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8-05-06 17:24
[한국사] 봉오동 전투 홍범도 장군의 ‘쓸쓸한’ 말년
 글쓴이 : 히스토리2
조회 : 2,709  

1_ohyh45.jpg


봉오동 전투의 영웅으로 널리 알려진 항일의병장 홍범도(1868~1943년) 장군은 말년에 소련군 편입과 레닌의 예우, 강제 퇴역,극장 야간 수위, 정미공장 근로자 등 파란만장한 생애를 살았던 것으로 확인됐다.

카자흐스탄 알마티에서 고려인 관련 장편소설을 집필중인 고려인 작가 정장길(鄭長吉. 65)씨는 27일로 탄신 140주년을 맞아 그간 소장해온 `레닌기치'(현 고려일보 전신. 1938년 창간, 1990년 폐간)의 홍 장군 관련기사를 공개했다.

이는 1920년 6월 봉오동 전투와 3개월 후의 청산리 전투를 승리로 이끈 뒤 일제의 만주지역 독립군 진압작전이 강화되자 연해주를 거쳐 카자흐에 정착해 현지에서 사망했다는 역사적 사실을 세부적으로 뒷받침하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카자흐 크질 오르다에서 발행된 레닌기치는 홍 장군의 탄신 100주년인 1968년 8월27일자 특집기사에서 "자유시 참변이 발생한 1921년 6월28일 이후 홍범도 장군은 휘하 병력 약 300명을 이끌고 이르쿠츠크 소련군 제5군단 합동민족여단 대위로 편입됐다"고 전했다.

레닌기치 기자로 일했던 정씨는 "홍 장군이 연해주로 이동한 1921년에는 소련군과 일제 및 러시아 백군(볼셰비키 혁명반대 세력)간에 치열한 전쟁이 벌어지던 있던시기였다"며 당시 지원세력이 절실했던 `붉은 군대'(소련군)는 홍 장군에게 소련군
편입을 강요했다고 밝혔다.

소련군은 당시 홍 장군의 독립군 부대외에 연해주로 피신해온 5천여명의 여러 독립군 부대에 대해서도 "우선 소련군과 손잡고 일제ㆍ백군과 싸우면 차후에 조선 독립운동을 지원하겠다"며 휘하 편입을 압박했다고 정씨는 설명했다.

하지만 대다수 독립군 부대가 항일투쟁이 급선무라며 편입을 거부하자 소련군은1921년 6월28일 `자유시 참변'을 일으켜 독립군 제거에 나섰고, 이 과정에서 상당수의 독립군이 희생됐다. 살아남은 독립군 부대들은 만주로 되돌아가야 했다.

정씨는 "당시에는 연해주에 먼저 자리를 잡았던 고려인 독립군 부대들이 만주에서 넘어온 조선 독립군 부대들을 끌어들이기 위해 다툼을 벌이고 있던 데다 소련군마저 본격적으로 조선 독립군을 끌어들이려는 '살얼음판' 같은 상황이었다"며 "그런상황에서 홍 장군은 '일단 살아남아 항일투쟁을 계속한다는 생각을 한 것같다"고 말했다.

정씨는 그러면서 홍 장군이 1921년말 모스크바에서 열린 '제1차 동방근로자대회'에 초청받아 레닌으로부터 권총 1자루와 금화 100루블을 선물로 받았으며 이후 얼마되지 않아 25군단 조선인 여단 독립대대 지휘관으로 '승진'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소련군의 고려인 배제정책이 노골화되면서 1923년 군복을 벗어야 했다.

홍 장군은 이후 연해주에서 콜호스(집단농장)를 차려 일하다가 1937년 카자흐스탄 크질 오르다로 강제 이주됐다. 크질 오르다에서는 고려극장의 야간 수위 생활을 했으며, 조국 광복을 이태 앞둔 1943년 눈을 감기 직전엔 정미공장 근로자로 일했던것으로 확인됐다.

레닌기치의 1943년 10월27일자에는 "홍범도 동무가 여러 달 동안 병상에 계시다가 본월 25일 하오 8시에 별세하였기에 그의 친우들에게 부고함. 장례식은 1943년 10월27일 하오 4시에 거행함. 부고자: 크질 오르다 정미공장 일꾼 일동"이라는 부고가 실려 있다. 현재 그의 묘소는 크질 오르다에 있다.

정씨는 "한국의 어느 백과사전에는 '홍 장군이 시베리아에서 방황하다 사망했다'

고 돼 있는 등 한국내에선 홍 장군의 사망경위도 제대로 알려져 있지 않은 것같다"고 안타까워하면서 "레닌기치에 실린 부고내용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출처] 봉오동 전투 홍범도 장군의 ‘쓸쓸한’ 말년(연합통신)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6시내고환 18-05-06 18:06
   
고려인에 관련된 다큐멘터리 보다 알게됬는데 지금은 후손들이 묘 조성하고 잘 관리하고있더군요
정부 차원에서 지원도 했었구요
히스토리2 18-05-06 20:32
   
너무 다행이네요 ^^^ 이 기사보고 마음이 많이 아팠습니다.
 
 
Total 7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46 [한국사] 20000명 vs 16000명 3차 평양성 전투 (14) 레스토랑스 11-13 1358
45 [한국사] 1500명 vs 10000명 2차 금산성 전투 (1) 레스토랑스 11-13 1498
44 [한국사] 4000명 vs 3000명 영원산성 전투 레스토랑스 11-14 1275
43 [한국사] 1400명 vs 5000명 연안성 전투 (4) 레스토랑스 11-14 1818
42 [한국사] 3800명 vs 30000명 1차 진주성 전투 (2) 레스토랑스 11-15 1779
41 [한국사] 53000명 vs 18000명 4차 평양성 전투 (7) 레스토랑스 11-16 2953
40 [한국사] 43000명 vs 71000명 벽제관 전투 (17) 레스토랑스 11-17 3038
39 [한국사] 4000명 vs 30000명 "행주 전투" (7) 레스토랑스 11-18 1781
38 [한국사] 8000명 vs 93000명 "2차 진주성 전투" (7) 레스토랑스 11-20 2113
37 [한국사] 11000명 vs 56000명 "남원성 전투" (3) 레스토랑스 11-22 1383
36 [한국사] 4000명 vs 5000명 "직산전투" (1) 레스토랑스 11-24 1807
35 [한국사] 고당전쟁의 서쪽 전투는 황하하구 역산이다. -감방친… (21) 도배시러 03-12 1961
34 [기타] 청나라의 치욕적인 패배 - 호톤노르 전투 (1) 응룡 04-14 1129
33 [한국사] 봉오동 전투 홍범도 장군의 ‘쓸쓸한’ 말년 (2) 히스토리2 05-06 2710
32 [한국사] 선조 시절 건주여진 장수가 평가한 조선군 개인 무장… (16) 고이왕 05-08 2296
31 [한국사] 백촌강 전투와 일본의 고민 (3) 히스토리2 05-15 1473
30 [기타] 임진왜란 평양성 전투 (2) 관심병자 05-15 2264
29 [기타] [제시] 신립 충주/탄금대전투의 조선군 규모 이설(異… (5) 관심병자 05-19 1528
28 [한국사] '청나라판 300' 한국사 최악의 패전 쌍령전투 (14) 히스토리2 05-27 2200
27 [기타] 쌍령전투 관련 (5) 관심병자 05-27 1207
26 [기타] 병자호란 전투들(1) 관심병자 05-28 1229
25 [기타] 병자호란 전투들(2) 관심병자 05-28 1019
24 [기타] 병자호란 전투들(3) 관심병자 05-28 1413
23 [기타] 부여성 전투 (2) 관심병자 05-31 1880
22 [세계사] 인류최초의 평화조약,,,,카데시 전투 (1) 보스턴2 09-04 2018
21 [한국사] 썩어도 준치라고 몽골족들의 전투력은 병자호란에서… (22) 촐라롱콘 10-05 5881
20 [한국사] 조선시대 전투 극과극 (8) 레스토랑스 10-30 3149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