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6-09-29 10:36
[한국사] 이징옥의 난
 글쓴이 : 두부국
조회 : 3,638  

이징옥()은 세종() 때에 6진의 개척에 큰 공을 세운 무장()이다. 그는 1423년(세종 5) 황상()의 추천으로 경원() 첨절제사(使)로 임명되어 함길도 지역으로 파견된 뒤 20년 가까이를 그 지역에서 근무하며 북방의 방어를 담당했다. 그는 성격이 굳세고 용감할 뿐 아니라 군령이 매우 엄하여 방어체제를 잘 유지했다. 그리고 여진족의 근거지로 쳐들어가 족장을 죽이는 등 용맹을 떨쳤다.

1438년(세종 20) 모친상을 입은 뒤에 경상도 도절제사와 평안도 도절제사 등을 지내던 이징옥은 1450년(세종 32) 문종이 새로 왕위에 오른 뒤에 부친상을 당한 지 얼마 되지 않았는데도 다시 도절제사로 임명되어 함길도로 파견되었다. 1453년(단종 1) 문종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오른 단종도 명을 내려 이징옥을 함길도 도절제사로 계속해서 유임시켰다.

하지만 조선 최고의 장수이자 김종서()와도 가까운 관계였던 이징옥은 왕위를 노리던 수양대군() 이유(, 제7대 세조) 일파의 주된 표적이 되었다. 1453년 음력 5월 한명회()와 홍달손()은 수양대군에게 이징옥이 안평대군() 이용()과 공모해 경성부사(使) 이경유(㽥)를 시켜 경성()의 병기들을 한양으로 옮겼다며 그의 문책을 주장했다. 그리고 음력 10월 10일 계유정난()을 일으켜 안평대군과 김종서, 황보인() 등을 죽인 뒤에는 곧바로 함길도에 주둔하던 이징옥을 불러들여 그를 제거하려고 했다. 계유정난으로 권력을 장악한 수양대군은 다음날인 음력 10월 11일에 이징옥을 평해()로 유배하라는 명을 내리고, 평안우도 도절제사(使) 박호문()을 그를 대신해 함길도 도절제사로 임명해 파견했다. 음력 10월 13일에는 형조참판() 김문기()가 이징옥이 병기를 빼돌린 혐의가 있다며 고발했고, 음력 10월 17일에는 고신()이 추탈되었다. 그리고 음력 10월 21일에는 우헌납() 김계우() 등이 이징옥을 극형에 처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이처럼 조정에서 자신을 제거하려는 움직임이 진행되는 상황에서 이징옥박호문이 후임으로 임명되어 오자 그에게 병부()를 넘겨주고 길주()에 있던 도절제사영(使)을 떠나 한양으로 향했다. 하지만 도중에 계유정난으로 김종서 등이 죽고 조정에서 자신을 제거하려 한다는 사실을 알고는 다시 길주로 돌아가 박호문을 죽이고 그의 아들 박평손()을 사로잡았다. 그리고 도진무() 이행검()과 함께 도절제사영에 주둔하던 병력을 이끌고 종성절제사(使) 정종()이 지키고 있던 종성()으로 갔다. 그리고 그곳에서 길주와 종성의 병사들로 진영을 갖추고, 각지에 군사를 일으키라는 통문을 보내는 한편 여진의 여러 부족에도 군사 지원을 요청했다. 《조선왕조실록()》에는 당시 그가 스스로 왕위에 오르며 금나라를 계승한 대금()의 황제()임을 자처했다고 기록되어 있으나 ‘단종실록()’은 워낙 세조의 정난()을 합리화하는 내용으로 왜곡되어 있어서 사실 여부를 단정하기는 어렵다.

이징옥이 반란을 일으켰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조정에서는 수양대군을 중외병마도통사(使)로 삼아 토벌군을 꾸렸다. 그리고 각지에 이징옥을 제거하는 데 공을 세우면 크게 포상하겠다고 알리고, 6진 인근의 여진족에게도 반란군에 동조하면 함께 토벌하겠다는 내용의 포고문을 전했다. 하지만 토벌군이 출정하기 전에 종성에 주둔하던 이징옥은 이행검과 정종의 계책에 넘어가 주변의 경계를 느슨히 했다가 이행검과 정종 등에게 기습을 당해 세 아들과 함께 살해되었다. 이징옥의 시신은 거열()로 찢겨졌으며, 그의 머리는 3일 동안 효수되었다가 한양으로 보내졌다.

이처럼 이징옥의 난은 함길도 도절제사로 그 지역에서 큰 영향력을 지니고 있던 이징옥여진족의 지원을 받아 6진의 정예 병력을 이끌고 군사행동을 벌이려 했다는 잠재된 위험성과는 달리 이징옥이 일찍 살해됨으로써 실제 실행으로 옮겨지지는 못하고 끝맺었다. 그래서 박호문이 죽은 것 이외에는 조정이 입은 피해는 거의 없었으며, 오히려 이징옥을 제거하려고 했던 수양대군 일파는 손쉽게 뜻을 이루었다고도 볼 수 있다. 따라서 이 사건으로 북방의 방어가 흔들리는 것을 우려한 조정은 음력 11월 3일 적극적으로 가담했던 몇몇만 처벌하고 나머지는 모두 불문에 붙이겠다고 하여 사건의 파장을 최소화하였다. 이징옥의 형제인 이징석()과 이징규()의 일가도 모두 처벌하지 않고 풀어주었다. 그리고 이징옥을 살해하는 데 공을 세운 인물들을 3등급으로 나누어 포상했는데, 최초로 모의에 참여한 대호군() 이행검()ㆍ종성 절제사(使) 정종()ㆍ종성 판관() 정포()ㆍ전 수만호() 장영() 등 10인이 1등, 이들을 도운 사직() 김익맹() 등 43인이 2등, 이들이 이징옥을 기습하여 죽일 때 군사들을 이끌고 성 밖을 지킨 삼휘() 진무() 전유지() 등 5인이 3등으로 포상되었다. 이징옥을 죽여 당상관()으로 승진된 정종은 이듬해 종성도호부사(使)로 임명되었다.

이징옥의 난은 여진족과 연합해 군사행동을 벌이려 했다는 점에서 특징이 있다. 그리고 실제 군사행동이 벌어지지 않고 이징옥이 살해됨으로써 일찍 진압되었지만, 1467년(세조 13) 이시애()의 난이 일어나는 데도 영향을 끼쳐 조선의 북방 방어와 여진족에 대한 통제력을 약화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네이버 지식백과] 이징옥의 난 [李澄玉─亂] (두산백과)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유수8 16-09-29 13:31
   
그랬군요... 잘보고 갑니다.. 감사염
 
 
Total 5,29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568 [한국사] 구조주의 역사학적 측면에서 본 진짜 한국사 (3) Shark 10-02 2854
567 [한국사] 우리나라는 프랑스에게도 감사해야 하는 거 아닐까… (13) 고이왕 10-01 4296
566 [한국사] 삼국사기 '온달전'은 스파게티 10-01 2683
565 [한국사] 조선 선비가 본 18세기 일본 (23) 흑요석 10-01 5756
564 [한국사] 이순신, 노량해전 직전 쓴 '최후의 작전 서한'… (6) 러키가이 09-30 5409
563 [한국사] <임진왜란 1592> 어떻게 보셨나요? (3) 버섹 09-30 2840
562 [한국사] 동해를 일본해로 표시한 것이 정상으로 보이는 이유 (6) 스리랑 09-29 4021
561 [한국사] 조선속 대금황제 두부국 09-29 3443
560 [한국사] 이징옥의 난 (1) 두부국 09-29 3639
559 [한국사] 조선은 집구석 운영하듯 하다가 망했다는 겁니다 (65) 니똥굵냐 09-27 5063
558 [한국사] 중국애들이 자꾸 한국어내 한자어를 착각하는데.. (15) 고이왕 09-27 5722
557 [한국사] 한명기 선생님이 쓴 명나라 군 행태에 대한 논문입니… (4) 고이왕 09-27 2461
556 [한국사] 우리는 언제부터 전라도를 호남으로 부르게 되었을… (15) 니똥굵냐 09-26 4014
555 [한국사] 임진왜란때 명군이 구원군이고 도움되는 군대였다고… (79) 고이왕 09-25 7741
554 [한국사] 한그릇으로 다같이 먹는 식문화는 5~60년대에 생긴거… (17) 아스카라스 09-24 4928
553 [한국사] 외국인들이 조선에 대해 기록한거 보면 제국주의적 … (5) 르후 09-24 4245
552 [한국사] 임진왜란 거기 김응수말곤 모두일본애들인가요? (8) 디바2 09-24 4356
551 [한국사] 신대문자요? 댄싱킹이 카피캣한건가요? (22) 디바2 09-23 3687
550 [한국사] 조선시대 영상 희귀 자료 (19) 애국자연대 09-21 5424
549 [한국사] 첨성대 기사를 보며 전부터 생각해본건대 (15) 스파게티 09-21 4249
548 [한국사] 개인적으로 이런데서 속국논란 왈가왈부하는건 별 … (43) Marauder 09-20 4143
547 [한국사] 백제 왕릉 발견 (4) 스파게티 09-20 6160
546 [한국사] 청나라내 외국인 사신 서열 - 조선 사신 (15) shrekandy 09-20 7474
545 [한국사] 속국에 관한 총정리 (69) 전략설계 09-20 4086
544 [한국사] 고려 군사 제도 3 (2) 두부국 09-19 3485
543 [한국사] 고려 군사 제도 2 두부국 09-19 2616
542 [한국사] 고려 군사 제도 1 (3) 두부국 09-19 4279
 <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