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8-05-13 22:54
[한국사] 천리장성과 만주국 지도
 글쓴이 : 히스토리2
조회 : 2,741  

* 그냥 한번 올려 봅니다. 

  이 지도에 대해 제 의견을 없습니다. 다만 만주국 지도에 긴 성곽이 그려져 있기는 하네요

 그러나 현실적이지는 못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특히 고구려/고려 장성이 저기 있을 이유는 전혀 없다고 생각을 합니다. 

 저 긴 장성의 정체는 무엇일지요? 
  
  
1933.jpg

다운로드.jpg
                          * 인하대 복기대 팀이 추정한 고려영역과 천리장성 

2.png

map_serbukpia1.jpg
서북피아양계만리 지도. 보물 제1537호

935715_899935_1032.jpeg

1760 당빌 지도.jpg

성경지_1.jpg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비좀와라 18-05-13 23:32
   
올리시는 중에 "서북피아양계만리일람지도 " 도 올려 주시죠?

중국 지도 보단 서북피아양계만리일람지도를 보는 것이 더 정확하죠.
감방친구 18-05-13 23:33
   
합리적 의심에 상식적 판단을 해야죠
평북에서 함남까지 천리에 걸쳐 성을 쌓았으면
그게 유적으로 남아서 설명이 돼야 하고
그게 지형으로서 설명이 돼야 하고
그게 사서의 기록과 부합이 돼야죠

1) 유적 부실 ㅡ 아무리 쉴드 쳐도 후달릴 정도로 부실
2) 지형으로 보면 그 험준한 개마고원과 산맥을 따라서 쌓은 것이 아니라 그것을 가로질러서 쌓았다는 게 말이 됩니까? 그렇게 쌓으려면 엄청난 국고가 소진되는 일인데 대체 무엇을 위해서?
3) 소위 천리장성은 11세기 초반부터 중반까지 걸친 것인데 대체 무엇으로부터 방비하기 위해? 거란과 여진을 방비하기 위해서라는데 여진은 이따금씩 아주 작은 소요만 일으켰을 뿐 고려가 국고를 대거 들여 엄청난 규모의 방어라인을 구축할 만큼 위협이 되지도 그들 인구가 많지도 그들이 통일돼 있지도 않았음. 그렇다면 주적은 거란인데 학계가 비정한 천리장성 라인은 거란 쪽이 아니라 동쪽을 향하여 놓여 있음. 이게 뭐여?
4) 고려사에 천리장성이라는 말이 없다 천리 장성이니 천리에 걸쳐 장성을 쌓았다는 기록이 있으면 알려달라
5) 장성은 규모가 큰 산성 등을 가리키는 보통명사로 우리가 아는 만리장성식의 성만을 가리키는 게 아닙니다 고려사, 삼국사기에서 장성을 찾아보면 그런 장성이 아니라는 것을 대번 알 수 있습니다
     
촐라롱콘 18-05-14 08:29
   
강단측 학설에 따른다면....
개마고원은 고려북방 국경선 또는 천리장성 라인 밖입니다!
          
신수무량 18-05-14 13:09
   
고려장성(천리장성이라고 우기는)에 대한 강단측이 주장하는 설은 근거가 매우 부족하죠.

고려장성:
1. (고려사 지리지 내용을  문헌에도 맞지 않다. ""길이가 천여 리(里), 높이와 폭이 각각 25자(尺)의 석축이었다."
2. 위 문헌을 증명할 유적도(장성)도 없다.
3. 고려사 지리지의 강역과도 전혀 맞지 않다.
    "그 사방 경계[四履]는, 서북은 당(唐) 이래로 압록(鴨綠)을 한계로 삼았고, 동북은 선춘령(先春嶺)을 경계로 삼았다. 무릇 서북은 그 이르는 곳이 고구려에 미치지 못했으나, 동북은 그것을 넘어섰다."
4....
히스토리2 18-05-13 23:46
   
서북피아양계만리일람지도
히스토리2 18-05-13 23:48
   
지도 내용
이 지도는 제작자와 제작년도가 모두 미상이지만 숙종 38년(1712)에 세운 백두산 정계비는 그려져 있으나 조선 정조 11년(1787)에 세운 장진부는 표기되어 있지 않으므로 조선 영조대에 그려진 지도로 추정된다. 여진족의 첫 수도였던 심양(瀋陽) 즉 성경(盛京)지역에 대한 지도 및 지리정보는 정조 때 《고금도서집성(古今圖書集成)》을 수입하기 이전까지는 남구만의 성경지도가 토대가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서북피아양계만리일람지도는 남구만의 성경지도를 모본으로 한 것으로 추정된다.

고려 때 윤관이 쌓은 것으로 알려진 9성의 선춘령비(先春嶺碑)가 두만강 이북에 그려져 있고, 고려의 북방경계선이 이곳까지 미친 것으로 그려져 있다, 또한 두만강과 분계강(分界江)을 따로 그려, 백두산 정계비에서 언급한 토문강을 분계강으로 해석하고 있다. 평양에서 의주와 성경(심양)을 거쳐 북경에 이르는 노정(路程)이 만리장성이 시작되는 산해관까지 나타나 있다. 지도 왼쪽 위에는 만주 지방의 역사가, 오른쪽 아래에는 조선 국토 인식의 기본틀과 관련된 내용이 적혀있다.
촐라롱콘 18-05-14 08:38
   
첫번째 지도에서 고구려 또는 고려장성 유적이라 표기된 부분은
금나라 시기 몽골 방면으로부터의 침입을 방어할 목적으로 쌓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히스토리2 18-05-14 11:16
   
촐라롱콘 님 감사합니다
 
 
Total 20,025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1) 가생이 08-20 90770
15948 [한국사] 부산, 동래의 옛모습 (2) 히스토리2 05-15 1909
15947 [한국사] 이젠 사라진 개화기 건축물 (2) 히스토리2 05-15 958
15946 [기타] 금나라 중장기병 (7) 고이왕 05-15 5224
15945 [한국사] [토크멘터리 전쟁史] 68부 고려의 여진정벌 1 (1) 고이왕 05-15 816
15944 [한국사] 청의 대조선 정책 변화에 대한 고찰(펌) (1) 고이왕 05-15 1137
15943 [한국사] 한국의 근대 건축물(지방) (2) 히스토리2 05-15 907
15942 [기타] 임진왜란 평양성 전투 (2) 관심병자 05-15 2259
15941 [기타] 임진왜란 승리의 주역들 (1) 관심병자 05-15 1203
15940 [한국사] 고조선도 중국史인가 (1) 히스토리2 05-15 1174
15939 [한국사] 간도에 대한 중국의 입장 (1) 히스토리2 05-15 1573
15938 [한국사] 백촌강 전투와 일본의 고민 (3) 히스토리2 05-15 1470
15937 [중국] 마지막 황제 부의의 소련에서의 5년간의 포로생활 (1) 히스토리2 05-15 1902
15936 [중국] 제갈량에 대한 6가지 의문점 히스토리2 05-15 1579
15935 [중국] 당태종 이세민의 혈통에 관하여 (4) 히스토리2 05-15 3177
15934 [한국사] 임정36호 진실은 뭘까요? cordial 05-14 2197
15933 [기타] 수나라 곤룡포의 모습은 (4) 응룡 05-14 1648
15932 [중국] 별명으로 조롱받던 군벌들 [중국근현대사의 인물] 히스토리2 05-14 1576
15931 [기타] 고려 함선 (4) 응룡 05-14 2847
15930 [한국사] 일제시대를 배경으로 한 그림엽서들 히스토리2 05-14 983
15929 [한국사] 이성계의 칼 (7) 호랭이해 05-14 1975
15928 [기타] 고려 곤룡포의 모습 (7) 응룡 05-14 2773
15927 [한국사] 고려의 의복 (3) 고이왕 05-14 6219
15926 [한국사] 신라의 북방계 영향의 투구 그림 (4) 고이왕 05-14 1941
15925 [한국사] 고구려 인구 추정(펌) (13) 고이왕 05-14 1655
15924 [한국사] 고려의 국력을 부러워했던 선조 (7) 고이왕 05-14 1818
15923 [한국사] 고려를 동경한 조선의 양성지... (3) 고이왕 05-14 1064
15922 [한국사] 일본측이 쓴 한반도를 통해 바라본 거란・여진 논문 … (2) 고이왕 05-14 1723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