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1-08-29 20:11
[기타] 백정[ 白丁 ]들은 잘 모르는 귀.두의 역사(2)
 글쓴이 : skeinlove
조회 : 4,514  

발해(해동성국) + 고려의 관모

 

 

 

 

클릭하시면 원본 이미지를 보실 수 있습니다.

클릭하시면 원본 이미지를 보실 수 있습니다.

 

 

 

*고려시대의 관모는 《고려사》 《고려도경》 및 출토유물과 불화, 초상화를 통해 추측할 수 있다.

 

 

⑴ 건:편복(便服)에는 남자 성인은 누구나 다 두건을 썼는데, 민서(民庶)가 대개 조건(?巾)을 썼다.고려도경에 의하면 민서는 조건, 농상(農商)은 오건사대(烏巾四帶), 진사(進士)는 사대문라건(四帶文羅巾), 정리(丁吏) ·방자(房子)는 문라두건(文羅頭巾), 공기(工技)는 조건, 민장(民長)은 문라건, 구장(驅長)은 오건(烏巾)을 썼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들 건은 모양이 거의 비슷하지만 신분에 따라 건의 옷감이 달랐다.

왕도 평상시에는 조건을 썼다고 하므로 고려시대에는 건이 이미 일정한 형태를 갖추어 한층 널리 썼음을 알 수 있다. 고려경(高麗鏡)에 표현된 고려시대의 건도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난 것처럼 위가 약간 뾰족한 고대의 건의 형태와 큰 차이는 없으며, 단지 머리의 상부를 여유있게 덮어서 상부가 뒤로 젖혀진 모습이 다를 뿐이다.

 

⑵ 복두(?頭):삼국시대까지 남성들이 착용한 책 ·절풍 ·소골 ·조우관 등의 관모는 사라지고 통일신라시대 이후는 왕 이하 서민에 이르기까지 남자는 일률적으로 복두를 썼다. 복두는 중국의 관복이 들어올 때 중국 당나라에서 함께 들어온 것이다. 이것은 계급에 따라 재료에 차이가 있다. 삼국유사 경문왕(景文王) 조에 나오는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이기 때문에 쓰개를 써서 감추었다고 하는 것이 바로 이 복두이다. 고려시대에도 왕 ·문무백관 ·사인에 이르기까지 복두를 썼으며 후에는 양반의 가노(家奴)들까지도 썼다. 그러나 고려말 사모가 등장함에 따라 복두는 특수한 경우에 사용하게 되었다.

그리고 조선시대에는 《경국대전》에 기록되어 있는 것처럼 공복(公服)의 관모로 제정되었으나 정묘호란, 병자호란 이후 공복착용이 사라지면서 용도가 차차 국한되어 관례복과 장원급제시의 관복 등 의식 때만 착용하였다. 복두는 중국기원으로 처음에는 절상건(折上巾)이라고도 하였다. 이 명칭으로 보아 복두는 건에서 비롯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처음에는 한 폭의 검은 천으로 앞에서 뒤로 묶었으며 후주(後周) 무제 때 네모퉁이 끝을 끊어 각(脚)을 만들어 밑으로 늘어뜨렸다.

당나라 때에는 건자(巾子)에 동목(桐木)을 사용하거나 칠사(漆紗)로 만들어 점차 딱딱해졌고 사각(四脚)인 것이 양각(兩脚)으로, 연각(軟脚)이 경각(硬脚)으로 되었다. 왕의 것은 각이 위로 향하고 신하의 것은 각이 밑으로 늘어졌는데 오대(五代)에는 점점 평직으로 변하였다. 송(宋)나라 때에는 평각(平脚) 경질(硬質)의 전각(展脚) 복두였다. 고려시대의 복두는 송나라의 제도를 따라 각이 아주 길고 끝이 약간 위로 올라간 듯한 평각이었다.

 

⑶ 입:《고려도경》에 의하면 하서인(下庶人)의 관모에 방립과 죽관(竹冠)이 있었다고 한다. 방립은 삿갓과 비슷하지만 네귀가 움푹하게 들어가고 다른 부분은 둥그스름 한 것이다. 삼국시대 백제인들이 사용하였다고 하여 나제립이라 하였다. 이것을 고려시대에는 관인(官人)이나 서리(胥吏)가 썼는데 관인은 흑색을, 서리는 백색을 썼다. 공민왕 때(1372년)는 대언(代言), 반주(班主) 이상에게 전부 흑초방립(黑草方笠)을 쓰게 했다.

방립은 조선시대에 계승되었다. 죽관은 《고려도경》에 의하면 고려시대 뱃사람이 쓴 삿갓의 하나로 형태는 모나기도 하고 둥글기도 하여 모양이 일정하지 않았다고 한다. 고려 말기에는 품계(品階)에 따라 정수리에 착용자의 품수에 맞는 백옥 ·청옥 ·수정옥 등의 정자(頂子) 장식을 하여 문무백관도 썼다. 이것은 후에 조선시대의 흑립(黑笠)으로 이어졌다.

 

⑷ 기타:고려시대 여자의 관모는 칠적관(七翟冠) ·몽수(蒙首) ·화관이 있다. 칠적관은 중국에서 들어온 제복에 쓰는 관으로서 왕비가 제복(祭服)을 착용할 때 썼다. 몽수는 개두(蓋頭)라고도 한다. 이것은 당나라에서 멱리(冪) ·유모(?帽) ·개두라고 불렀고, 원래 서역의 부녀자들이 나들이할 때 내외를 하기 위해 머리에 쓴 것이다.

몽수는 검고 얇은 견직물인 라(羅)로 만든 것으로 정수리에서부터 내려뜨려 끝이 땅에 끌릴 정도의 긴 것이다. 조선시대에는 개두로 명칭이 바뀌었다. 화관은 통일신라시대에서 고려시대로 전승되어 귀족계급의 부녀자 예복에 쓰는 관모가 되었다. 족두리(族頭里)는 원(元)나라에서 들어온 것으로 고고리(姑姑里)라는 몽골어에서 유래한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skeinlove 11-08-30 23:55
   
어렵나 내용이~~~~

ㅠㅠ

댓글이 없네 ㅠㅠ
슈퍼파리약 11-08-31 01:31
   
글자 설명에 그림이 없어서 좀...
blackk 11-08-31 09:53
   
사극보면서 관모는 대충 넘어갔는데

님 글로인해 또다른 상식이 생겨났어요~

감사~^^
 
 
Total 104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77 [기타] 1) 우리는 그들에게 70여 년을 속았다. (2) 스리랑 07-22 4962
76 [기타] 꼭 알아야할 오행五行 - 일분만에 따라잡기 (2) 열심히공부 01-06 4805
75 [북한] 北, 평양 근교서 고구려 벽화무덤 또 발굴 (18) 설표 05-26 4520
74 [기타] 백정[ 白丁 ]들은 잘 모르는 귀.두의 역사(2) (3) skeinlove 08-29 4515
73 [기타] 백정[ 白丁 ]들은 잘 모르는 귀.두의 역사(1) (2) skeinlove 08-29 4505
72 [기타] 한국의 전통문화가 오직 '갓쓴 도포자락 선비, 임… (4) 눈찢어진애 05-24 4422
71 [기타] 고구려가 고조선을 계승한 명백한 증거! (4) 정의의사도 03-12 4245
70 [중국] 고구려·발해사가 중국 역사라면 왜 1000년 동안 압록… 똥파리 11-19 3982
69 [기타] 한국역사속 돼지 두부국 10-17 3848
68 [기타] 고대 평양의 위치에 대한 인식 1 가생이중독 08-24 3641
67 [기타] 고구려가 단군 고조선을 계승한 명백한 증거! (6) 유리수에요 07-02 3562
66 [기타] 백제 멸망의비밀 불명예와 오욕을 씻은 의자왕 2편 (3) 싸커보이 10-26 3535
65 [기타] 법륜스님 "홍산문명은 배달,단군조선문명이다" 치우비 08-03 3411
64 [중국] '도올의 중국 일기'출간 및 손석희 앵커와의 … (3) 환빠식민빠 11-03 3327
63 [기타] 삼족오는 결코 짱개 원조가 아니다!!! (5) 정의의사도 04-15 3323
62 [일본] 일본 역사는 한반도 도래인의 의한 정복사 예맥 03-26 3032
61 [기타] 한국사학계에서 썪은 시체냄새가 난다!!!!! -존코벨 (5) 치우비 06-16 2953
60 [기타] 춘향전의 원조 '고구려태왕의 로맨스'를 드라… (3) 숭구리당당 06-24 2757
59 [기타] 고구려 벽화 (2) 두부국 03-06 2655
58 [기타] 김운회의 新고대사: 단군을 넘어 고조선을 넘어 두부국 01-16 2524
57 [기타] 삼족오는 결코 짱개가 원조가 아니다!!! (1) 치우비 06-21 2459
56 [기타] 선비제국 이야기 (1) 두부국 09-24 2354
55 [기타] 한국사학계에서 썩은 시체냄새가 난다!!!!! -존코벨 (3) 유리수에요 12-29 2224
54 [기타] 요하문명이 아니라 고조선문명으로 불러야 gagengi 11-06 1810
53 [기타] 우리나라의 철기시대 (6) 엔타 07-05 5738
52 [기타] 금청 왕조 시조는 신라인.. (28) 땅콩사수 06-06 2611
51 [기타] 한민족이 홍산문명의 직계 후손이라는 증거 (43) 진이 08-02 4481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