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7-11-07 00:04
[한국사] 28척 vs 13척 사천 해전
 글쓴이 : 레스토랑스
조회 : 969  

http://image.fmkorea.com/files/attach/new/20171106/486263/789752372/828603052/f6c61ed1d59fbf1888f508547a82c08b.JPG

1592년 음력 5월29일

사천 해전

 

음력 5월7~8일에 있었던

전라좌수군의 1차 출동에서 옥포, 합천, 적진포에서 왜수군은 큰 피해를 입었다

하지만 길어지는 전선과

음력 5월 26일에 있었던 정암진 전투로

 왜 제6군의 전라도의 진출이 무산되자

왜군은 서해안으로 진출하기 위해 계속 기회를 엿보고 있었다

 

따라서 전라좌도 수군절도사 이순신은

당초 음력 6월3일 전라우도 수군절도사 이억기와 연합하여

왜 수군을 공격할 계획을 잡고 있었다

 

하지만 음력 5월 27일

"적선 10여척이 사천에서 출발해 노량으로 향했다"

라는 경상우도 수군절도사 원균의 공문을 받은 이순신은,

이억기의 전라우수군을 기다리지 않고

조금 시기를 앞당겨 2차 출동을 결심한다



http://image.fmkorea.com/files/attach/new/20171106/486263/789752372/828603052/3c52336ce8bb9c18d303e97626c4401e.JPG

음력 5월 29일

노량에서 원균의 경상우수군 판옥선 3척과 합류한

이순신의 부대는 전라좌수군 판옥선 24척과

새로이 개발한 신형 돌격선 귀선龜船 2척으로 구성되었다

총합이 28척

 

함대는 곧장 사천으로 향하였다

도중 왜군의 척후선 1척을 발견하여 격침시키고,

사천에 당도하자 왜선 12척이 정박하여 있었고

육상에는 왜군의 진이 늘어져 있었다



http://image.fmkorea.com/files/attach/new/20171106/486263/789752372/828603052/1c6d05cca566a76c3f0bec36c30e91cc.JPG

조선 함대가 접근하자 왜군은 맹렬히 저항하였다

마침 썰물 때라 더 이상 접근할 수 없었던 조선수군은

함대를 돌려 왜군을 유인했다



http://image.fmkorea.com/files/attach/new/20171106/486263/789752372/828603052/0723e62b92320348b1f000ad24356ffd.JPG

적당한 곳에 도달하자,

조선군은 반전하여 왜군을 공격했다

신형 돌격선 귀선이 먼저 돌입한 이후 각종 총통으로 공격하자

왜군은 깜짝 놀라 후퇴를 시작하였다

 

때마침 만조가 되어 순식간에 왜군을 따라잡은

조선 함대는 판옥선으로 맹렬히 포격을 가하였고

이때 10척의 전선을 잃은 왜군은 배를 버려 산위로 급히 도주하였다

 

살아 남은 2척은 무사히 포위망을 벗어났으나

결국 음력 6월1일에

불타고 말았다

 

이 전투로 왜 수군은 12척의 전선을 잃고

약 2000여명의 전사자를 낸 큰 성과를 거두었다

 

하지만 이 전투에서

총지휘관 이순신, 군관 나대용, 종군장수 이설이

조총에 피격되었다

 

셋 모두 기함에 타고 있던 인원이며,

이는 기함이 조총의 사거리 안에서 전투를 치뤘다는 이야기이다

이순신의 기함이 조총의 사거리 안에서 전투를 한건 사천해전을 포함하여

종전까지 딱 세번에 불과하며,

나머지 두 전투는 각각 그 사유가 있었지만

이번 전투에서는 그럴 이유가 없었다

 즉 이것은 위험한 행동이었다

귀선의 첫 실전인만큼 가까이에서 지휘를 하려다 벌어진 해프닝으로 추측된다

 

훗날 이순신은 이 때의 실수를 부끄러워하는 어투의

편지를 류성룡과 주고 받았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6시내고환 17-11-11 18:34
   
훗날 이순신은 이 때의 실수를 부끄러워하는 어투의
편지를 류성룡과 주고 받았다 장군님도 사람이네요 ㅎㅎ
 
 
Total 5,294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000 [한국사] 낙랑군 수성현 문제 (26) 감방친구 11-10 2318
1999 [한국사] 한국사에서 가장 수수께끼인 인물 (13) 레스토랑스 11-10 2232
1998 [한국사] 한사군의 위치 (19) 감방친구 11-10 1552
1997 [한국사] 한산도 대첩 레스토랑스 11-10 961
1996 [한국사] 역사게시판 0점 성장의 원리 (7) 감방친구 11-10 865
1995 [한국사] 한국 역사학계의 발전이 더딘 이유 (4) 감방친구 11-10 1048
1994 [한국사] 조선시대 희대의 간신, 역적 김자점 (3) 레스토랑스 11-10 1219
1993 [한국사] 고죽국과 화룡성의 위치 (19) 감방친구 11-10 2259
1992 [한국사] 1500명 vs 2000명 이치전투 (2) 레스토랑스 11-10 1127
1991 [한국사] 역대 조선 왕들의 재위기간 (14) 레스토랑스 11-09 2045
1990 [한국사] 압록강에 대해 놀라운 사실 하나 (12) 감방친구 11-09 1586
1989 [한국사] 1000명 vs 10000명 웅치전투 (4) 레스토랑스 11-09 1421
1988 [한국사] 고조선과 한국사에의 접근 (4) 감방친구 11-09 923
1987 [한국사] 중국의 역사 사기질 (7) 감방친구 11-09 1311
1986 [한국사] 고려 서북계에 대해 반응이 없으니 이상하군요 (4) 감방친구 11-09 1031
1985 [한국사] 동북아시아 삼국시대 역사 시뮬레이션 BC 75 ~ AD 670 (11) GleamKim 11-09 1088
1984 [한국사] 병자호란 당시 칸이 직접 조선에 온 이유 (5) 레스토랑스 11-09 1901
1983 [한국사] 1차 평양성 전투 (1) 레스토랑스 11-09 1112
1982 [한국사] 강동 6주와 고려 서북계 연구 종합 (4) 감방친구 11-08 2341
1981 [한국사] 네덜란드 청년 하멜 조선에 표류하다 (1) 레스토랑스 11-08 1022
1980 [한국사] <속한서> 지리지의 요동군 및 현도군에 관한 문… (7) 고이왕 11-08 1644
1979 [한국사] 내몽골지방 소위 '고려성' 떡밥에(펌) 고이왕 11-08 2178
1978 [한국사] 고대사 지명 혼동의 사유 (3) 감방친구 11-08 968
1977 [한국사] 만주역사가 우리역사냐 중국역사냐? (12) 웅구리 11-08 1413
1976 [한국사] 80000명 vs 1600명 용인전투 (5) 레스토랑스 11-08 1632
1975 [한국사] 압록과 요수 관련 사서 기록 종합 (3) 감방친구 11-08 1290
1974 [한국사] 51척 vs 47척 (6) 레스토랑스 11-07 2229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