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7-11-25 12:47
[한국사] 13척 vs 333척 "명량해전"
 글쓴이 : 레스토랑스
조회 : 1,812  

http://image.fmkorea.com/files/attach/new/20171125/486263/789752372/847586055/432920aa2967a7831918b04390fe08e0.JPG

1597년 음력9월16일

명량 해전

 

음력7월16일 칠천량에서 조선 수군이 궤멸되었다는 참담한 소식을 들은 선조는

도원수 권율의 휘하에서 백의종군 중이던 이순신을 다시 복직시켰다

다시 한 번 삼도수군통제사가 된 이순신이었지만, 그는 배 한척도 지휘하지 못하는 수군통제사였다

 

사실 이순신은 수군이 궤멸되었다는 소식을 듣자마자 백의종군이고 뭐고 임무지를 박차고 나와

독단으로 흩어진 병사들을 다시 끌어모으고 버려진 군수품들을 회수하는 등 노력을 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음력 8월22일 다시 한 번 그를 통제사로 임명한다는 교서가 그에게 도달했다

 

이때 교서에는 선조가 이순신에게 왕으로선 상당히 비굴할 정도로 용서를 구하는 어투를 사용했으며,

이는 조선 역사상 상당히 드문 일이었다

전황의 심각함과, 모친3년상 중이라 이순신이 관직을 거부할 수도 있음을 고려하여 그런 듯 하다

 

음력8월18일

경상우도 수군절도사 배설이 이끌고 도주하였던 판옥선 12척이 이순신의 진영에 합류하였다

겨우 수군이라는 구색만 갖춘 상태였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조정에서는 차라리 수군을 폐하고 육군으로 돌리자는 의견과,

수군을 한 부대로 집합시키지 말고 여러 단위로 나눠서 각 포구나 방어하자는 의견 등이 나오는 등 

수군에 대한 희망을 전혀 찾을 수 없는 상황이었다

 

하지만 수군통제사 이순신은

"今臣戰船 尙有十二...(신에게는 아직 열두척의 배가 있사오니...)"

라는 장계를 올리며 전의를 보였다

조정은 한 번만 수군을 믿어보기로 하였다



http://image.fmkorea.com/files/attach/new/20171125/486263/789752372/847586055/f1e9e1d0c8f0fe2f604877564bd2625f.JPG

음력 8월 20일

이진포에 새로이 진영을 꾸린 조선 수군

하지만 경상우도 수군절도사 배설은 임금의 교서에 절도 하지 않는 등 조정에 대한 심각한 반감을 보여주면서

현대로 치면 PTSD에 가까운 행동을 보여주고 있었고,

임진년부터 이순신을 도와주다가 칠천량에서 전사한 이억기의 후임으로 전라우도 수군절도사로 내정된

김억추는 그 사람됨됨이 미덥지가 못하였다

거기다 병사들 대부분도 자신감을 잃어 겁에 질린 상태였고

설상가상으로 이순신 본인까지 지병으로 앓아 누워버리고 말았다

음력8월21일

조선수군은 어란진으로 진영을 옮겼다

 

그리고 음력8월28일

왜 수군의 정찰대로 보이는 적선 8척이 출현하였다

조선수군은 자신들의 숫자가 많음에도 겁에 질려 제대로된 움직임을 보이지 못했고,

이순신의 고군분투 끝에서야 이 정찰대를 무찌를 수 있었다

이 어란포해전은 이순신 장군이 백의종군이 해제된 이후의 첫 승전이었지만,

동시에 왜 수군이 아직까지 활동하는 조선수군이 존재함을 깨달음과 동시에

이순신의 복직을 의심하게 만드는 전투였다

이순신 장군은 이튿날이 되자 벽파진으로 다시 진영을 옮겼다

 

음력9월에 들어서자 왜수군의 활동이 활발해지기 시작했고,

음력9월2일 결국 경상우수사 배설이 탈영을 하고 말았다

배설의 행동이 많이 이상해진 것을 눈치채고 있던 이순신은 담담히

'배설이 달아났다'라고만 장계에 기록하였다



http://image.fmkorea.com/files/attach/new/20171125/486263/789752372/847586055/d50af486a34ed132f782cd0d8dba89d2.JPG

음력 9월7일

전선 55척으로 구성된 왜수군 함대가 어란진에 입항하였고,

이중 13척을 벽파진으로 보내 무력시위를 벌였다

이순신은 이 13척을 모두 격파하는데 성공하였지만 이 전투로 인해 왜군은

조선수군의 함대가 13척이 전부인것을 확인하였고, 이순신의 복직 역시 확신하였다

왜군의 대규모 함대가 서쪽으로 점점 깊숙히 들어오기 시작했다

 

음력 9월15일

이순신은 대규모 전투를 예상하여 물먹인 이불을 배의 양측 난간에 걸치게 하여 총탄을 막게하고

열매 안에 물이 든 동아라는 식물을 배에 잔뜩 실어 식수문제를 해결하려 하였다

그리고 진영을 울돌목 넘어 해남의 전라우수영에 함대를 집결시켰다

이순신은 이날 장수들을 불러모아

 必死則生 必生則死 죽고자 하면 살고, 살고자 하면 죽는다

라고 다짐하였다

 

음력 9월16일 아침

초병이 대규모 왜군 함대가 접근한다고 알려왔다

병사들의 얼굴빛은 잔뜩 질렸고, 이순신은 결의에 가득차 함대를 출전시켰다



http://image.fmkorea.com/files/attach/new/20171125/486263/789752372/847586055/1ff8851c2162dce0bda9e0e038f8141c.JPG

 이순신의 대장선이 가장 먼정 앞장섰다

하지만 나머지 조선 수군 함대는 왜군의 규모와 급한 조류에 겁을 먹어 차마 진격하지 못하였다

그들은 이미 전의를 잃고 있었으며, 이순신을 따라 출전한것마저 놀라울 지경이었다

전라우수사 김억추는 가장 뒤에서 전의를 보이지 못하고 있었으며,

믿음직한 장수들인

거제현령 안위, 녹도만호 송여종, 조방장 배흥립, 해남현감 류형, 가리포첨사 이응표 등 까지도

언제든지 도주할 수 있도록 후방에서 머뭇거리고 있었다

 

왜군의 선봉이 조류를 타고 급히 이순신의 기함으로 돌진해왔

기함은 단독으로 왜군을 막아서기 시작하였다

 

그러자 몇몇 판옥선이 도주의 기색을 보였고, 이순신은 호각과 초요기(집합 명령깃발)를 이용하여 겨우 그들의 도주를 막았다

초요기를 보고 몇몇 판옥선이 미적미적 다가왔다

가장 먼저 도착한 거제현령 안위의 함선을 향해 이순신이 호통을 치자 그제서야 안위는 함선을 이끌고 기함의 옆에 서서

적에 맞서 싸웠다

 

두번째로 온 함선은 중군장 김응함의 함선이었다

중군장의 임무는 기함의 호위였으며, 이순신이 이에 직책의 회피를 꾸짖자 김응함 역시 전투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이후 난전이 벌어지며 안위의 함선에 피해가 급증하기 시작하였다

기함이 안위의 함선을 구원하는 등 고군분투를 이어나가자

녹도만호 송여종과 평산포대장 정응두의 함선이 합류하여 왜군을 막아섰다



http://image.fmkorea.com/files/attach/new/20171125/486263/789752372/847586055/759618c779dee930d23ab086a61fbc16.JPG

이러한 난전 속에서 왜군 선봉대장 구루지마 미치후사의 대장선이 격침되고

구루지마 역시 전사하였다

왜군 총지휘관 도도 다카도라 역시 화살에 맞아 중상을 입었고,

오후 1시경 조류의 물살이 바뀌자 이를 이용한 조선수군의 반격에 전의를 잃은 왜군은 후퇴를 시작하였다

 

이 전투로 인해 왜군은 최소 31척의 전선을 잃었으며,

더 많은 전선을 잃었을 것이라고 추정된다

 

이에 비해 조선 수군은 2명의 전사자만이 기록되었지만,

이는 대장선의 피해로만 추측되며

거제현령 안위의 함선의 피해는 심각했을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이는 조선수군의 믿을 수 없는 대승이었고,

왜 수군은 잔뜩 부풀렀던 자신감이 다시 사라지고 말았다



http://image.fmkorea.com/files/attach/new/20171125/486263/789752372/847586055/d3088d587004b9c606a6ecc723382ad8.JPG

하지만 전력이 열세인 것은 그대로여서 조선수군은 서해상으로 후퇴하였고,

왜 수군은 서해상으로 진출하는데는 성공하였다

 

하지만 왜 수군은 전의를 잃어 전투를 회피하기 시작했으며,

육군과 연합하여 수륙병진하려던 계획은 다시 한 번 실패하였고,

결국 왜 육군의 진격은 전면적으로 중단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푸프데크 17-11-25 15:09
   
항상 재밌게 보고 있습니다~
대학교 임진왜란 레포트도 레지스탕스님 자료 참고했네요 ㅎㅎ
국산아몬드 17-11-25 18:38
   
정유재란을 실질적으로 끝장낸 전투죠. 일본은 명량해전 패전이후로 조선침략에 대한 꿈을 접었죠
숲속의소녀 17-11-25 18:59
   
레스토랑스님. 늘 좋은 자료 잘 보고 있습니다. 임진왜란/정유재란은 이제 거의 끝이 보이기 시작하는 것 같군요.
ost하나 17-11-25 20:54
   
명량해전에서...
대승을 거둔 후 장군님께서 함대를 이끌고
신선이 놀다갔다는 섬...
전북 군산에 있는 "선유도"에서 휴식을 취했죠...공식 기록입니다...^^
ㅣㅏㅏ 17-11-25 21:07
   
개전후 대장선이 앞서 나가 전투를 벌이고  두번째라는 김응함의 판옥선이 다가오기 까지 시점이 거의 한나절입니다. 거의 한나절동안 이순신의 대장함 한대로 싸우는데 기록에 보면 난전 한번 없이 오는 족족 박살내고 나니 나머지 12척이 그때야 슬금슬금 와서 돕죠. 13 vs 333이 아니고 1 vs 333 이었던거죠. 거짓말같지만 사실.
     
6시내고환 17-11-28 12:49
   
이게 맞죠 조류도 바뀌었다고하니
끼따뿌타스 17-11-25 21:54
   
늘~찾아 읽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Total 5,29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107 [한국사] 사서 비교보다 역사관 정립이 중요한가? (6) 감방친구 11-29 1129
2106 [한국사] 백제는 일본열도와 단순히 교류했나? (8) 감방친구 11-29 2503
2105 [한국사] 독도문제는 국제사법재판소에서 결판내는 것이 제일… (33) 숲속의소녀 11-29 1515
2104 [한국사] 독도를 팔려던 사람이 지금 현재도 역사 관련 단체 … (5) 풍림화산투 11-29 1395
2103 [한국사] 우리 고대사에 있어 열국 및 한사군 지리적 위치 설… (3) 윈도우폰 11-29 1382
2102 [한국사] 태통령의 독도 연설 (3) 의로운자 11-28 1394
2101 [한국사] 고조선에 대한 최근의 논의 (6) 감방친구 11-28 1514
2100 [한국사] 일단 우리 역사 강역의 문제는 (5) 감방친구 11-28 1495
2099 [한국사] 최근 일본과 미국에서 발견된 임란이전의 조선궁궐… (2) 햄돌 11-28 3004
2098 [한국사] 흑백사진 채색 (3) 엄빠주의 11-28 1181
2097 [한국사] '우리 역사 해석의 문제라고 한다면'을 읽고 (12) 감방친구 11-28 1269
2096 [한국사] 우리 역사 해석의 문제라고 한다면... (30) 윈도우폰 11-28 1209
2095 [한국사] 6.25 전쟁 당시 중공군의 성폭행 (2) 멸공통일 11-27 1795
2094 [한국사] 6.25 전쟁 당시 일본군의 활약 (5) 멸공통일 11-27 1608
2093 [한국사] 무얼 탐구해야 할까 감방친구 11-27 747
2092 [한국사] 식민사학? 유사사학? 이런 대립구도 이전 대체 어떤… (13) 뚜리뚜바 11-26 1290
2091 [한국사] 일본어의 친족 호칭 고찰 (16) 감방친구 11-26 2985
2090 [한국사] 대한민국의 동쪽 끝은 어디일까요? (32) 닥터그리어 11-26 2175
2089 [한국사] 한국어의 친족 호칭 고찰 (1) 감방친구 11-26 1889
2088 [한국사] 한국의 곡옥(韓國 曲玉) (2) 햄돌 11-26 1446
2087 [한국사] 한일(韓日)의 고유 수사(數詞) 고찰 종합 감방친구 11-26 2055
2086 [한국사] 고려 때 왜구들을 활 하나로 물리친 1인 (1) 레스토랑스 11-26 1931
2085 [한국사] 한국어와 일본어 대응어휘 추가 감방친구 11-25 1105
2084 [한국사] 일본어와 한국어의 수사(數詞) 비교 (12) 감방친구 11-25 2932
2083 [한국사] 13척 vs 333척 "명량해전" (7) 레스토랑스 11-25 1813
2082 [한국사] 한국어와 유사한 일본어 추가 (4) 감방친구 11-25 1934
2081 [한국사] 조선의 기관총 총통화차 (4) 레스토랑스 11-24 2190
 <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