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8-04-24 02:29
[한국사] 시대별 동일지명 기술의 차가 발생하는 이유
 글쓴이 : 감방친구
조회 : 1,273  

A(A국의 국경에 소재한 산, 또는 강의 별칭)
a(A에 인접한 행정지역)

B 동시대 사서
ㅡ 비교적 정확(근거 정보의 정확성 여부에 따라)

C 차대 사서
ㅡ B + A국의 강역 변화에 따라 이동한 A 위치 + A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한 a 위치

D 차대 사서
ㅡ C + B

E1 2차대 사서
ㅡ D + E 시기에 변화한 A국의 강역에 따라 이동한 A와 A를 따라 함께 이동한 a

E2 2차대 사서
ㅡ B +  E 시기에 변화한 A국의 강역에 따라 이동한 A와 A를 따라 함께 이동한 a

대표적 인 게 바로 요수와 압록수/압록강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감방친구 18-04-24 02:54
   
요수의 변화

1 영정하
2 조백하 영정하
3 난하 조백하 영정하
4 대릉하 난하 조백하 영정하
5 난하 대릉하 조백하 영정하
6 대릉하 난하 조백하 영정하
7 대릉하 현 요하 난하 조백하 영정하
8 현 요하

갈석의 변화

1 황하 물길의 변화에 따라 현 천진에서 산동성 사이 이곳 저곳에 비정되고 명명됨

2 낙랑군이 원래 위치에서 진나라 때에 현 천진 지역으로 교치되면서 낙랑군 지리정보에 갈석이 삽임됨

3  낙랑군이 북위 때에 현 보정시 지역으로 교치되면서 그 지역에 갈석이 비정됨

4  갈석 정보와 요수 정보가 섞이면서 요수 건너에 갈석이 있다는 인식이 자리잡음

5  고구려 경계에 갈석이 있었는데 그 갈석은 현 하북성과 산동성 사이의 갈석이거나 천진의 갈석으로 보이는데 나중에 대릉하 동쪽, 현 요하 동쪽, 최후에는 현 서북한까지 옮겨옴

6  끊임 없이 동에서 서, 서에서 동으로 교치된 영주의 정보와 상기 갈석, 요수 정보가 뒤섞여 손 쓸 수 없을 지경이 됨
감방친구 18-04-24 02:57
   
압록의 변화

1 현 동요하~대요하
2 현 대요하
3 현 대요하~혼하
4 현 압록강
5 현 대요하~혼하, 현 압록강, 동요하, 혼하 상류&범하/청하
6 현 압록강
감방친구 18-04-24 03:09
   
요서와 요동의 변화
(요수의 변화와 족적을 비교적 같이 함)

1 진시황 때에 영정하, 혹은 조백하, 혹은 난하 동쪽을 싸그리 요서군으로 편성(실제 통치하지는 않음 왜냐? 고조선 땅이니까 진한공지는 난하 좌우, 또는 난하 서쪽)

2 한나라 때 위만조선 차지하면서 위만조선 자리에 요동군 설치, 이에 진나라 때 편성된 요서군의 동부에 해당하므로 요서군이 서쪽으로 축소됨

3  현도군이 요동군 지역으로 교치, 축소되면서 요동군이 서쪽으로 축소

4 위진 시기에 호동이교위가 설치되면서 현 대릉하/조양 ~ 난하 일대에 기존의 요동, 현도, 낙랑 등이 몰려 있게 됨

5 진북위 시대에 난하 서쪽으로 모두 물러남

6 난하 기준 그 동쪽 전체를 요동으로 부름

7 거란의 요가 등장하면서, 또 거란이 동경을 대릉하에서 요하 동쪽으로 옮기면서 현 요하를 기준으로 요서와 요동을 지칭하게 됨
도배시러 18-04-24 03:21
   
차근차근 추적하는 맛이 있습니다.
한방에 끝낼려면 당나라 괄지지 원본을 찾아야 할겁니다.
     
감방친구 18-04-24 03:33
   
괄지지 자체는 내용이 아쉽더라구요
일단 내일 시각화 작업하여 1차 정리해 보려합니다
감방친구 18-04-24 03:32
   
요산은 의무려산이다
요수는 큰 강이 아니다
큰강은 압록강이지 요수가 아니다

대릉하의 물줄기는 2개인데
현 요하 또한 그 물줄기 가운데 큰 것이 동요하, 서요하로 2개이므로
모양새에 있어 비슷하여 혼동을 주게 된 것이다
또 거란이 황수 지대에 있었는데 황수(현 시라무렌강)는 대릉하 서북쪽에 있으면서 서요하에 흘러든다
이런 것들이 혼동을 주게 된 것이다
지수신 18-04-25 09:33
   
오랜 세월동안 지명이 여러 차례 바뀌고 혼재됨으로 인해, 지리지를 가지고 역사지리를 추정하는 작업은 너무나 지난한 것 같습니다. 강단주류처럼 스승(=일제관학)의 견해를 편의주의적으로 답습해버리면 편하긴 하겠습니다만. 오히려 전쟁 기록을 가지고 추측하는 편이 더 나은 것 같다는 생각도 듭니다.
 
 
Total 20,025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1) 가생이 08-20 90780
15732 [세계사] 600년 전 조상이 그린 지도, 미국 나사 사진과 똑같네 러키가이 04-26 1539
15731 [한국사] 친일파 이용구의 뒤늦은 회환과 참회 (1) 히스토리2 04-26 976
15730 [중국] 푸이의 부친 재풍(짜이펑)의 삶 3 (4) 히스토리2 04-25 1437
15729 [중국] 푸이의 부친 재풍(짜이펑)의 삶 2 히스토리2 04-25 1559
15728 [중국] 푸이의 부친 재풍(짜이펑)의 삶 1 히스토리2 04-25 1580
15727 [한국사] 고구려 본기 정리 (3) 스파게티 04-25 1164
15726 [한국사] 연개소문이 없었다면 당과의 전쟁은 피할 수 있었을 … (3) 히스토리2 04-25 1305
15725 [한국사] 임진왜란때 건립한 왜성에 대하여(서생포, 울산왜성) (4) 히스토리2 04-25 2607
15724 [한국사] 거란 동경과 고구려 각 성의 위치 시각화(수정안 게… (20) 감방친구 04-25 2869
15723 [기타] 누란의 위기에 빠진 조선을 구한 명나라 여인 (1) 응룡 04-25 1372
15722 [기타] 명나라 복식 JPG (2) 응룡 04-25 2537
15721 [한국사] 고구려 평양성(장안성) 입지의 절대적 조건 (13) 지수신 04-25 1222
15720 [한국사] 경희궁 ... 고려 만월대와 가장 닮은 궁궐 (2) 히스토리2 04-25 3225
15719 [한국사] 그림엽서로 보는 일제강점기 한국의 모습 히스토리2 04-25 844
15718 [기타] 청제국 군대 (2) 응룡 04-25 1551
15717 [일본] 헤이안 시대 후지와라 가문의 비밀 히스토리2 04-25 2943
15716 [기타] 조선시대 부부싸움의 기록 (2) 응룡 04-25 1136
15715 [한국사] 거란 요수와 동경 추적 (9) 감방친구 04-25 1747
15714 [다문화] 불교(33천) 부처(부츠=구두=9x2) 구리족, 바둑판 비가오랴나 04-24 1645
15713 [기타] 송나라가 만약에 (4) 응룡 04-24 1307
15712 [한국사] 용산의 일본인들의 자취 (4) 히스토리2 04-24 2335
15711 [기타] 초한쟁패 (1) 응룡 04-24 863
15710 [기타] 이건 무슨 영상인가요? (4) 응룡 04-24 866
15709 [한국사] 거란 동경은 현 요양이 아니었다 (25) 감방친구 04-24 1798
15708 [한국사] 을미사변을 목격한 관문각과 시비찐이 건축한 서양… (3) 히스토리2 04-24 1338
15707 [한국사] 구한말 공사관 산책과 & 사비찐 (4) 히스토리2 04-24 1560
15706 [한국사] 시대별 동일지명 기술의 차가 발생하는 이유 (7) 감방친구 04-24 1274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