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8-04-30 06:57
[한국사] 고려 영역에 대한 문헌참고 ....
 글쓴이 : 히스토리2
조회 : 831  

5_kosskosa.jpg




1) 그 경계선의 서북쪽은 당나라 이래로 압록강을 경계로 하였고, 동북쪽은 선춘령을 경계로 하였다. 대개 서북쪽은 고구려에 미치지 못하였으나 동북쪽은 고구려의 경계를 넘었다.


 《고려사》




 

2) (윤 5월) 갑자일에 거란에서 오윤판관 야율골타를 파견하여 동북 여진으로 가는 길을 빌려달라 하였으나 이를 승인하지 않았다.


 고려사 5권, 현종 17년

​3) (원풍 5년) '선조 시기에는 여진이 등주에 와서 항상 말을 팔았는데, 뒤에 마행도가 고려에 속하게 되어 막혀서 끊겨 오래도록 오지 않았다고 들었다. 
지금 조정이 고려와 왕래를 하는 데, (고려)왕에게 조서를 내려 여진이 만일 중국에 말을 팔고자 하는 자가 있으면, 마땅히 길을 허락하도록 하겠다.'라는 조서를 내렸다. 그러나 끝내 여진의 사신은 오지 않았다.


속자치통감장편


4) 동북면병마사가 다음과 같이 건의했다. 
“삼산·대란·지즐 등 9개 촌락 및 소을포촌의 번장 염한과 소지즐의 전리 번장 아반이와 대지즐의 여나기나오, 안무이주의 골아이 번장 소은두 등 1238호가 와서 호적에 편입시켜 달라고 요청해 왔습니다. 대지즐로부터 소지즐 요응포 해변까지는 700 리에 걸쳐 장성이 수축되어 있으며 지금 오랑캐들이 줄을 이어 귀부해오고 있는 마당에 관방을 설치하여 그들을 막아서는 안 됩니다. 해당 관리로 하여금 주(州)의 명칭을 정해 보고하게 한 후 밀봉한 공문을 내려 주십시오.” 
왕이 이를 허락했다.


《고려사》, 문종 27년 6월 
 

5) ​한림원에서, 
“동여진의 대란 등 11개 촌락에서 귀부해온 자들이 자기들의 거주 지역을 빈주·이주·복주·항주·서주·습주·민주·대주·경주·부주·완주 등 11개 주로 정해줄 것을 요청해 왔으니 그들에게 각각 밀봉된 공문을 내려 귀주와 순주에 소속시켜 주십시오.” 
라고 건의하자 왕이 이를 허락했다.


《고려사》, 문종 27년 9월 
 

​6) 서북면 병마사가 아뢰기를, 
"서여진의 추장 만두불 등이 동번(동여진)의 예에 의하여 주•군을 나누어 설치해 달라고 청하며 
평로진 근처의 유원 장군 골어부 및 멱해촌의 요결 등 역시 부적하여 영원히 번병이 되겠다고 원하므로 호수가 35호이고 인구가 252명입니다. 청컨대 판도에 등재하소서."


《동국통감》, 문종 27년 5월 
 


7) 동북면 병마사가 아뢰기를, 
"삼산, 대란, 지즐 등의 마을 번장이 1238호를 가지고 와서 부적해주기를 청하니, 청컨대 유사로 하여금 주호를 아뢰어 정하게 하고 또 주기를 내리소서."


《동국통감》, 문종 27년 6월 
 

​8) 서북면 병마사가 아뢰기를, 
"장성 밖에 개간한 전답 11494 경은 청컨대 가을 수확을 기다려 군량에 보태게 하소서." 
하니, 제가하였다.


《동국통감》, 문종 27년 2월




2_kosskosa.jpg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감방친구 18-04-30 07:08
   
감방친구 18-04-30 07:09
   
 
 
Total 20,02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1) 가생이 08-20 90248
15784 [한국사] 무경총요와 거란 동경 (3) 감방친구 05-01 1295
15783 [한국사] 신당서 당은포구와 삼국사기 당은포구 (7) 도배시러 05-01 1176
15782 [한국사] 고려 북계 고찰(고찰까지 갈 건덕지도 없지만) (19) 칼리S 04-30 1697
15781 [한국사] 요택의 위치(시각화 지도) (10) 감방친구 04-30 4113
15780 [기타] 만약 조선이 (2) 응룡 04-30 1373
15779 [기타] 고구려 유리왕의 후실 치희 응룡 04-30 1351
15778 [한국사] 고려 문종의 어의(어복) (2) 히스토리2 04-30 1378
15777 [한국사] 고려 문종 때, 흑수말갈 출신 재상 고열 (흑수부 영역… 히스토리2 04-30 1233
15776 [한국사] 고려 영역에 대한 문헌참고 .... (2) 히스토리2 04-30 832
15775 [한국사] 고려 전기 북방 강역 개략도 (12) 감방친구 04-29 3422
15774 [세계사] 벼의 종주국에 대해서.. (16) 예상했었다 04-29 1796
15773 [한국사] 한번도 기득권을 놓치 않고 역사를 망친 세력들 (3) 히스토리2 04-29 1396
15772 [필리핀] 필리핀을 공격한 중국의 해적 임풍(1574년) (1) 히스토리2 04-29 1581
15771 [중국] 황제의 황음무도가 불러일으킨 후량의 멸망(영화 황… 히스토리2 04-29 1699
15770 [중국] 당태종의 돌궐에 대한 12년간의 신속 (2) 히스토리2 04-29 1832
15769 [중국] 거란의 이중통치 체제에 대한 간략한 소고 (2) 히스토리2 04-29 1040
15768 [한국사] 거란과 고려 접경지 관련 기록 종합 교차 (시각화 지… (8) 감방친구 04-29 2697
15767 [한국사] 각 시대 사서에 기술된 압록강의 위치 (15) 감방친구 04-29 3696
15766 [한국사] 석(三, 石) 빙고. 3원 28수 비가오랴나 04-29 749
15765 [한국사] 북한의 고구려 성 위치 비정과 수나라 침입로 지도 (10) 꼬마러브 04-28 2226
15764 [중국] 인류 역사상 가장 많은 남편을 둔 공주 (3) 히스토리2 04-28 2326
15763 [중국] 황후에서 기녀로 자발적 선택을 한 호태후 (2) 히스토리2 04-28 3224
15762 [한국사] 지나에 존재한 또하나의 백제(신동아 기사 발췌) (3) 히스토리2 04-28 1946
15761 [한국사] 고구려 안장왕과 한씨미녀의 사랑 이야기 (1) 히스토리2 04-28 1432
15760 [한국사] 호위대장이 된 한국 근대건축의 아버지 (1) 히스토리2 04-28 1766
15759 [한국사] 백제 숫자 맞추기 (8) 물길 04-28 1140
15758 [기타] 고려초중반 갑옷및 투구 (7) 응룡 04-28 4932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