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8-05-13 19:04
[한국사] 한국의 대표적인 성벽(백제, 신라 , 가야 성곽도 포함)
 글쓴이 : 히스토리2
조회 : 1,664  

1. 한국의 대표적인 성벽
 
고창읍성.jpg

고창읍성2.jpg

고창읍성3.jpg
고창읍성 
금성산성.jpg
금성산성 
부산진성.png
부산진성 
삼년산성.jpg
삼년산성(신라때 축조)
아차산성(신라).jpg
아차산성(신라때 축조)
안주성 백상루.jpg
안주성 백상루 
안주성.jpg
안주성 
영변성.jpg
영변성 
온달산성.jpg

온달산성2.jpg
온달산성
의주성.jpg
의주성 
파사산성(백제).jpg

파사산성.jpg
파사산성 
화왕산성(가야).jpg

화왕산성(가야)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6시내고환 18-05-13 22:29
   
안주성은 고구려 시대 성곽이죠?
히스토리2 18-05-13 22:33
   
고구려시대부터 축조된 석축 산성.

내성·외성·신성 등 3개의 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중 내성은 고구려시대에 축조되었다고 한다. 현재의 안주성은 995년(성종 14)에 서희(徐熙)가 거란의 침입에 대비하여 축성한 것이며, 그 뒤 조선조에 들어와 1607년(선조 40) 개축하였다. 당시 성의 규모는 주위 3.043보, 높이 13척이었다고 하나 지금은 많이 파괴되어 그 실상을 잘 알 수 없다. 내성은 동서로 긴 형태로 능선과 절벽 및 구릉을 이용하여 성벽을 쌓았는데, 성벽의 아래 부분은 장대석으로 기초를 만들었고 그 위에 3~4단을 퇴물림형식으로 쌓아올렸다. 성벽에서 돌출시켜 쌓은 치성은 동·남·북쪽 성벽에 각각 2개소씩 모두 6개가 설치되어 있다. 성문터는 동·남·북의 3면에 있으며, 장대는 서·남·동쪽의 성벽에 설치되어 있는데, 서장대에는 고려시대에 만든 유명한 백상루가 있다. 이 성 안에 있는 칠성지는 주위가 550m나 되는 인공의 연못으로 안주성 축조 때 함께 조영된 것이다.

이 성은 고려 때는 거란의 침입에 대비하여 이용되었고, 1627년(인조 5) 정묘호란 때에는 후금군의 침입을 받자 남이흥(南以興)이 평안도병마절도사로서 안주목사 김준(金浚) 등과 함께 격전을 벌이다 무기가 떨어져 성이 함락되자 성에 불을 지르고 불 속에 뛰어들어 순직한 역사를 지니고 있다.
히스토리2 18-05-13 22:33
   
네 ^^ 그렇네요 ....저도 몰랐는데 감사합니다
 
 
Total 20,02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1) 가생이 08-20 90277
15919 [한국사] 객사에 대하여 (조선의 대표적인 관공서) (5) 히스토리2 05-13 1491
15918 [한국사] 조선고적도보에서 찾은 천리장성의 비극 (3) 히스토리2 05-13 1572
15917 [한국사] 한국의 대표적인 성벽(백제, 신라 , 가야 성곽도 포함 (3) 히스토리2 05-13 1665
15916 [한국사] 고려 때 천리장성(고려 때 지은 제주의 환해장성보다… (8) 히스토리2 05-13 2989
15915 [한국사] 송나라 도박 05-13 897
15914 [한국사] 일제에 의해 훼손된 화성행궁 (3) 히스토리2 05-13 1832
15913 [한국사] 이 양반들아, 고려가 뭔 동여진을 기미통치해? (6) 감방친구 05-13 1601
15912 [한국사] 한국의 읍성 : 낙안읍성 (1) 히스토리2 05-13 967
15911 [한국사] 고구려 강역의 서한선 (4) 감방친구 05-13 1715
15910 [한국사] 고려시대 강역 (36) 칼리S 05-13 1735
15909 [중국] ‘동북의 왕’ 장쭤린(張作霖)[중국근현대인물사] 2 (1) 히스토리2 05-13 943
15908 [중국] ‘동북의 왕’ 장쭤린(張作霖)[중국근현대인물사] 1 히스토리2 05-13 973
15907 [기타] 고대사학자 심백강 인터뷰 인터뷰(下)- 동아시아의 … (2) 관심병자 05-13 1227
15906 [한국사] 이런 게 의미가 있나요? (11) 감방친구 05-13 1350
15905 [한국사] 고려시대 최대 강역 (24) 감방친구 05-13 3241
15904 [기타] 세계 각국의 헌법 제1조문 (2) 고이왕 05-13 1178
15903 [한국사] 한국전쟁 때 파괴된 우리 문화재 (5) 히스토리2 05-12 2319
15902 [대만] 아편왕이 된 '골든트라이앵글'의 국민당 낙오… (2) 히스토리2 05-12 1630
15901 [한국사] 수원 화성, 과거와 현재 (4) BTSv 05-12 1537
15900 [한국사] 순종의 즉위와 논란(양위인가 대리청정인가?) 히스토리2 05-12 907
15899 [한국사] 수원화성의 옛모습(조선고적도보) (2) 히스토리2 05-12 1416
15898 [한국사] 미국토목학회는 ‘역사적인 토목 구조물 상’의 수… (5) 히스토리2 05-12 1469
15897 [한국사] 이병도에 대한 평가 (3) 히스토리2 05-12 956
15896 [한국사] 이병도의 친일행각 히스토리2 05-12 1016
15895 [한국사] 한국사의 태두 이병도(긍정론) / 자료찾기 무척 어려… 히스토리2 05-12 879
15894 [중국] 한국의 노먼베순 "방우용" 2 히스토리2 05-12 805
15893 [중국] 한국의 노먼베순 "방우용" 1 히스토리2 05-12 1058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