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8-05-15 07:41
[한국사] 백촌강 전투와 일본의 고민
 글쓴이 : 히스토리2
조회 : 1,469  

백촌강 전투와 일본의 고민


 일본이 다이카 개신에 한창일 때, 한반도 정세는 급변하기 시작하였다. 그동안 신라에 비해 한 수 앞선 국방력을 지닌 백제가 나당연합군의 기습적인 양공작전을 견디지 못하고 패하고 말았다.
 이 때가 서기 660년, 비록 다이카 개신으로 소가 씨 세력을 일축하긴 하였지만 백제개 도래인의 세력은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았다. 말 그대로 소가 씨 일문에 해당하는 멸문지화였을 뿐이다.
 더구나 일본 천황가는 지방 호족들을 견제 할만큼의 강한 힘을 가지고 있지 못하였기 때문에, 상당부분을 백제의 힘에 의존 하고 있었다.
 그런데 그들의 버팀목이었던 백제가 하루아침에 무너져 버런 것이다.

HD역사스페셜023[051014]일본은왜백제부흥에사.jpg



  하지만 백제 부흥운동과 발 맞추어, 내에 있던 백제계 도래인의 출병 요구는 거세어 지기 시작하였다. 여기에 일본에 망명하였던 백제 왕자 부여풍이 부흥군에 가담하면서, 백제 부흥운동은 성공할 듯 보이기도 하였다.
 백제 부흥운동을 주도한 세력은 복신과 도침, 흑치상지 등이었다. 삼국사기의 기록에 의하면 흑치상지는 한 때 3만명의 백제 군대를 수습하여 당의 소정방을 격퇴하고 임존성등을 비롯한 200여성을 회복하기에 이르렀다.

  복신은 주로 백제 부흥군과 일본천황가 사이에 연락을 담당하고 있었다.
  결국 ‘칠지도’에서 언급했듯이 백제의 후국(侯國)이던 야마토왜(大和倭) 왕 사이메이(齊明)는 백제왕족 복신(福信)의 요청으로 백제에 백제복국군(百濟復國軍)을 파견키로 결정하였다. 
  그런데 백제를 부활 시킬 것 처럼 보였던 부흥군은 차츰 와해되기 시작하였다.  우선 당군은 총 병력 4만에 이르는 대 병을 증원 파병하였으며, 흑치상지는 당나라 장군 유인궤에 항복하고 말았다.
 
 그리고 신라와 당 연합군이 고구려 공략에 집중하는 동안 복신은 임존성과 주류성, 부성과 웅진 일대를 회복 할 수 있었으나, 이번에는 복신이 도침을 살해하는 일이 발생하였다.
 이렇게 백제의 부흥운동은 다소 일관성 없이 진행되었을 뿐 아니라, 나당 연합군이 백제부흥군 정벌에 주력할 경우 전쟁의 승산은 거의 없었다.

 그런데 사이메이 천황은 전쟁을 준비하던 도중 갑작스런 죽음을 맞이하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복신의 요청과 백제계 도래인의 압력으로 인해 일본은 더이상 파병을 미룰수 없게 되었다. 그리하여 사이메이에 이어 천황에 오른 텐지(天智)는 상복을 입은 채로 군대를 지휘하여야만 했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일본군선은 1천여척에 이른다고 할 만큼 대단한 기세였다. 그렇지만 실제로는 2만 7천여명의 병력과 4백척의 군함이 전부였다.

 일본군은 금강(錦江
)하류 유역인 白沙(백사)일대에 정박하게 된다. 백촌강은 금강 하류지역의 일본식 명칭이다. 그리고 백제 부흥군은 수가 적은 일본군을 보호하기 위해 주력 정기병을 보내어 주었다.
 하지만 이것은 백제 부흥군의 치명적인 실수였다. 백제 부흥군의 주력이 빠져 나간 것을 알게 된 신라군은, 백제 본진을 쳐 부수고 주류성으로부터 항복을 받아 냈다.

 이렇게 되자 일본군 대부분은 백제 부흥의 마지막 보루였던 임존성에 집결한 것으로 보인다. 임존성에서는 신라와 밀고 당기는 접전이 몇번씩이나 계속되었지만, 이미 성은 완전히 고립무원의 상태에 빠져 있었으며, 수적 열세를 극복할만큼 사기도 높지 않았다.

 결국 일본의 해외파병은 실패로 끝나고 말았으며, 백제 땅에서 일본으로 다시 돌아간 군인은 거의 없었다. 이 전쟁의 여파로 인해 일본내에서 백제계 도래인의 입지가 약해졌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일본내에서도 한반도에서 독립하여 독자적인 길을 개척하고 자 하였다. 그리하여 일본은 마침내 '왜'라는 이름을 버리고 '日本'이라는 독자적인 국호를 정식으로 채택하게 되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촐라롱콘 18-05-15 10:19
   
[[우선 당군은 총 병력 40만에 이르는 대 병을 증원 파병하였으며,
흑치상지는 신라장군 유인궤에 항복하고 말았다.]]
.
.
.
백제원정에 동원된 13만에 달했던 소정방이 이끄는 당나라군 가운데....
이후 백제에 잔류했던 당나라군 병력규모는 사비성에 주둔했던 유인원의 1만,
유인궤 등의 최대 1만..... 모두 합쳐 2만 병력 미만이었습니다.

이들 백제주둔 당나라군이 백제부흥군에게 시달리게 되자..
손인사가 지휘하는 산동의 수군을 주축으로 한 지원군이 파견되는데
병력규모는 7천명 수준이었습니다.
당나라 증원군이 40만이라는 일부 기록은 엄청한 뻥튀기입니다.

일단 증원군 지휘관인 손인사가 백제파견 직전까지 일개 장군에 불과했고...
(기껏해야 1만 이하 병력을 지휘할 수 있는...)
당시 당나라는 고구려를 한창 공략하던 시점이었기 때문에
백제방면으로는 40만은 커녕 4만을 동원하기도 버거운 시기였습니다.

따라서 백제부흥운동 당시의 백제 주둔 당나라군은 손인사의 지원병력까지 포함해도
백제부흥군보다 열세였습니다.
다만 백제주둔 신라군(1만규모)과 2만에 달하는 신라로부터의 증원병력에 힘입어
병력의 열세를 극복했던 형세인데... 백제부흥군을 지원하는 일본의 증원병력 3만이
가세하면서...
전체 병력규모 측면에서는 신라-당 연합군이 백제-일본연합군과 비교해서 호각세 또는
오히려 열세한 상황이었습니다.

그러나 백촌강 전투에서 2~3만병력 400척에 가까운 일본군이 1만여 병력 170척의 당나라군에게
패한 것이 결정타가 되어... 결국 백제부흥군 또한 소멸의 과정을 밟게 됩니다.


그리고 유인궤는 신라장군이 아닌 당나라 장군입니다.
히스토리2 18-05-15 11:22
   
수정했습니다....^^ 인원은 원래 중국이 과장이 많은데, 그냥 원문을 적었구요.....아침에 정신없이 적다 그만
집정관 18-05-15 13:34
   
당나라가 아닌 왜와 친하게 지낸 백제의 참담한 결과라고나 할까요.
 
 
Total 20,025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1) 가생이 08-20 90652
15948 [한국사] 부산, 동래의 옛모습 (2) 히스토리2 05-15 1909
15947 [한국사] 이젠 사라진 개화기 건축물 (2) 히스토리2 05-15 958
15946 [기타] 금나라 중장기병 (7) 고이왕 05-15 5218
15945 [한국사] [토크멘터리 전쟁史] 68부 고려의 여진정벌 1 (1) 고이왕 05-15 816
15944 [한국사] 청의 대조선 정책 변화에 대한 고찰(펌) (1) 고이왕 05-15 1137
15943 [한국사] 한국의 근대 건축물(지방) (2) 히스토리2 05-15 907
15942 [기타] 임진왜란 평양성 전투 (2) 관심병자 05-15 2259
15941 [기타] 임진왜란 승리의 주역들 (1) 관심병자 05-15 1203
15940 [한국사] 고조선도 중국史인가 (1) 히스토리2 05-15 1173
15939 [한국사] 간도에 대한 중국의 입장 (1) 히스토리2 05-15 1572
15938 [한국사] 백촌강 전투와 일본의 고민 (3) 히스토리2 05-15 1470
15937 [중국] 마지막 황제 부의의 소련에서의 5년간의 포로생활 (1) 히스토리2 05-15 1901
15936 [중국] 제갈량에 대한 6가지 의문점 히스토리2 05-15 1579
15935 [중국] 당태종 이세민의 혈통에 관하여 (4) 히스토리2 05-15 3177
15934 [한국사] 임정36호 진실은 뭘까요? cordial 05-14 2197
15933 [기타] 수나라 곤룡포의 모습은 (4) 응룡 05-14 1648
15932 [중국] 별명으로 조롱받던 군벌들 [중국근현대사의 인물] 히스토리2 05-14 1576
15931 [기타] 고려 함선 (4) 응룡 05-14 2847
15930 [한국사] 일제시대를 배경으로 한 그림엽서들 히스토리2 05-14 983
15929 [한국사] 이성계의 칼 (7) 호랭이해 05-14 1975
15928 [기타] 고려 곤룡포의 모습 (7) 응룡 05-14 2773
15927 [한국사] 고려의 의복 (3) 고이왕 05-14 6218
15926 [한국사] 신라의 북방계 영향의 투구 그림 (4) 고이왕 05-14 1940
15925 [한국사] 고구려 인구 추정(펌) (13) 고이왕 05-14 1655
15924 [한국사] 고려의 국력을 부러워했던 선조 (7) 고이왕 05-14 1818
15923 [한국사] 고려를 동경한 조선의 양성지... (3) 고이왕 05-14 1064
15922 [한국사] 일본측이 쓴 한반도를 통해 바라본 거란・여진 논문 … (2) 고이왕 05-14 1723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