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8-05-15 10:07
[기타] 임진왜란 승리의 주역들
 글쓴이 : 관심병자
조회 : 1,203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57521&cid=58584&categoryId=58684

김시민 장군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곽재우 등 의병장들과 함께 여러 차례 공격해 오는 일본에 맞서 진주성을 지켰어. 약 3,800여 명의 군대로 2만의 일본 군대를 막아 낸 거지. 또, 고성과 창원의 성도 일본으로 부터 빼앗았어. 김시민 장군은 진주에서 일어난 마지막 전투에서 적의 총에 맞아 전사한단다.


권율 장군은 행주대첩 후에 도원수가 되어 임진왜란 7년간 군대를 총지휘한 장군이야. 금산군 이치싸움에서는 1,000여 명의 의병을 모집하여 일본군을 대파(크게 부숨.)했지. 수원성 전투에서는 지구전(전투를 오래하는 것)을 펴다가 일본군의 큰 공격을 받았으나 곧 이겨 내고 승리로 이끌었어. 행주대첩에서는 2,300명으로 3만의 군대를 공격해 대승을 거두었지. 임진왜란이 끝난 후에는 관직에서 물러나 고향에서 살았단다. 


곽재우 장군은 왕이 피난을 가자, 제일 먼저 수십 명의 사람들을 모아 의병을 일으켰어. 의병은 점점 많아져 2,000명 가까이 되었고, 함안군에서 일본과 싸워 대승을 거두었지. 이때 붉은색 옷을 입고 맨 앞에서 적을 무찔러 '홍의( : 붉을 홍, : 옷 의) 장군’이라고 불렸어. 곽재우 장군은 이곳저곳을 돌아다니며 적과 싸워 이겼고, 진주성 전투에 병사들을 보내어 김시민 장군이 일본군을 물리치는 데 도움을 주었단다.


정걸은 원래 배를 만들던 사람이었는데 이순신을 만나 더 발전된 판옥선을 만들었지. 새로 만든 판옥선은 바닥이 넓고 평평하여 크고 튼튼하였고, 노 젓는 각도가 거의 수직이어서 잘 넘어지지도 않고 방향도 빠르게 바꿀 수 있었어. 이 판옥선은 수군을 승리로 이끄는 데 큰 몫을 했지.


나대용은 거북선을 설계한 사람이야. 이순신은 나대용이 설계한 거북선의 도면을 보고 바로 배를 만들라는 명령을 내렸어. 이렇게 해서 거북선은 임진왜란이 터지기 직전에 운명적으로 완성되었지.


어영담은 남해 바다의 물길을 아주 훤히 알고 있는 사람이었어. 해전에서 승리하려면 바다의 길과 물의 흐름을 잘 알아야 하거든. 어영담은 작전을 짤 때 옆에서 많은 정보를 주었고, 작전을 성공시키는 데 큰 역할을 했단다.


이순신 장군이 한산도대첩을 준비하고 있을 무렵, 육지에서는 각 지역에서 의병이 일어났어. ‘내 나라, 내 고장은 내가 지킨다!’는 마음으로 말이야. 맨 처음 일어난 의병은 각 고을의 양반들이었단다. 이들은 자신의 재산을 털어 의병을 꾸려 나갔지. 이들을 따라 농민·천민·승려·글공부하던 유생들까지 의병이 되었단다. 이 중에서도 특히 농민과 노비들이 의병의 주를 이루었어. 이들은 낫·괭이 등 농기구를 들고 일본군에 맞섰지.

그중에서도 일본군이 제일 두려워했던 의병 부대는 바로 홍의장군 곽재우가 이끄는 부대였어. 산천()의 지리를 이용한 기습 공격으로 적은 수로 많은 일본군을 격파하였지.


임진왜란 때 우리나라가 일본의 조총을 이길 수 있었던 것은 화포의 힘이 컸어. 화포를 쏘려면 엄청난 양의 화약이 필요했는데, 당시에는 턱없이 부족했지. 이봉수는 원래 양반이었지만 스스로 이순신의 부하가 되어 화약을 대량 생산하는 방법을 연구했어. 그 결과 많은 화약을 만들어 냈고, 여러 부대에 보내 줄 수 있었지.

이장손은 무기를 만드는 관청에서 일을 했던 사람이야.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좀 더 강한 무기를 만들어야겠다고 생각해 비격진천뢰를 만들었어. 비격진천뢰는 목표물에 날아가서 폭발하는 시한폭탄으로, 임진왜란때 아주 중요한 역할을 했지. 

[네이버 지식백과] 임진왜란 승리의 주역들 (천재학습백과 초등 사회 5-2, 천재교육)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6시내고환 18-05-16 17:44
   
정걸, 어영담도 정말 숨어있는 공신이죠 그들이 없었다면 이순신 제독의 신화도 쉽지 않았겠죠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Total 20,025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1) 가생이 08-20 90803
15975 [한국사] 소동파의 혐한에 대한 생각 (3) 히스토리2 05-18 2671
15974 [한국사] 이성계의 불온한 대권출정식 히스토리2 05-17 1789
15973 [중국] 중국 근대사를 쥐락펴락한 '송씨집안'의 세자… 히스토리2 05-17 2398
15972 [기타] 고조선과 동시대의 진국(辰國) ? (1) 관심병자 05-17 2304
15971 [한국사] 고구려는 요수를 방치했나 ? (13) 도배시러 05-17 1464
15970 [한국사] 조선의 약화 과정(펌) (8) 고이왕 05-17 1513
15969 [한국사] 캐쉰님의 질문에 대한 답변 (18) 감방친구 05-17 1258
15968 [한국사] 고구려의 평양, 대륙에 있었나 -시사in 기사 히스토리2 05-17 1257
15967 [한국사] 인하대, '고구려 수도 평양은 어디에?' 학술회… (4) 히스토리2 05-17 996
15966 [기타] 장엄하고 용맹한 용 JPG 응룡 05-17 1020
15965 [한국사] “고구려 장수왕이 천도한 평양은 中 요양” -서울신… (14) 히스토리2 05-17 1351
15964 [한국사] 고구려의 평양은 요양이다(신동아 기사) -2 히스토리2 05-17 885
15963 [한국사] 고구려의 평양은 요양이다(신동아 기사) -1 (2) 히스토리2 05-17 1874
15962 [한국사] 600년 전 지도 (3) 스파게티 05-17 1329
15961 [한국사] 고구려의 민족적 계보 (3) 히스토리2 05-17 1904
15960 [한국사] 삼국시대 한복 (12) 호랭이해 05-17 3073
15959 [한국사] 압록강과 평양 추적 (2) 감방친구 05-17 1076
15958 [한국사] 서긍의 고려도경을 통해 살펴보는 고구려 평양의 위… (35) 히스토리2 05-16 2064
15957 [한국사] 임진왜란때 왜진작에 수군으로 일본군을 이기지 못… (22) 소울스타 05-16 2202
15956 [한국사] 백제 흑치상지의 출생지 (19) 영종햇살 05-16 4532
15955 [기타] 수나라 군함 (2) 응룡 05-16 1819
15954 [중국] 중국 최악의 흑역사를 이끈 `홍위병`(紅衛兵, Red Guards… (1) 히스토리2 05-16 2695
15953 [중국] 중국 역사교사의 양심선언 "중국 역사교과서는 완전… (3) 히스토리2 05-16 2288
15952 [한국사] 백제금동대향로 (5) 호랭이해 05-15 2105
15951 [중국] 조공의 진짜 콤플렉스 漢族 (5) 히스토리2 05-15 2374
15950 [기타] 인도의 진짜 독립 영웅은 간디가 아니다 (3) 히스토리2 05-15 2378
15949 [한국사] 한반도의 토기들 + 개인소장 토기 (2) 히스토리2 05-15 1091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