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7-10-07 02:28
[한국사] 고려 압록수(鴨綠水)는 북한 압록강이 아닌 중국 요하(遼河)
 글쓴이 : 감방친구
조회 : 2,604  

몇 번 소개한 내용인데 아래에 최영 장군 활약 게시글을 보고 연관이 있다 싶어서 관련 기사를 발췌합니다

ㅡㅡㅡㅡㅡ

한반도와 중국간 국경선을 이루며 서해로 흘러드는 압록강(鴨綠江)이 고대 문헌에 등장하는 압록수(鴨綠水)가 아니라는 주장이 학계에서 정식으로 제기됐다. 17일 서울 세종문화회관 예인홀에서 열리는 ‘고대 평양 위치 탐색 관련 학술회의(인하대 고조선연구소 평양연구팀 주관)’에서 강원대 남의현 교수가 ‘고대의 압록수와 압록강은 현재의 압록강이 아니다’는 주제로 발표하는 논문에서다.

남 교수는 “사료에 등장하는 압록강은 ‘고려에서 가장 큰 강’, ‘너비가 300보(400m~500m)’, ‘큰 배로 건너다니며 천연의 요새로 삼는다’, ‘천하에 세 강이 있으니 황하, 장강, 압록강이다’ 등으로 표현돼 있다. 이런 기록들은 현재의 북한 경계인 압록강을 묘사한 것으로 볼 수 없다”고 주장했다. 현재의 압록강은 고대 문헌이 묘사한 것과는 차이가 크다는 것. 남 교수에 따르면 북한쪽 압록강은 △강 길이가 800여km, 너비는 불과 200m 안쪽으로 중국의 황하(5400km)와 장강(6300km)에 비교할 수 없고 △고구려가 천연의 요새지로 삼을 만큼 규모가 크지 않으며 △유속이 빠르고 바닥이 낮아 하류에서 상류까지 큰 배가 다닐 수 있는 교통 요로가 아니며 △목재 등을 운반하는 배가 다닐 수 있는 기간도 1년 중 최대 6개월에 지나지 않으니 사료에 등장한 압록강과는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남 교수는 중국의 문헌과 여러 사료를 증거로 들어 중국 랴오닝성의 요하(遼河)가 압록수일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실제 요동과 요서를 가르는 요하는 그 길이가 1400km로 남만주 지역을 관통하고 있으며, 여러 수계가 모여 발해로 들어가는 교통 요로다. 1920년대까지만 해도 짐을 실은 배가 발해만에서 내륙으로 약 500km가 넘는 거리를 운항했다고 한다.

남만주의 젖줄 역할을 한 요하로 인해 일찌감치 이 일대에는 고대 도시들이 번성할 수 있었다고 한다. 또 요하를 통해 요동을 방어하고 육상과 해로를 통해 군수물자를 공급받을 수 있다는 이점 때문에 강 주변에 있는 라오양(遼陽), 선양(瀋陽) 등의 도시들이 고대 수도나 전략 거점 도시로 성장할 수 있었다는 게 남 교수의 주장이다.

모두 10편의 논문을 발표하는 이 날 학술대회에는 남 교수의 주장과 맥을 같이하는 다른 논문들도 눈에 띈다. 인하대 고조선연구소 윤한택 교수는 신라의 뒤를 이어 등장한 고려의 북계(北界)는 중국 랴오닝성 중부지역까지 이르렀으며, 고려 시대 내내 ‘요하’까지 자국 영역으로 인식해 왔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논문을 발표한다. 또 경복대 이인철 교수는 문헌 연구와 현지 답사를 통해 고려의 윤관이 개척한 동북9성이 두만강 이남이 아니라, 중국 지린성(吉林省) 옌벤(延邊) 지역과 헤이룽장성(黑龍江省) 동남부 지역에 위치했다는 주장을 펼친다.

고대 문헌에 등장하는 압록강이 요하로 밝혀질 경우 고려의 영토는 지금의 한반도보다 2배나 넓은 지역으로 확장된다. 또 압록강을 중심으로 고구려 평양성의 위치를 기록한 사료도 있어, 고구려의 평양이 현재 북한 수도인 평양이 아니었다는 학계 일각의 주장도 더욱 힘을 받을 수 있다. 이는 고려 시대 묘청의 서경(평양) 천도 주장과 조선 창업주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이 현재 알려진 역사 상식과 상당히 다르다는 뜻이기도 하다.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sid1=001&oid=020&aid=0002980433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감방친구 17-10-07 02:32
   
고려 전기의 서북 국경 연구
윤한택 교수
https://youtu.be/G-_ntASiPeY

고려시대(10~14세기)두 개의 압록강
윤한택 교수
https://youtu.be/KVQ2C23tFjU
감방친구 17-10-07 02:35
   
고구려 시대의 압록강
남의현 교수
ㅡ 발표 제목은 고구려 시대의 압록강인데
강의내용은 고구려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요동지역과 국경 문제를 폭넓게 다루고 있습니다
https://youtu.be/U_notYJy1Ps
도배시러 17-10-07 04:52
   
낙랑군 때문에 역사의 앞뒤가 모두 꼬여있어요.
     
감방친구 17-10-07 17:47
   
위에 남의현 교수님 강의를 보세요
거기에 도배시러님이 찾는 힌트가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도배시러 17-10-07 19:36
   
열씨미 보는 중입니다
낙랑군 지키려다 후대의 역사까지 다말아 먹네요..
또공돌이 17-10-07 20:36
   
맞는 말입니다.
과거 모택동(마오쩌둥,毛澤東)과 주은래(저우라이언,周恩來)는 요동 즉 만주는 '조선 민족의 땅이라 하였습니다.
 
 
Total 5,29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810 [한국사] 김화 전투 (10) 인류제국 10-11 1572
1809 [한국사] 삼국시대는 중세시대다. (6) 꼬마러브 10-11 1228
1808 [한국사] 허준에 대한 잘못된 이야기 (7) 레스토랑스 10-10 1860
1807 [한국사] 김부식이 추정한 고구려 졸본, 홀승골승 위치 (5) 도배시러 10-09 3954
1806 [한국사] 대한제국군의 마지막 전투 (8) 레스토랑스 10-07 3416
1805 [한국사] 지게가 도로사정의 낙후성 결과다? (10) 감방친구 10-07 3661
1804 [한국사] 고려 압록수(鴨綠水)는 북한 압록강이 아닌 중국 요… (6) 감방친구 10-07 2605
1803 [한국사] 당나라가 생각하는 고구려, 백제의 수도 위치 ? 구당… (4) 도배시러 10-07 3074
1802 [한국사] 고려의 명장 최영의 무시무시한 기록들 (14) 고이왕 10-06 5222
1801 [한국사] 부여가 후반에 빠르게 쇠퇴한 이유는 (1) 간단명료 10-06 1385
1800 [한국사] [역사저널 그날] 조선은 절대 백성을 지켜주지 않았… (6) 레스토랑스 10-06 1805
1799 [한국사] 양주십일기의 흥미로운 기록.txt (3) 욕지도뽈래… 10-06 1675
1798 [한국사] 우리가 알아야 하는 사실 (2) 감방친구 10-06 1463
1797 [한국사] 연 진개의 침입과 유물 (7) 감방친구 10-06 2568
1796 [한국사] 신흥무관학교는 왜 배달나라를 언급했을까요? (4) 아스카라스 10-05 1493
1795 [한국사] 연 장수 진개는 고조선을 점령했는가 ? 낙랑=요동 (9) 도배시러 10-05 3202
1794 [한국사] 축소지향의 한국인 (5) 감방친구 10-05 1774
1793 [한국사] 5세기 재야학계에서 주장한 삼국 영토라는데요. (18) 탈레스 10-04 3343
1792 [한국사] 개천절이라서 (1) 감방친구 10-03 1375
1791 [한국사] 영문자료 중에 일본이 고려말에 한반도를 추월했단 … (10) 아스카라스 10-03 2258
1790 [한국사] 조선 400만헥타르, 근거 있는 주장인가요? (2) 아스카라스 10-03 1906
1789 [한국사] 개천절 기념, 고조선 주변국의 상고사 (3) 도배시러 10-03 1563
1788 [한국사] 고려 황제의 직속부대 도열의 모습 (2) 인류제국 10-03 2298
1787 [한국사] 7~9세기 발해 영토.jpg (7) 욕지도뽈래… 10-03 2866
1786 [한국사] 조선군 고증 삽화 (1) 레스토랑스 10-03 2353
1785 [한국사] 별무반의 진실 (1) 인류제국 10-02 2095
1784 [한국사] 어디서 들은 루머인데요, (2) 아스카라스 10-02 1778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