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7-01-06 00:48
[한국사] 좌원대첩
 글쓴이 : 두부국
조회 : 2,200  

172년(신대왕 8)과 184년(고국천왕 6)에 국내성() 인근의 좌원()에서 고구려 군대가 중국 후한()의 군대에 승리한 전투이다. 《삼국사기》 ‘고구려본기()’의 신대왕·고국천왕 조와 ‘열전()’의 명림답부() 조에 관련된 기록이 전해진다.

제1차 좌원대첩

삼국사기》의 기록에 따르면, 165년(차대왕 20) 연나()의 조의() 명림답부()는 폭정을 해서 백성들의 원성을 받고 있던 차대왕()을 살해했다. 그리고 좌보() 어지류() 등과 함께 차대왕의 동생인 백고()를 신대왕()으로 옹립했다. 신대왕은 166년(신대왕 2) 명림답부를 국상()으로 임명하고 그에게 군사권을 맡겼다.

168년 신대왕은 후한의 현도군() 태수인 경림()이 군대를 이끌고 공격해오자 복속하겠다는 뜻을 밝히며 화의를 청했다. 그리고 이듬해에는 대가() 우거()와 주부(簿) 연인() 등이 이끄는 군대를 보내 현도 태수 공손도()가 이끄는 후한의 군대와 함께 부산()을 토벌하기도 했다.

하지만 후한은 172년 대군을 동원해 고구려를 다시 침공해왔다. 그러자 신대왕은 명림답부의 의견을 받아들여 성 밖의 식량과 사람들을 모두 비우고 국내성을 굳게 지키며 농성전을 벌였다. 후한의 군대는 성을 함락시키지 못하고 식량이 떨어지자 퇴각하였다. 그러자 명림답부는 수천의 기병을 이끌고 후한의 군대를 추격해 좌원에서 적을 공격해 큰 승리를 거두었다. 신대왕은 명림답부의 공을 치하하며 좌원과 질산()을 그에게 식읍으로 주었다.

한편, 《후한서》와 《삼국지》에는 현도군 태수인 경림이 고구려를 침공해 신대왕의 항복을 받아낸 것이 168년이 아니라, 후한() 영제() 때(169년) 일어난 일로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제1차 좌원대첩에 대한 내용은 전하고 있지 않으며, 《삼국지》에는 오히려 후한 영제 때인 희평(, 172〜178년) 연간에 고구려왕 백고()가 현도군에 복속을 요청해왔다고 기록되어 있다.

제2차 좌원대첩

179년 신대왕이 죽고, 민심을 잃은 그의 맏아들 발기()를 대신해 둘째아들인 고국천왕()이 새로운 임금으로 즉위했다. 184년(고국천왕 6) 후한의 요동군() 태수가 공격해오자 고국천왕은 동생인 계수()를 보내 막게 했으나 패했다. 그러자 고국천왕은 직접 정예 기병을 이끌고 출병하여 좌원에서 후한의 군대를 공격해 큰 승리를 거두었다.

결과와 의의

고구려는 건국한 뒤 영역을 넓히는 과정에서 한나라가 그 지역에 설치한 한군현() 세력과 끊임없이 대립해왔다. 그리고 172년과 184년에 좌원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두 차례에 걸쳐 잇달아 크게 승리하면서 한나라의 영향력에서 벗어나 요동 지역으로 세력을 넓힐 기반을 마련했다. 특히 헌제()가 즉위한 뒤 각지에서 군웅이 할거하면서 한나라는 실질적으로 해체된 것이나 마찬가지의 상태에 이르렀다. 요동 지역도 공손도 이후 공손씨()의 독립국가처럼 되었고, 사회 혼란을 피해 한나라에서 고구려로 투항해오는 사람들도 늘었다. 이러한 후한 말기의 사회적 변동은 고구려가 세력을 넓히는 데도 큰 영향을 끼쳤다.

[네이버 지식백과] 좌원 대첩 [Battle of Jwa-won, 坐原大捷]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434829&cid=40942&categoryId=33375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Total 5,29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757 [한국사] 김춘추는 왜 진골인가? (13) 피닉 01-06 3192
756 [한국사] 조선의 농업기술이 어떻기에 일본보다 우월했던 겁… (34) 아스카라스 01-06 2741
755 [한국사] 고구려 최초의 국상 명림답부 (2) 두부국 01-06 3490
754 [한국사] 좌원대첩 두부국 01-06 2201
753 [한국사] 백제와 북위관련 질문 (6) 탈레스 01-05 2321
752 [한국사] 펌글) 한사군 관련 따끈따끈한 기사가 떴네요!! (24) 목련존자 01-05 4221
751 [한국사] 조선-일본 국력차이 정리 (10) eo987 01-05 4225
750 [한국사] 솔직히 조선의 국력을 너무 과대평가하는 경향이 있… (35) 덜덜덜 01-04 4506
749 [한국사] 백제와 신라의 기술력 차이는 300년 이상 차이 났을겁… (48) 덜덜덜 01-04 4556
748 [한국사] 그런데 부여나 진 대해 아는게 전혀 없군요. (2) Marauder 01-04 1531
747 [한국사] 고조선의 국력은 어느정도였을까요?? (10) 탈레스 01-04 2478
746 [한국사] 신라가 백제의 국력을 넘어선 시기가 언제인가요? (31) 흑요석 01-04 2527
745 [한국사] 펌)드라마로 미화된 선덕여왕의 실체(신라판박근혜) (1) 두리네이터 01-04 2948
744 [한국사] '한국사기' 고조선&부여 편.JPG (8) 흑요석 01-03 3130
743 [한국사] 김유신의 쌀배달을 아직도 이해 못하는 분들이 있는… (18) 타샤 01-03 4123
742 [한국사] 을미사변 명성황후 시해사건의 재해석.(펌) -2 (1) 비좀와라 01-03 2275
741 [한국사] 을미사변 명성황후 시해사건의 재해석.(펌) -1 비좀와라 01-02 2329
740 [한국사] 발해 공주의 초대 두부국 01-01 2716
739 [한국사] 로마제국의 기병 처럼 조선도 혹시 (13) 전쟁망치 12-31 2563
738 [한국사] 얼마전 일뽕의 임나일본부설에 반박한건데요. (10) 탈레스 12-31 2387
737 [한국사] 임진왜란 때 부산의 상황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19) 흑요석 12-30 3444
736 [한국사] 드라마 주몽을 보다가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8) 귀요미지훈 12-28 2492
735 [한국사] '마한'에 대해 궁금한 점이 많습니다. (29) 흑요석 12-28 3245
734 [한국사] 예전에 그것이 알고싶다에서 파헤친 고종의 비자금… (16) 햄돌 12-27 3937
733 [한국사] 고구려 군사 (7) 두부국 12-27 3714
732 [한국사] 중세 국어 (4) 두부국 12-26 1740
731 [한국사] KBS제주 네트워크 특선다큐 - 고대해상왕국, 탐라 (9) 호랭이해 12-25 2458
 <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