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3-09-25 19:06
[기타] 아사쿠라 교수 "출신배경 다른 사할린 한인들 김치로 통했다
 글쓴이 : doysglmetp
조회 : 2,569  

 
 
 

아사쿠라 교수 "출신배경 다른 사할린 한인들 김치로 통했다"

 
 
■ 日 아사쿠라 교수, 26일 유네스코 심포지엄서 논문 발표
일제강점기에 끌려온 ‘화태치’…
중앙亞서 돌아온 ‘큰땅뱅이’… 북한서 온 근로자 ‘북선치’
동아일보|입력2013.09.25 03:06|수정2013.09.25 09:52
 
[동아일보]

"서로 다른 역사적 문화적 배경을 지녔고 심지어 말도 잘 안 통하는 사할린 한인들을 하나로 이어주는 것은 다름 아닌 김치였다."

아사쿠라 도시오(朝倉敏夫·63·사진) 일본 국립민족학박물관 교수가 러시아 사할린 지방의 한인사회 음식문화를 연구한 논문 '사할린의 김치에 대한 고찰'에서 김치가 이 지역 한인들의 정체성을 대변하고 나아가 이들을 한민족으로 융합하게 만드는 구심점 역할을 한다고 밝혔다. 아사쿠라 교수는 이런 내용을 한국문화재보호재단 주최로 26일 열리는 유네스코 무형유산자문기구 국제심포지엄 '김치와 김장문화'에서 발표할 예정이다.
 


논문에 따르면 사할린 지방 전체 한인동포는 약 3만 명으로, 그 구성이 매우 다양하다. 일제강점기에 끌려와 이 땅에 뿌리내린 '화태치'(약 60%)가 가장 많고, 옛 소련 스탈린 시절 중앙아시아로 강제이주 당했다가 돌아온 '큰땅뱅이'와 북한에서 벌목장이나 광산에 일하러 왔다 눌러앉은 '북선치'가 나머지를 이룬다. 여기에 일부 남한과 북한 국적 거주자, 중국 조선족까지 일부 뒤섞여 있다.

아사쿠라 교수가 보기에 이곳 한인들은 생김새 외엔 공통점이 많지 않다. 러시아와 중앙아시아, 중국과 한반도에서 몇 대를 거치면서 각기 다른 생활방식을 형성한 탓이다. 하지만 음식문화만큼은 같은 핏줄임을 여실히 보여준다. 식탁에 김치를 빼놓지 않고, 함께 김장을 담그며, 나물을 즐기는 전통은 같은 틀로 찍어낸 듯 닮았다.

재밌는 것은 사할린 김치가 오랜 세월을 거치며 여러 지역 문화가 함께 버무려져 현재에 이르렀다는 점이다. 일제 패망 직후 이 지역 김치는 러시아식 샐러드에 가까웠다. 양배추를 주재료로 양념을 약하게 해 맛이 밍밍했다. 경상도 출신이 많아 김장에 생선을 넣는 풍습은 이어졌는데 현지에서 조달하기 쉬운 연어를 많이 썼다. 그러다 1960년대 이후엔 북한 사람이 대거 유입되며 북한식 백김치를 많이 담갔다.

소련이 무너진 뒤에는 한국의 영향이 절대적이었다. 고춧가루도 듬뿍 넣고 소도 제대로 만들기 시작했다. 현재 사할린 한인 가정에서 50% 이상이 김치냉장고를 쓰는 것도 한국에서 전파된 유행이다. 한국에서 들여오는 고춧가루나 양념은 현지에서 최상품으로 치지만 고가여서 중국산을 많이 이용한다.

놀라운 것은 이런 한국식 김치가 현재 사할린 시장에서 현지 러시아인들에게 가장 잘 팔리는 음식으로 대접받는다는 점이다. 과거 '마늘냄새 난다'며 인종 비하의 대상이 됐던 김치가 이제는 러시아인들의 선호식품으로 바뀌었다. 아사쿠라 교수는 "한국의 경제력이 급상승하고 한류문화가 확산되면서 김치나 나물이 수준 높은 고급 요리로 인기를 끌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런 문화적 변화는 사할린 동포들에게 자긍심으로 이어졌다. 아사쿠라 교수의 인터뷰에 응한 많은 한인들은 출신과 상관없이 김치를 '민족의 피'라며 자랑스러워했다. A 씨는 "이름도 바뀌고 한글도 잊었지만 김치 맛은 잊지 않았기 때문"이라며 "과거 김치라면 눈살을 찌푸리던 러시아인들이 김장을 배우려 하는 걸 보면 매우 뿌듯하다"고 말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우동한끼 13-09-25 21:31
   
Asakura  yu Daddy?
 
 
Total 1,539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512 [기타] 상나라 수도, 고인골 복원 유전자 분석 결과!!! (5) 정의의사도 10-10 3847
1511 [기타] 호주서 중국유학생 무참히 피살…인종증오 범죄 논… (5) doysglmetp 10-10 3402
1510 [기타] [2013 세계한인차세대대회] "러시아의 칼미크 공화국… (1) doysglmetp 10-09 2515
1509 [기타] 빠진부분있으면 보충해서 말해주세요. 횡설수설 10-09 1459
1508 [기타] '日 수산물 검역' 부산 공무원 억대 뇌물 의혹 (5) Poseidon 10-09 2564
1507 [기타] 중국은 흉폭한 나라. 일본은 이기적인 나라. 친미.비… (5) mist21 10-09 2792
1506 [기타] 의존도가 낮을수록 중립이 쉬워져. 우린 중립이 거의… (8) mist21 10-08 2225
1505 [기타] 식민지나 전쟁은 항상 중립 지역에서 생기죠. (11) mist21 10-06 2496
1504 [기타] --- (2) 터틀 10-05 1783
1503 [기타] 혼란속의 동아시아...국제정세속 한국이 나아갈 길은… (6) 우이잉 10-05 3471
1502 [기타] 대마도는 우리땅이다. (14) 인류공영 10-04 3480
1501 [기타] 주류 고대사학계 에서는 병 신들만 교수가 된다 (8) 정의의사도 10-03 3073
1500 [기타] "아시아인 꺼져라"..호주서 인종차별 낙서 '파문&#… (17) doysglmetp 10-02 5047
1499 [기타] 엔하위키쪽 역사서술 믿을만 한가요? (9) 만년삼 10-01 2314
1498 [기타] 프랑스에도 비슷한 사례가 있었죠. (24) 일지매 10-01 3403
1497 [기타] 이 나라가 점점 이상해진다 (235) 암코양이 10-01 6976
1496 [기타] 유럽보다 170년 앞서 세계최초로 온도 조절 가능한 온… (5) doysglmetp 09-28 5344
1495 [기타] 국내 체류 외국인 5대범죄 4년간 60% 증가 (3) doysglmetp 09-28 2093
1494 [기타] 유진룡장관 부석사불상 일본에 반환언급 (1) 로엔그람 09-28 2063
1493 [기타] 친일이 드디어 사라졌네요. (4) 무슨일이야 09-27 2802
1492 [기타] 대한민국에 대한 잘못된 정보, 우리가 찾아내겠습니… doysglmetp 09-26 1849
1491 [기타] 주변국 중 가장 이세상에서 사라졌으면 하는 나라 (25) 무슨일이야 09-25 4012
1490 [기타] "한국, 아시아의 새로운 '투자 천국' 부상" < … (28) doysglmetp 09-25 6172
1489 [기타] 아사쿠라 교수 "출신배경 다른 사할린 한인들 김치로… (1) doysglmetp 09-25 2570
1488 [기타] 중국의 동북공정은 아직도 진행형인가요? (12) 설표 09-25 3108
1487 [기타] 싱가포르, 외국인 근로자 고용절차 강화... 외국인 근… (4) doysglmetp 09-23 2941
1486 [기타] [재한미국인이 본 한국] 아트 강대국, 한국 doysglmetp 09-23 3087
 1  2  3  4  5  6  7  8  9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