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7-11-18 22:48
[한국사] 4000명 vs 30000명 "행주 전투"
 글쓴이 : 레스토랑스
조회 : 1,780  

http://image.fmkorea.com/files/attach/new/20171118/486263/789752372/840808887/6346b1cbde39ee03934490c99ad6219d.JPG

1593년 2월 13일

행주 전투

 

음력 1월27일있었던 벽제관 전투에서

이여송이 이끄는 명군이 패퇴하자,

그들과 연합하여 한양을 공격하려던

전라도 순찰사 권율이 이끄는 조선군 4천은 순식간에 꿔다놓은 보릿자루 신세가 되고 말았다

 

사기가 상승한 왜군은 아예 적들의 한양 탈환에 대한 의지를 뿌리 뽑으려고 하였고,

그 전초전으로 행주에 주둔한 조선군이 희생양으로 선정되었다

조선군이 주둔한 곳은 과거 백제시대의 토성을 재활용하여

 간단한 보수작업과 목책을 이용하여 방어선을 구성한

 그냥 언덕이라기엔 튼튼하고 성이라기엔 허술한 곳이었다



http://image.fmkorea.com/files/attach/new/20171118/486263/789752372/840808887/99b983892094b5c6d2fc3736e15da7d1.JPG

왜군은 3만의 병력을 차출하여

총사령관은 왜8군단장 우키타 히데이에

부사령관에 이시다 미츠나리가 맡고,

이 3만의 병력을 7부대로 나눴다

 

1부대장이 왜1군단장 고니시 유키나가,

2부대장이 이시다 미츠나리

 3부대장이 왜3군단장 구로다 나가마사,

4부대장은 우키타 히데이에 본인이 맡는 등

왜군의 난다긴다 하는 노련한 장수진들이 총동원되었다



http://image.fmkorea.com/files/attach/new/20171118/486263/789752372/840808887/ce2e221d17173b1fe1220ea824fff273.JPG

왜군의 공세가 시작되자

조선군은 화차, 신기전, 각종 화포 등을 총동원하여

왜군의 진격을 막았다

 

이로 인해 왜군의 1부대와 2부대는 별다른 성과도 없이 괴멸되었고,

3부대장 구로다 나가마사는 머리를 써서 전형적인 공성전술로

누각을 지어 그 위에 총병과 포병을 올려 조선군을 공격하였다



http://image.fmkorea.com/files/attach/new/20171118/486263/789752372/840808887/2e9890ba4e466c572612a0b95b5c3bf8.JPG

다행히 당시 권율의 부대에는 전라좌수사 이순신에게서 공여받은

천자총통을 다수 보유하고 있었으므로

구로다가 급조한 누각들을 모두 포격으로 무너뜨렸다

 

선봉대가 모두 별 성과를 거두지 못하자

4부대를 이끄는 총사령관 우키타 히데이에가 직접 돌격을 하였다

이에 조선군의 방어선도 무너질 위기에 처했다

이내 조선군이 지닌 모든 화포로

우키타의 대장기 근처로 화력을 말그대로 쏟아 붓자,

우키타 히데이에와 이시다 미츠나리가 부상을 입고 물러났다



http://image.fmkorea.com/files/attach/new/20171118/486263/789752372/840808887/c34b809617bd69df377dbbe7dc895a46.JPG

5부대장 킷카와 히로이에는 화공을 시도하였으나,

이를 미리 대비한 조선군은 많은 물을 보유하고 있었고

화공 역시 실패하였다

 

6부대장 모리 히데모토는 조선군의 서쪽을 공격하였다

하지만 그곳을 지키는 승병부대가

석회 주머니를 터뜨려 호흡기를 공격하는

화학전술을 이용하여 왜군을 후퇴시켰다



http://image.fmkorea.com/files/attach/new/20171118/486263/789752372/840808887/3d6dadbced74de4ed1f7bbfdcf004a45.JPG

조선군이 오랜 전투로 지칠때즘

왜군의 마지막 제7부대를 이끄는 왜6군단장

노장 고바야카와 다카카케가 

조선군의 서북 방어선을 뚫는데 성공하였다

 

방어선 내에서 양군의 치열한 백병전이 벌어졌으나

조선군도 쉽사리 밀리지는 않았다

 

조선군의 화살이 떨어져서 패색이 짙어질 때즘

경기수군절도사 이빈이 군선 2척에 화살 2만발을 싣고

한강을 거슬러 올라와 행주에 나타났다

 

때마침 수시간 전에 한강을 거슬러 올라간 조운선 선단을

이순신의 원군으로 의심하고 있던 왜군은

후방에서의 공격과, 화살을 재보급받아 사기가 오른 조선군에게

포위를 당할까 우려하여 병력을 철수 시켰다

 

전투는 저녁 7시경이 되어서야 끝났다

권율 장군은 왜병들의 시신들을 모아서 찢어버린 후 나무에 걸어놓았다

 

이 전투로 인해 기세가 꺾였던 명군도 자신감을 회복하였고,

장기적으로 왜군은 경기도를 방위할 수 없다고 판단하여

한양을 포기하는 결정적인 결과를 가져왔다

 

이 전투로 전라도 순찰사 권율은 엄청난 유명세를 타게 되었지만,

정작 본인은 생전에 행주 전투보다 이치 전투가 더욱 버거웠다고 고백하였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Assa 17-11-18 23:43
   
전투는 무조건 영화로 만들어야함 조선의 모든 발사무기의 정점을 보여준 전투라고 생각됩니다
     
유수8 17-11-19 07:00
   
22222222
호랭이해 17-11-18 23:58
   
     
Assa 17-11-19 00:59
   
와 이런건처음봤네요...혹시 다른링크는 없으신가요?
          
호랭이해 17-11-19 10:01
   
네 생각나는게 없네요..
국산아몬드 17-11-19 00:13
   
그런데 왜 군복이 포졸복이죠? 포졸복은 포도청에서 경찰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만든 제복입니다
마치 경찰복입고 전투를 하는 이상한 광경입니다. 군인은 군복을 입은것으로 묘사해야죠
자기자신 17-11-19 02:40
   
일본군놈들이 조선에 화약무기에 제데로 혼쭐이 난 전투죠 조선의화포에 제데로 박살난일본군
 
 
Total 7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46 [한국사] '청나라판 300' 한국사 최악의 패전 쌍령전투 (14) 히스토리2 05-27 2199
45 [기타] [제시] 신립 충주/탄금대전투의 조선군 규모 이설(異… (5) 관심병자 05-19 1526
44 [기타] 임진왜란 평양성 전투 (2) 관심병자 05-15 2263
43 [한국사] 백촌강 전투와 일본의 고민 (3) 히스토리2 05-15 1472
42 [한국사] 선조 시절 건주여진 장수가 평가한 조선군 개인 무장… (16) 고이왕 05-08 2296
41 [한국사] 봉오동 전투 홍범도 장군의 ‘쓸쓸한’ 말년 (2) 히스토리2 05-06 2709
40 [기타] 청나라의 치욕적인 패배 - 호톤노르 전투 (1) 응룡 04-14 1128
39 [한국사] 고당전쟁의 서쪽 전투는 황하하구 역산이다. -감방친… (21) 도배시러 03-12 1958
38 [한국사] 4000명 vs 5000명 "직산전투" (1) 레스토랑스 11-24 1806
37 [한국사] 11000명 vs 56000명 "남원성 전투" (3) 레스토랑스 11-22 1382
36 [한국사] 8000명 vs 93000명 "2차 진주성 전투" (7) 레스토랑스 11-20 2112
35 [한국사] 4000명 vs 30000명 "행주 전투" (7) 레스토랑스 11-18 1781
34 [한국사] 43000명 vs 71000명 벽제관 전투 (17) 레스토랑스 11-17 3037
33 [한국사] 53000명 vs 18000명 4차 평양성 전투 (7) 레스토랑스 11-16 2952
32 [한국사] 3800명 vs 30000명 1차 진주성 전투 (2) 레스토랑스 11-15 1779
31 [한국사] 1400명 vs 5000명 연안성 전투 (4) 레스토랑스 11-14 1817
30 [한국사] 4000명 vs 3000명 영원산성 전투 레스토랑스 11-14 1273
29 [한국사] 1500명 vs 10000명 2차 금산성 전투 (1) 레스토랑스 11-13 1496
28 [한국사] 20000명 vs 16000명 3차 평양성 전투 (14) 레스토랑스 11-13 1358
27 [한국사] 4000명 vs 1000명 영천성 전투 레스토랑스 11-12 909
26 [한국사] 1000명 vs 10000명 해정창 전투 (6) 레스토랑스 11-11 1395
25 [한국사] 6000명 vs 18000명 2차 평양성 전투 (1) 레스토랑스 11-11 1254
24 [한국사] 7000명 vs 15700 1차 금산 전투 (1) 레스토랑스 11-11 862
23 [한국사] 1500명 vs 2000명 이치전투 (2) 레스토랑스 11-10 1135
22 [한국사] 1000명 vs 10000명 웅치전투 (4) 레스토랑스 11-09 1425
21 [한국사] 1차 평양성 전투 (1) 레스토랑스 11-09 1126
20 [한국사] 80000명 vs 1600명 용인전투 (5) 레스토랑스 11-08 1639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