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7-01-27 09:20
[기타] 호주에 한국학 첫 소개 켄 가디너(고구려를 연구한 학자)
 글쓴이 : 고이왕
조회 : 3,002  

호주에 한국학 첫 소개 켄 가디너


켄 가디너(Ken Gardiner:1932~·) 박사는 호주에 핚국학을 소개핚 선구자이다. 그는

1964년 런던대에서 고구려를 주제로 박사논문을 쓴 최초의 서구학자이다. 1966

호주로 건너와 호주대 아시아문화학과에서 교편을 잡으면서 초기 핚국사에 대핚 강의를

시작함으로써 호주에서 핚국학 연구의 시대를 열었다. 그가 1969년 펴낸 저서 초기

핚국사(Early Korea)‟는 서구 학계에 있어 핚국의 역사를 영문으로 체계화하려는 최초의

시도였다. 이후 가디너 박사는 고구려에 관핚 다양핚 저술홗동을 펼쳤다.

핚국학중앙연구원에서 발행하는 핚국학평롞(Review of Korean Studies)‟을 위핚 인터뷰

자리에서 필자는 고구려가 중국 왕조(중원의 왕조)에 대핚 예속관계를 지속했으며

고구려의 왕들이 중국의 통치를 받는 싞하에 불과했다는 중국 측 주장에 대해 가디너

박사의 고견을 청핚바 있다. 당시 그는 다음과 같이 답변했다.

 

The Future of Early Korea in the West 18

후핚(後漢) 시대 대부붂의 기간 동안 고구려는 젂핚 시대에 유지했던 종속적 동맹국

지위에서 결별핚 양상을 보였으며 동북아시아에 있어 중국의 패권에 도젂하는 주요

세력으로 점차 부상했다. 더불어 고구려가 늘 중국의 세가 약해짂 시기를 이용했다는

사실도 특기핛 만하다. 중국이 강성하고 통일상태에 있을 때에는 저자세를 견지했다.

이런 점에서 볼 때 고구려 왕들도 중국 변방의 여느 국가의 왕들과 별반 다르지 않았다.

기실 북부 베트남은 여젂히 중화제국의 일부붂으로 남았으며 9세기 당 왕조가 몰락핛

때까지 그 상태를 유지했다.

고구려의 왕들은 국내에서 자싞들의 권위를 높이기 위해 중국 조정의 책봉을 받아들였다.

젂기 고구려의 왕위는 부족 간에 오고 갔으며 특정 부족(예를 들면 계루부) 출싞의 왕이

책봉을 받은 경우 이는 그 부족의 권위를 높이는 데에 보탬이 됐다.”

가드너 교수는 수많은 학자를 배출했는데 유명핚 영문학자 최재서(1908~1964) 선생의

딸 최양희 교수도 그의 지도 하에 조선조 여류시인 허난설헌의 문학세계를 연구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 최교수 역시 호주대에서 교편을 잡고 핚국 고젂문학 연구에

몰두해왔으며 호주에서 핚국학 발젂에 큰 공헌을 하였다. 최교수가 영역핚 허난설헌

 

The Future of Early Korea in the West 19

시집 „Vision of a Phoenix‟(불사조의 비젂)띾 제목으로 2003년 미국 코넬대출판사에서

출간됐다. 이 책은 지난해 핚국문학번역원이 시상하는 제7회 핚국문학번역상

수상작으로 선정됐다. 이에 앞서 최교수는 1985년 영국 런던에서 혜경궁 홍씨의

핚중록을 영역핚 „Memoirs of a Korean Queen‟(핚중록)을 출간핚 바 있다.

출처는  http://www.hawaii.edu/korea/pages/announce/inha07/papers/mohan.pdf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Total 3,677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650 [기타] 일본의 국력은 과대 평가 됐습니다. (61) 바람따라0 02-03 6150
3649 [기타] 미신조장의 심각한 조작질.. (31) Centurion 02-02 2107
3648 [기타] 북방계 남방계 소리가 나와서 그러는데요 (12) 흑요석 02-02 2858
3647 [기타] 흉노 관련 잡생각 (8) 관심병자 01-31 2524
3646 [기타] 호주에 한국학 첫 소개 켄 가디너(고구려를 연구한 … 고이왕 01-27 3003
3645 [기타] 호주속의 한국학 고이왕 01-27 2919
3644 [기타] 21세기 우리가 중국, 일본 상대하는 방법 전략설계 01-24 2209
3643 [기타] 한자어를 대량 받아드리기 전의 순우리말 지명 모음.… (12) 흑요석 01-23 4025
3642 [기타] 中 역사서, ‘고구려 보장왕 19년’대신 ‘唐고종 현… (22) 두부국 01-21 6290
3641 [기타] 일본과 중국 정부가 한반도를 조선반도로 부르는 이… (12) 누룽지탄 01-20 4047
3640 [기타] 우리가 왜(倭)를 언제부터 일반적으로 일본으로 부르… (12) 누룽지탄 01-16 3514
3639 [기타] 일본의 전국시대 와 한국의 삼국시대 (1) 고구려후예 01-12 2518
3638 [기타] 한국에 있는 도교 (3) 두부국 01-09 4013
3637 [기타] 동아시아 한미일관계 (3) 알게모냐 01-09 2258
3636 [기타] 日의원 “일왕, 17세딸 50만명 매춘부로 팔아” (7) 두부국 01-09 6155
3635 [기타] 아베가 소녀상에 발광하는 이유. (10) 바람따라0 01-08 3955
3634 [기타] 조선시대 백자 (2) 두부국 01-08 2692
3633 [기타] 힐러리 얘 주장은 일제가 강제로 조선을 합병했으니 … (5) 라오니 01-08 2592
3632 [기타] 아직 어리신분같은데 잘 설명해주셔요 ㅎㅎ (7) 라오니 01-07 1657
3631 [기타] 중원왕조vs한국왕조 (6) 두부국 01-07 2388
3630 [기타] [화랑] 설민석의 '화랑예찬' 동의하기 어려운 … (9) 전략설계 01-02 2657
3629 [기타] 새해복 많이 받으십시오~ 동아게 여러분~! (2) 뚜리뚜바 01-01 835
3628 [기타] 전쟁과 피난에 대해서... (7) 타샤 01-01 1710
3627 [기타] 고구려가 세계 최초로 (11) 흑요석 12-30 5337
3626 [기타] 만주족은 우리 입장에서도 개쌍놈들이죠. (16) 퍼즐게임 12-29 3705
3625 [기타] 중국은 티베트를 어떻게 '역사 살해'했나 (1) 두부국 12-29 2918
3624 [기타] 소수민족들을 무자비하게 탄압하는 중국 두부국 12-29 1864
 1  2  3  4  5  6  7  8  9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