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7-11-14 00:04
[한국사] 4000명 vs 3000명 영원산성 전투
 글쓴이 : 레스토랑스
조회 : 1,274  

http://image.fmkorea.com/files/attach/new/20171113/486263/789752372/835931447/aa44f738acd86babcff3529b7f2a291e.JPG


1592년 음력 8월23일~25일

영원산성 전투

 

원주 목사 김제갑은 1591년 68세라는 늙은 나이로

원주목에 부임하였으며,

임진왜란이 발발하던 해에는 69세라는

상당한 고령이었다

 

김제갑은 개전 초기에 도순변사 신립이

최종 방어전을 펼칠때

신립의 부대에 수많은 군수품을 지원했었고,

때문에 원주목에는 군수품이 많이 부족한 상태였다

 

음력 8월 중순

모리 요시나리가 이끄는

왜4군은 동해안을 따라 북상하며

강원도의 각 도시를 큰 저항 없이 점령하였다

 

http://image.fmkorea.com/files/attach/new/20171113/486263/789752372/835931447/f53745ec8b03d4f0ade8da72c94ec9dd.JPG

이에 원주 목사 깁제갑은

원주목의 조선군과 의병, 백성 도합 4000여명을 이끌고

원주에서 동쪽으로 30리 떨어진

영원산성으로 피란하였다

 

음력 8월23일

김제갑은 휘하의 박종남이라는 장수에게

병력을 이끌고 가리평이라는 곳에 매복하고 있으라 명령했다

 

하지만 박종남은 군령을 가벼이 여겨

함부로 휴식을 취하다가

왜군의 기습을 당해 병력을 모두 잃고

홀로 돌아왔다

 

원주목을 점령한 모리 요시나리는

3000의 병력을 뽑아 영원산성을 공격하기로 결정하였다

 

음력8월25일

원주목사 김제갑은

공격해오는 왜군에 맞서 혈전을 벌였으며

총탄에 맞아 몸을 가누기 어려운 상태에서도

활을 쏘며 분전하다 결국 전사하였다

 

김제갑의 차남 김시백이 부친의 시신을 수습하려다가

조총에 맞아 전사하였고,

김제갑의 처 이씨 역시 충격을 받고 xx하였다

 

이에 사람들이 한 가문에서 충.효.열 이 모두 나왔다고 하며

그들을 추모하였다

 

원주목사 김제갑의 발빠른 대응 덕분에

원주목은 강원도의 각 지역 중 유일하게 백성들을 피란 시킨 곳으로 남았다

 

모리의 왜4군은 원주를 점령하는 것은 성공하였으나

이 전투로 인해 큰 피해를 받아

다소 진격이 지체되는 결과를 낳게 되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Total 7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46 [한국사] 20000명 vs 16000명 3차 평양성 전투 (14) 레스토랑스 11-13 1358
45 [한국사] 1500명 vs 10000명 2차 금산성 전투 (1) 레스토랑스 11-13 1498
44 [한국사] 4000명 vs 3000명 영원산성 전투 레스토랑스 11-14 1275
43 [한국사] 1400명 vs 5000명 연안성 전투 (4) 레스토랑스 11-14 1818
42 [한국사] 3800명 vs 30000명 1차 진주성 전투 (2) 레스토랑스 11-15 1779
41 [한국사] 53000명 vs 18000명 4차 평양성 전투 (7) 레스토랑스 11-16 2953
40 [한국사] 43000명 vs 71000명 벽제관 전투 (17) 레스토랑스 11-17 3038
39 [한국사] 4000명 vs 30000명 "행주 전투" (7) 레스토랑스 11-18 1781
38 [한국사] 8000명 vs 93000명 "2차 진주성 전투" (7) 레스토랑스 11-20 2113
37 [한국사] 11000명 vs 56000명 "남원성 전투" (3) 레스토랑스 11-22 1383
36 [한국사] 4000명 vs 5000명 "직산전투" (1) 레스토랑스 11-24 1807
35 [한국사] 고당전쟁의 서쪽 전투는 황하하구 역산이다. -감방친… (21) 도배시러 03-12 1961
34 [기타] 청나라의 치욕적인 패배 - 호톤노르 전투 (1) 응룡 04-14 1129
33 [한국사] 봉오동 전투 홍범도 장군의 ‘쓸쓸한’ 말년 (2) 히스토리2 05-06 2709
32 [한국사] 선조 시절 건주여진 장수가 평가한 조선군 개인 무장… (16) 고이왕 05-08 2296
31 [한국사] 백촌강 전투와 일본의 고민 (3) 히스토리2 05-15 1473
30 [기타] 임진왜란 평양성 전투 (2) 관심병자 05-15 2264
29 [기타] [제시] 신립 충주/탄금대전투의 조선군 규모 이설(異… (5) 관심병자 05-19 1528
28 [한국사] '청나라판 300' 한국사 최악의 패전 쌍령전투 (14) 히스토리2 05-27 2200
27 [기타] 쌍령전투 관련 (5) 관심병자 05-27 1207
26 [기타] 병자호란 전투들(1) 관심병자 05-28 1229
25 [기타] 병자호란 전투들(2) 관심병자 05-28 1019
24 [기타] 병자호란 전투들(3) 관심병자 05-28 1413
23 [기타] 부여성 전투 (2) 관심병자 05-31 1880
22 [세계사] 인류최초의 평화조약,,,,카데시 전투 (1) 보스턴2 09-04 2018
21 [한국사] 썩어도 준치라고 몽골족들의 전투력은 병자호란에서… (22) 촐라롱콘 10-05 5881
20 [한국사] 조선시대 전투 극과극 (8) 레스토랑스 10-30 3149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