국사기 고려사 조선왕조실록이 가장 기본사서입니다.
     
밥밥c 17-12-09 01:58
   
그 유사학자들이 가장 많이 인용하는 것이 삼국사기죠.

 오히려 강단사학은 '삼국사기는 날조다.'라는 주장을 합니다.

 '최소 절반은 날조다'라는 부분은 정말로 어의없게 만들기도 합니다.
 
 
Total 5,294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135 [한국사] 모용선비의 도읍 변천 (3) 감방친구 12-07 1695
2134 [한국사] 3세기 이후 고구려의 팽창과 그 서쪽 영역 (20) 감방친구 12-06 3466
2133 [한국사] 이병도에 대한 개인적 견해 (6) 감방친구 12-06 1500
2132 [한국사] 질문 : 한국사를 좀 깊이 공부해 보고 싶습니당 (11) ChocoFactory 12-06 1181
2131 [한국사] 5세기 이후 고구려의 위세와 평양의 위치 감방친구 12-06 1588
2130 [한국사] 백제와 고구려, 러시아와 일본의 쿠다라와 코리. (9) 아스카라스 12-05 2047
2129 [한국사] 고구려의 도읍 변천 (19) 감방친구 12-04 3170
2128 [한국사] 삼국사기 지리지로 본 평양 (5) 감방친구 12-04 2109
2127 [한국사] 서안평(西安平)의 위치 (8) 감방친구 12-04 3879
2126 [한국사] 평양의 위치 문제 (2) 감방친구 12-04 1597
2125 [한국사] 우리는 왜 조선총독부의 역사교과서를 80년간 계승하… (2) 의로운자 12-04 1249
2124 [한국사] 고구려어는 한국어의 직계 조상어이다 (4) 고이왕 12-03 1806
2123 [한국사] 해외포럼에서 가짜 한국역사지도 대응법과 사이트 (3) 고이왕 12-03 1530
2122 [한국사] 성노예 문서 (2) 꼬꼬동아리 12-03 1986
2121 [한국사] 한국판 위키까지 왜곡하는 중국인? (5) 고이왕 12-03 4949
2120 [한국사] 삼국사기와 신당서를 이용한 평양에의 접근 (8) 감방친구 12-03 1923
2119 [한국사] 역사 공부하면서 언뜻 느낀점 (2) 코스모르 12-02 1025
2118 [한국사] 서경을 키워드로 본 고려 초기의 북계 (18) 감방친구 12-02 2460
2117 [한국사] 원사 지리지 동녕로 전문 (34) 감방친구 12-01 2340
2116 [한국사] 고려시대 서경은 지금의 평양인가? (20) 감방친구 12-01 3100
2115 [한국사] 한국 독도의 7가지 이름 (11) 의로운자 12-01 1918
2114 [한국사] 고려 전기(광종)의 서북방 개척 (17) 감방친구 12-01 2760
2113 [한국사] 고지도에 나타난 우리땅 우산도. (52) 닥터그리어 11-30 3201
2112 [한국사] 인하대 고조선연구소 "고려 서북 국경은 中 요하지역 (14) 감방친구 11-30 3192
2111 [한국사] 색즉시공 공즉시색(아리랑을 좀 더 깊이 있게 이해하… (3) 공무도하 11-30 1215
2110 [한국사] 홍사익 (2) 꼬꼬동아리 11-30 1033
2109 [한국사] 아리랑 해석 (13) 공무도하 11-30 1733
 <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