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21-12-28 15:44
[한국사] 연나라 계(薊) 위치 고찰(연나라 도성 계는 하북성 거록현이다)
 글쓴이 : 수구리
조회 : 1,234  

연나라 도성 계(薊)는 발해군(덕주시德州市 부근)과 갈석산(태행산맥의 형태시邢台市 부근의 산) 사이에 있는

지금의 하북성 거록현(巨鹿縣)이다(창주시 부근에 한무제가 창해군이 설치했으니 발해군은 덕주시 부근이다)

 

1.  고대 발해(勃海)는 바다가 아니라 '우쩍 일어날 발(勃)'자의 발해군(勃海郡)이다

    고대인들은 지금의 '바다 발(渤)'자의 발해(渤海)를  대해(大海)라고 불렸다

 

    1) 한서지리지 유주 발해(勃海)

       勃海郡 高帝置, 莽曰迎河, 屬幽州. 縣二十六.
       발해군은 고제(高帝)가 설치했고, 왕망이 영하라고 말했다. 현은 26개이다.

 

    2) 후한서(志第十五 五行 三)의 발해군(勃海郡) 내용  
       永康元年(AD 167)八月, 六州大水, 勃海海溢 沒殺人. 
       (환제) 영강(AD 167년) 원년 8월에, 주(州) 여섯 곳에 홍수가 나고,

       발해(군)의 해(海 호수)가 넘쳐 사람들이 빠져 죽였다(발해군의 큰 호수가 홍수로 범람했다고 봐야 함) 

       ※주) 고대인들은 큰 강이나 큰 호수를 해(海 바다)라 했다(勃海海는 발해군의 호수)

 

    3) 후한서  동이열전의 대해(大海)인 지금의 발해(渤海)

        濊 東窮大海.

        예(전한의 창해군, 지금의 하북성 창주시)는 동쪽이 대해(大海)인 지금의 발해(渤海)에 닿았다

 

2. 발해군의 안차현이 후한 시대에 광양군으로 바뀌었으니 발해군과 광양군은 인접해 있었고

   상곡군의 차원현과 군도현이 후한시대에 광양군으로 바뀌었으니 상곡군과 광양군은 인접해 있었다

   따라서 광양군에 속한 연나라 도성 계(薊)의 위치는 발해군(덕주시 부근)과 멀지 않은 거리에 있었다

 

   ※ 후한서 군국지 광양군(廣陽郡)
      廣陽郡 五城. 薊 本燕國, 刺史治. 廣陽, 昌平 故屬上谷, 軍都 故屬上谷, 安次 故屬勃海.
      광양군은 성곽(현)이 5개다, 계현은 본래 연국이었는데 자사가 다스린다. 광양현,

      차원현은 본래 상곡군이었고, 군도현도 본래 상곡군이었으며, 안차현은 본래 발해군이었다

 

3. 연나라 도성 계(薊)는 요임금이 올랐다는 요산(堯山, 연산燕山)이 있고 요임금 후손이 살았던 융요현(隆堯縣)부근이며

   대요수인 부양하(滏陽河)와 소요수인 노장하(老章河)로 둘러쌓인 지금의 하북성 거록현(巨鹿縣)이다

   ※주) 형수시 안평현(安平縣)에는 소요수인 다른 부양하(滏陽河)가 동쪽으로 흘러 대요수인 부양하(滏陽河)와 만난다

 

   1) 연나라 도성 계(薊)는 요(堯) 임금의 후손이 살았던 땅이고 전국 시대 연나라의 마지막 수도였다

       (1) 사마천 사기 주본기(第四)
           武王, 帝堯之後於, 封召公奭於燕.
           주나라 무왕는 요(堯) 임금의 후손을 계(薊) 땅에 봉하고, 소공 석을 연(燕)에 봉하였다.

 

       (2) 사마천 사기 연(燕)소공세가(第四)

           燕王 喜 二十九年(BC 226), 秦攻拔我, 燕王亡, 徙居遼東, 斬丹以獻秦. …… 
           진나라가 연나라의 도성 계(薊)를 빼앗자, 

           연왕은 요동(遼東)으로 도망쳐서는 태자 단의 목을 베어 진나라에 바쳤다.

 

     2) 연나라 도성 계(薊)는 발해군(덕주시德州市 부근)과 갈석산(태행산맥의 형태시邢台市 부근의 산) 사이에 있고

        대요수인 부양하(滏陽河)와 소요수인 노장하(老章河)로 둘러쌓인 지금의 하북성 거록현(巨鹿縣)이다

        (1) 사마천 사기 화식열전(貨殖列傳)
           夫亦 勃碣之閒一都會也.
           연(燕) 역시 발(발해군)와 갈(갈석산) 사이에 있는 도회지이다. 

 

        (2) 한서지리지 연(燕)나라 지역
           薊, 南通齊·趙, 勃·碣之間一都會也
          계(薊)는 남쪽으로 제나라와 조나라와 통하고, 발(발해군)와 갈(갈석산) 사이의 도시다

 

        (3) 염철론(鹽鐵論)의 험고(險固)
           燕 塞碣石, 絶邪谷, 繞援遼.
           연(燕)나라는 갈석산에 의해 막히고, 사곡(사하)에 의해 끊겼으며,

           요수遼水(대요수, 소요수)에 의해 둘러싸였다.

 

4. 거록현(巨鹿縣) 주변 고지도(연나라 도성 계薊 위치 고찰용)

      ※주) 고대 호타하는 병주인 산서성에 있는 강으로 지금(위의 지도)의 하북성 호타하가 아니다

 

              (1) 사마천 사기 소진열전
                  說燕文侯 '... 南有嘑沱·易水. ... ' 索隱按, 滹沲 水名 幷州之川也. 音呼沱 滹沲河.
                  소진이 연(燕) 무후에게 유세하기를 '... 연나라 남쪽에는 호타(嘑沱)·역수(易水)가 있다. ...'
                  색은이 생각건대, 호타(嘑沱)는 물 이름이고 병주(산서성)의 하천이다.

                  발음이 호타(呼沱)이니 호타하(滹沲河)다

              (2) 후한서 군국지 병주(산서성) 안문군(鴈門郡)
                   鹵城 故屬代郡. 山海經曰..泰戲之山 無草木 多金玉 呼沱之水出焉. 郭璞曰..今呼沱河 縣武夫山.

                   周禮..并州 其川呼沱. 魏志曰..建安十年 鑿渠自呼沱入汾 名平虜渠.
                   노성현은 이전에 대군(산서성의 병주의 군)에 속했다.
                   산해경에서 말하기를.. ‘태희산이 있는데 초목이 없고 금과 옥이 많으며 호타수가 나온다’고 했다.

                   곽박이 말하기를.. ‘지금 호타하는 현(縣)의 무부산에서 나온다’고 했다.
                   주례에서 말하기를.. '병주(산서성)의 그 하천이 호타'라고 했다.

                   위지에서 말하기를.. '건안 10년에 도랑을 뚤었는데 호타에서 분수로 들어갔는데

                   이름하기를 평로거라고 했다’고 한다

 

5. 연나라 도성 계(薊) 위치 고찰 지도

※주) 하본기에 강줄기가 9개로 나누었다가 하나로 합쳐진 곳이 역하인 역수라고 했으니

사하가 8개로 나누어지고 하나로 합쳐지는 형태시 남쪽의 형태구룡협은 역하인 역수(易水)

      ※ 사마천 사기 하본기 제우(帝禹)
          北播為九河 同為逆河 入于海
          북쪽으로 아홉 개의 강줄기로 나누어지고 다시 합류하여 하나로 합쳐져

          역하(逆河, 역수)가 되어 바다로 흘러들었다.

 

6. 사마천 사기에 나타나는 연장성과 위만조선 위치

    고조선은 요동(하북성 중부 땅)을 연나라에 빼앗겼다(상곡,어양, 우북평, 요서, 요동) (daum.net)

 

고조선은 요동(하북성 중부 땅)을 연나라에 빼앗겼다(상곡,어양, 우북평, 요서, 요동)

■ 고조선이 연燕나라 장수 진개에게 하북성 중부 땅을 빼앗겼고(석가장시와 호타하 남쪽 지역) 연나라는 산서성 양천시에서 하북성 호타하 강물을 따라서 연장성을 쌓았다 1) 사기의 진섭세가

blog.daum.net

낙랑군 한사군 위만조선 위치는 중국 하북성 중부였다 (daum.net)

 

낙랑군 한사군 위만조선 위치는 중국 하북성 중부였다

■ 사마천 사기를 연구하게 된 목적은 1) 우리 고대사에서 가장 중요한 위만조선과 한사군, 낙랑군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서였고  사마천 사기를 통해서 단군조선의 흔적을 찾는 것은 부수적인

blog.daum.net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Total 5,295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4890 [한국사] 역사 속의 정신문화 (10) 스리랑 01-11 1188
4889 [한국사] 적(狄)은 오랑케가 아니라 단군조선이다 (1) 수구리 01-07 1703
4888 [한국사] 홍산문화_ 고조선 이전 이미 상투, 비녀및 관모를 사… (3) 조지아나 01-06 1842
4887 [한국사] [조선비즈] 뉴스 '시인 윤동주는 중국인?..서경덕… (2) 수구리 01-01 1252
4886 [한국사] 통일 한국의 국기가 여전히 태극기여야 하는 이유 (2) 하린 01-01 1626
4885 [한국사] 서재필의 뿌리는 충남 논산이죠 삼한 12-30 1090
4884 [한국사] 세계 최초 공개! 중국 국보 "중화제일용" 뛰어넘는 걸… (1) 조지아나 12-29 1866
4883 [한국사] 연나라 계(薊) 위치 고찰(연나라 도성 계는 하북성 거… 수구리 12-28 1235
4882 [한국사] 삼국사기 800년 논쟁 밑져야본전 12-27 1356
4881 [한국사] 조선시대(1400년대) 국경선 위치 분석 개요 보리스진 12-27 1664
4880 [한국사] “한국인에게 숨겨야했던 '중국 고대사'의 비… (3) 베를린사가 12-25 3668
4879 [한국사] (보완 완료)고대요동 위치고찰(고대 요동은 하북성 … (3) 수구리 12-23 1530
4878 [한국사] 고대요동 위치고찰(고대 요동은 하북성 중부 형수시… (1) 수구리 12-23 1096
4877 [한국사] 조선의 지수귀문도 마방진 - 전세계에서 한국에서만 … (1) 열공화이팅 12-21 1669
4876 [한국사] 예맥조선의 위치는 하북성 동부해안인 창주시였다 (24) 수구리 12-21 1305
4875 [한국사] 삼한사의 재조명 1권 읽으면서 이해 안되는점.. (7) 밑져야본전 12-20 1019
4874 [한국사] 복기대 교수 최신강의 : 고조선의 이해 (5) 하이시윤 12-20 1235
4873 [한국사] 견훤의 고향은 진짜 어딜까요? (1) 삼한 12-18 1423
4872 [한국사] 한서 28권으로 본 한사군 (33) 위구르 12-17 1382
4871 [한국사] 중국 25사에 나타나는 단군조선(삼조선)의 위치? (1) 수구리 12-17 1291
4870 [한국사] 북부여사 (2) 스리랑 12-17 1044
4869 [한국사] Marauder님이 제기한 두가지 문제에 대해 몇가지 답변 (2) 하이시윤 12-16 893
4868 [한국사] 대한민국의 식민사학자들이 가장 부정하는 책 환단… (5) 스리랑 12-15 1199
4867 [한국사] 환단고기 위서론의 실체 (16) 수구리 12-14 1501
4866 [한국사] 쌀(feat.소로리 볍씨)관련 나무위키 내용 중.. (11) 밑져야본전 12-13 1135
4865 [한국사] 환단고기에 대한 생각 (10) 위구르 12-12 1332
4864 [한국사] 그래 나는 니들이 말하는 진정한 환빠요, 국뽕이다. (30) 스리랑 12-12 1203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