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6-08-23 13:38
[한국사] [문화 실험실]종이갑옷인데 조총도 못 뚫었다니
 글쓴이 : 러키가이
조회 : 1,725  


[문화 실험실]종이갑옷인데 조총도 못 뚫었다니..

조선시대 갑옷 어땠을까

《‘부산행’을 택했다. 최종 목적지는 부산 금정구에 있는 ‘한국의 전통 갑주’(대표 최항복)였다. 한국의 옛 갑주(甲胄·갑옷과 투구)가 과연 어느 정도 수준이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택한 곳이었다. 국립중앙박물관 등 전시관에서는 조선 갑주를 볼 수는 있었지만 입을 수 없었다. TV용 갑옷은 겉모양만 비슷하게 흉내 낸 ‘소품’이다. ‘한국의 전통 갑주’는 40여 년간 조선의 종이 투구를 만든 연구소란 소개를 받았다. 그곳에 당도한 때는 폭염이 한창인 오후였다.》

○ 조총을 너끈히 막던 조선의 갑주

연구소엔 에어컨이 없었다. 최 대표는 ‘목형(木型·나무 제작 틀)’을 사용한 전통기법으로 만든 투구부터 문헌을 참고해 무게까지 비슷하게 만든 갑옷까지 한 벌의 온전한 조선 후기 ‘두정갑(頭釘甲)’을 내줬다. 무게가 20kg인 갑옷과 2kg 넘는 투구를 입고 쓰고 ‘드림’(투구에 달린 얼굴 가리개)으로 얼굴을 가리니 땀이 주르륵 쏟아진다.

두정갑은 신용카드 절반 크기의 쇳조각 수백 개를 천 안감과 겉감 사이에 넣고 둥근 머리 못인 ‘두정’으로 고정해 만든 갑옷이다. 쇳조각이 직접 닿는 이전 갑옷에 비해 상대적으로 착용감이 좋아 조선시대에 ‘국민 갑옷’이 됐다. 최 대표는 “두정갑의 내구력은 임진왜란 시절의 조총이 뚫기 힘든 정도였다”고 말했다.

○ ‘가성비 갑’ 종이갑옷(紙甲)

이곳에서 입은 두정갑의 주요 소재는 쇠였지만 조선시대엔 가죽(皮), 종이(紙)도 사용됐다. 비싸고 구하기 힘든 철 조각에 비해 주변에서 구하기 쉬운 돼지가죽, 한지가 널리 쓰였다.

그중 종이는 흥미롭다. 질긴 한지를 송진, 아교 등 접착제로 겹겹이 붙인 뒤 옻칠을 한다. 무게는 플라스틱만큼 가볍지만 내구력은 쇠 못지않게 단단해진다. 옻칠만 한 고깔모자 크기의 종이투구 원형의 무게는 200g도 되지 않았다.

관청에서 과거시험 등에 쓰인 종이는 종이갑옷으로 재활용됐다. 김성혜 육군박물관 부관장은 “한지 13겹 이상이 일반적으로 쓰였는데 조총이 뚫기 힘들었다. 값이 싸고 옻칠로 방수와 보온이 됐으며 겹수를 더할수록 내구력이 좋아졌다. 무게가 쇠의 절반도 안 돼 오늘날의 ‘기능성’ 소재라 할 만큼 애용됐다”고 덧붙였다. 이처럼 가성비가 좋은 소재라 일반 백성들도 종이로 만든 갑옷을 쓸 수 있었다.

“갑옷 입은 무사에게 타격을 줄 방법은 두 가지로 요약돼요. 갑옷이 방어하지 못하는 목, 겨드랑이 등을 노리거나 철퇴 등으로 갑옷 위를 때려 충격을 주는 것입니다. 조선 갑옷은 조총이나 일반적 칼로는 치명상을 줄 수 없을 정도로 단단했습니다.”(최형국 한국전통무예연구소장)

직접 입어본 경험과 전문가들의 이야기를 종합했을 때 조선 갑옷은 꽤나 강력한 방어력을 갖추고 있었다. 할리우드 히어로 물이 범람하는 요즘, 한국적 캐릭터를 만든다면 특수 종이갑옷을 입은 캐릭터를 만들어 내도 어색하지 않겠다는 느낌이었다. 서울행 KTX 안에서 문득 종이 소재 기능성 전투복을 입은 한국 히어로가 빌딩 숲을 누비는 스토리 라인이 머릿속을 스쳐 지나갔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코리아헌터 16-08-23 22:04
   
방수는 필수였겠죠. 비오거나 물에 빠지면 오징어로 변신하니까.
 
 
Total 20,026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1) 가생이 08-20 93870
14707 [기타] 발해후손들 (1) 두부국 12-03 1723
14706 [한국사] 조선 vs 명나라 외교 레스토랑스 08-02 1723
14705 [한국사] 고구려 평양이 (현) 평양이 아닌이유 (7) history2 03-13 1723
14704 [한국사] 식민사관 물들인 오피언스 뉴스 (5) 뉴딩턴 11-10 1723
14703 [일본] 모노노케 히메와 일본 고대사 풍림화산투 05-27 1723
14702 [한국사] 석촌동 고분군서 화장된 유골 첫 발견 (1) 뉴딩턴 11-30 1723
14701 [한국사] 신라 황금보검과 동일 삼태극 문양의 류쿠국 국기 (1) 조지아나 07-07 1723
14700 [한국사] 네이처(NATURE) - 한국인의 기원은 요서, "트랜스유라시… (21) 아비바스 09-18 1723
14699 [기타] 사과드립니다 (7) 진정해 05-24 1724
14698 [일본] [2013.5.31 BBC] 검색해야 보이게 올렸네요(묻힐뻔한 영… doysglmetp 05-31 1724
14697 [한국사] 윤관의 별무반 (1) 두부국 11-24 1724
14696 [기타] 비내리는 궁궐의 풍경 히스토리2 04-23 1724
14695 [한국사] 운요호사건과 청국의 반응 히스토리2 06-03 1724
14694 [기타] 표음/표의라는 카피짝퉁어를 쓰면 안 되는 이유 (23) 탄돌2 11-29 1724
14693 [기타] BC 6000년 빛살무뉘 토기 & BC4800년 쿠쿠테니 태극문명 (7) 조지아나 01-08 1724
14692 [북한] 北美 말레이 비공식 대화 종료…北 "현안 얘기"·美 "… Shark 10-23 1725
14691 [한국사] 고구려인은 무엇을 먹고 살았을까? (1) 인류제국 11-06 1725
14690 [다문화] 전기가 끊겨 촛불켜고 생활하다 화재로 숨진 할머니… (3) doysglmetp 11-22 1726
14689 [기타] 미일도 없고 중소도 없습니다 (6) 갈루아 05-22 1726
14688 [한국사] [문화 실험실]종이갑옷인데 조총도 못 뚫었다니 (1) 러키가이 08-23 1726
14687 [다문화] 차별안했다 입증책임 여러분께 있습니다. 내셔널헬쓰 04-07 1727
14686 [기타] 4~5세기 고구려계 벽화고분…한.중.일 국제 학술회의 두부국 03-16 1727
14685 [한국사] 낙랑국의 역사 정리 -3- (7) 꼬마러브 08-13 1727
14684 [기타] 평주자사 최비가 모용부를 치고자 고구려, 우문부, … (1) 관심병자 12-04 1727
14683 [일본] 731부대의 진실(2) (1) history2 04-02 1727
14682 [일본] 일본우익이 곧 치명적인 반미세력.(해외 석학 , 국내… (3) 도다리 11-04 1727
14681 [다문화] 이러다 ‘화교 도지사’ 나올라 내셔널헬쓰 11-24 1728
 <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