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8-05-06 14:29
[한국사] (최신) 거북선의 실제 원형 모습 추정되는 그림
 글쓴이 : 히스토리2
조회 : 3,458  

200408180325_01.jpg


조선시대 거북선 실물을 묘사한 것으로 추정되는 고서화가 미국의 한국 기업가에 의해 공개됐다.

16_ohyh45.jpg

13_ohyh45.jpg
* 갑옷을 입고있는 조선수군의 모습(포졸의 옷이 아님)


미국 뉴욕주 롱아일랜드의 윤원영 서진무역 사장이, 언론에 공개한 이 고서화는 윤 사장은 평양 숭실학교 교장을 역임한 미국인 선교사 데이비드마우리의 손자 며느리로부터 이 그림을 구입하면서 "1867년 일본 니가타현 인근 성벽을 허물 때 발견된 그림" 이라는 설명을 들었다고 전했다.

70년 마우리 가문은 일본 고미술반출협회 허가를 받고 일본에서 이 그림을 반출해 보관하다 윤 사장에게 매각했다.
윤 사장은 또 "조지아대에서 탄소동위원소 측정기법으로 연대를 측정한 결과이 그림이 300~350년 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됐다" 며 "이는 임진왜란(1592~1598) 이후인 17세기 중반~18세기 초 거북선을 비롯한 당시 군선과 수군 장병의모습을 실제로 보고 그린 그림인 셈" 이라고 설명했다
 

거북선 실물을 그린 것으로 추정되는 17세기경 고서화가 재미 기업인 윤원형씨에 의해 현지시간으로 17일 미국 뉴욕에서 공개됐다. 이 그림은 그동안 학계에서 논란이 되어 온 거북선 원형에 대한 귀중한 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 가로 140cm, 세로 239cm의 크기로 2장의 비단 천에 그려진 이 그림에는 거북선 모양의 배 위에서 회의 중인 장수들과 소형 선박에서 무기를 점검하는 병사들, 물건을 나르는 민간인들이 그려져 있다.

특히 거북선 모양의 배는 1795년 편찬된 ‘이충무공 전서’에 대략적인 스케치 형태로 그려져 있는 2층 구조가 아니라 3층 구조로 돼 있어 눈길을 끈다. 또 왼쪽 하단에 육안 해독이 불가능하긴 하지만 바랜 서체로 거북선 제원이 기록되어 있어 주목된다. 학계는 적외선 촬영을 통해 이 글씨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다운로드.jpg
 

윤씨는 “평양 숭실학교 교장을 역임한 미국인 선교사 데이비드 마우리의 손자며느리인 마우리 여사로부터 지난해 1월 구입했다”면서 “1867년 일본 니가타(新潟)현 인근의 나가오카 성벽을 허물 때 발견된 그림이라는 설명을 마우리 여사로부터 들었다”고 밝혔다.
윤씨는 또 “조지아대에서 탄소동위원소 방식으로 연대를 측정한 결과 300~350년 전 제작된 그림으로 추정된다는 통보를 받았다”고 말했다. 따라서 최고 1640년대의 그림으로 추정이 가능하며 이 경우 임진왜란 후 거북선을 비롯한 당시 군선과 수군 장병의 모습을 실제로 보고 그린 그림일 가능성이 크다. 윤씨는 “그림을 그릴 당시에 사용했던 석채(광물성 물감)가 용머리 방패 깃발 등 일부분에 남아 있고, 나머지 부분은 일본에 건너간 뒤 덧칠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조선시대 거북모양으로 만든 전선(戰船). 일반적인 거북선에 관한 기록은 조선 초기의 《태종실록》에 처음 보인다. 즉, 1413년(태종 13)에 “왕이 임진강 나潁?지나다가 귀선과 왜선으로 꾸민 배들이 해전연습을 하는 모양을 보았다.”라는 구절이 있고, 또 1415년(태종 15)에는 좌대언(左代言, 조선태종 때 좌승지의 다른 이름) 탁신(卓愼)이 “귀선의 전법은 많은 적에 충돌하더라도 적이 해칠 수가 없으니, 결승의 양책(良策)이라 할 수 있으며, 거듭 견고하고 정교하게 만들게 하여 전승의 도구로 갖추어야 한다.”는 뜻을 상소하고 있다. 이러한 기록내용으로 보아, 거북선은 왜구의 격퇴를 위하여 돌격선으로 특수하게 제작된 장갑선(裝甲船)의 일종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거북선의 기원을 왜구의 침해가 가장 심하던 고려 말기로 보는 견해도 있다.이와 같이 거북선은 고려 말, 또는 조선 초에 이미 제조, 사용되었으며,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이순신(李舜臣)에 의하여 전래의 거북선을 개량하여 철갑선으로서의 거북선이 창제, 실용화되었는데 이를 ‘창제귀선(創制龜船)’이라 한다. 창제귀선은 임진왜란 초반의 잇따른 해전에서 함대의 선봉이 되어 돌격선의 위력을 남김없이 과시하였다.


임진왜란 후의 거북선은, ‘창제귀선’의 제원(諸元)에 대한 기술적인 전승을 이루지 못한 채 시대에 따라 변모하며 조선 말기까지 각 수영에 존재하였다. 따라서, 오늘날 가장 큰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것은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에 의하여 창작, 구사된 바로 그 거북선인 것이다.한편, 비록 실현되지는 못하였으나 거북선의 유형에 속하는 배가 따로 구상된 예가 있다. 이미 이순신의 귀선이 용맹을 떨치고 있던 1592년 태자를 호종한 이덕홍(李德弘)은 왕세자에게 올린 상소문에서 귀갑거(龜甲車)의 전법과 귀갑선의 이로움을 아뢰고 있다.

그는 귀갑선의 체제를 “등에 창검을 붙이고, 뱃머리에는 쇠뇌〔弩〕를 매복시키고, 허리에는 판옥(板屋)을 지어 사수를 그 속에 두고……”라 하고, 또 “듣건대 호남의 장수들이 이것을 써서 적선을 크게 무찌르고 있다.”고 언급한 뒤 이듬해 왕에게 올린 상소에서 귀갑선의 구상도를 첨부하여 그것의 제작을 건의하고 있다(艮齋先生文集 卷二).이와 같은 귀갑선의 구상은 그 발상에 있어서 이순신의 창제귀선과 비슷한 데가 있으나, 구조상의 개념은 판이하게 다른 것 같다. 

이 귀갑선의 발상과는 별도로 지금도 거북선에 대하여 귀갑선이라는 명칭이 종종 혼용되고 있다.

3672851355_1a08b18b_turtle_inner.jpg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6시내고환 18-05-06 18:01
   
거북선 실제 크기는 지금 복원한것들보다 훨씬 거대했겠죠 ㅎㅎ
히스토리2 18-05-06 20:35
   
실제 전쟁을 하려면 3층이 되어야 한다고 하네요 ^^ 특히 돌격선 역할을 하려면요
 
 
Total 20,022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1) 가생이 08-20 90058
15837 [한국사] 의친왕과 이우공(사진) 히스토리2 05-07 2831
15836 [한국사] 러일전쟁 이긴 일본 찬양했는데 식민지 조선은 ‘타… (5) 히스토리2 05-07 1652
15835 [일본] 후세 다쓰지..(박열의 변호사) 히스토리2 05-07 1509
15834 [한국사] 치욕의 일제건물 사진 모음 (6) 히스토리2 05-07 2546
15833 [한국사] 만주국 과 간도청 설치운동(한국민 자치령 수립운동) (3) 히스토리2 05-06 2462
15832 [한국사] 러시아의 추위보다 추운 것(펌) (3) 고이왕 05-06 2284
15831 [중국] 만주국 건국의 비사 (1) 히스토리2 05-06 2322
15830 [세계사] 세계 역사에서 역대 GDP 비율 최고 국가 순위 10 (6) 고이왕 05-06 2316
15829 [한국사] 조선 무과 시험 과목들 (2) 고이왕 05-06 2072
15828 [한국사] 봉오동 전투 홍범도 장군의 ‘쓸쓸한’ 말년 (2) 히스토리2 05-06 2705
15827 [한국사] 근대 평양의 모습 (2) 히스토리2 05-06 1881
15826 [중국] 마지막 황제 '부의'가 당한 사기(선통제)... 신… (1) 히스토리2 05-06 2214
15825 [한국사] 개화기 사진들 (2) 히스토리2 05-06 1447
15824 [한국사] (최신) 거북선의 실제 원형 모습 추정되는 그림 (2) 히스토리2 05-06 3459
15823 [한국사] 백제의 명광개(황칠갑옷) (2) 히스토리2 05-06 3966
15822 [중국] 동양의 마타하리... 카와시마 요시코(숙친왕의 딸) (1) 히스토리2 05-06 2257
15821 [한국사] 한국의 마타하리 ...다야마 사다코 (2) 히스토리2 05-06 1732
15820 [한국사] 백제 멸망후 5도독부 명칭, 덕과 득 (5) 도배시러 05-06 1562
15819 [한국사] 경주의 왕릉은 신라 왕릉이 맞을까 ? (3) 도배시러 05-05 1873
15818 [한국사] 비사성이 현 대련시라는 근거를 알려주세요 (20) 감방친구 05-05 2705
15817 [한국사] 위성 지형도를 통한 거란/고려 접경지의 이해 (9) 감방친구 05-05 2236
15816 [기타] 명나라가 티베트를 먹은적이 있나요? (10) 응룡 05-05 3420
15815 [한국사] 거란 동경도 실제 영역 감방친구 05-05 2449
15814 [한국사] 발해 5경의 위치 (6) 감방친구 05-05 2638
15813 [한국사] 한국인보다 한국을 더 사랑한 이방인 "헐버트"[대한… (6) 히스토리2 05-04 3276
15812 [한국사] 미국공주 앨리스(미친...년) 와 한국을 진정으로 사랑… (4) 히스토리2 05-04 2336
15811 [한국사] 거란 동경도 교치상과 고려의 서북계 (3) 감방친구 05-04 1495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