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8-04-15 14:16
[한국사] 뭐 이런 지도자가 다 있나?
 글쓴이 : history2
조회 : 711  

뭐 이런 지도자가 다있나!


IE000835959_STD.jpg
                                                      
                                                          만주의 관전현 위치
       

명나라로 가려는 선조의 계획은 평양을 떠날 때부터 구체화됐다. 그래서 평양에 있을 때는 유몽정을, 숙천에 머무를 때는 이덕형을 각각 명나라로 보내 회신을 기다렸다


다운로드.jpg


조선을 떠나려는 임금과 이를 막으려는 대신들의 기싸움은 팽팽하게 맞섰다.

마침내 626일 명나라로부터 소식이 왔다. 갈등이 마무리되는 순간이었다. 내용은 요동의 변방 군사주둔지인 관전보(寬奠堡)의 빈 관아에 조선의 임금을 수용한다는 것이었다

더욱이 수용인원도 100명을 넘지 못한다고 명나라는 못을 박았다.


징비록.E22.150426.HDTV.H264.720p-WITH.mp4_001595932.jpg


선조는 크게 실망했다. 명나라 땅에서 제후처럼 살겠다는 계획이 일장춘몽처럼 깨지자 어찌할 바를 몰랐다

혹시나 싶어 알아본 관전보라는 곳은 압록강 너머 만주벌의 벽촌이었다. 국경인 의주에서 동북으로 200여 리나 떨어져 있었다.

대신들은 수군거렸다. 사실상 유배지나 다름없는 곳에 조선의 임금이 갈 수 있느냐면서 혀를 찼다. 일부는 그곳이 포로나 죄인들이 머무르는 곳이라며 분개했지만, 속으로는 잘됐다며 반겼다. 아무리 임금이 멍청이라도 제 발로 그곳에 가지는 못할 것으로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처음 명나라 북경의 조정은 조선 임금의 망명 의사를 접했을 때 깜짝 놀랐다. 나라에 전쟁이 벌어졌는데, 임금이라는 자가 싸울 생각은 않고 자신만 도망가서 살겠다는 발상이 믿어지지가 않았다

그래서 조선의 임금이 가짜라는 설이 한때 나돌았다. 여러 경로를 통해 가짜가 아닌 진짜로 판명된 이후에는 지능지수가 모자란 얼간이나 바보로 여기게 됐다.

당시 명나라로서는 남의 나라인 조선에 대군을 보내 왜군과 싸울 여력이 없었다. 설혹 대군을 보낸다고 해도 멍청한 조선 임금의 행태를 볼 때 명나라 군사만 피해를 볼 수 있다고 우려했다

GetImage.jpg

류성룡의 징비록

그래서 나온 계획이 조선의 임금을 명나라 변방으로 유배시키는 것이었다. 대신 세자인 광해를 임금으로 삼아 재정비하는 방안이었다.

 때마침 조선의 세자인 광해가 분조를 이끌고 왜군과 맞서 싸우려 한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선조를 폐위시키려는 명나라 조정의 의중과 맞아떨어진 셈이었다. 이제 조선 땅에서 왜군과의 전쟁을 눈앞에 둔 명나라의 시선은 광해의 분조에 쏠려 있었다. 조선의 실질적인 임금이 선조가 아닌 광해가 되는 것은 시간문제였다.

선조는 며칠을 고민했다. 신하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명나라로 가겠다고 고집을 피우다가 막상 외진 유배지와 다름없는 곳으로 가려니 차마 떠날 수가 없었다. 이미 임금으로서 체면이나 위상이 땅에 떨어진 마당이었다

다시 슬그머니 조선 땅에 머무른다는 것도 대신들에게 눈치가 보였다. 하지만 어쩔 수가 없었다.

 

과인은 여러분의 뜻을 헤아려 명나라로 가지 않겠소. 대신 이곳에 오래 머물면서 국정을 돌볼 터이니 처소를 새로 짓도록 하시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history2 18-04-15 17:03
   
솔직히 선조이후, 조선이란 나라의 정체성은 정말, 막장으로 흐르게 되지요...... 백성은 임금이 살던 궁에 불을 지르고, 왜병에 자원하질 않나,,,사실 나중에 왜병이 어려움을 당하면서 조선민중을 핍박해서 의병이 들고 일어난거지 당시, 조선은 백성들이 왕자(임해군)를 잡아서 일본에 갔다 바치는 등 정말 난리도 아니였지요
 
 
Total 3,042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988 [한국사] 고려천자의 군대 (7) 도박 04-17 1730
2987 [한국사] 사서 원문을 제시하는 이유 (1) 감방친구 04-17 841
2986 [한국사] 경복궁이 자금성보다 크다 (13) 도박 04-17 1711
2985 [한국사] 요동과 요동군, 요수와 압록수 감방친구 04-16 874
2984 [한국사] 소소한 역사 탐방(건축왕 정세권, 북촌한옥마을의 설… 히스토리2 04-16 1228
2983 [한국사] 부도지 역법(개요) 비가오랴나 04-16 599
2982 [한국사] 소소한 역사 탐방(서촌산책, 세상의 중심에서 친일을… (3) 히스토리2 04-16 1308
2981 [한국사] 소소한 역사 탐방 (서울 부암동 무릉도원길 산책) (4) 히스토리2 04-16 1092
2980 [한국사] 이성계가 수하로 둔 여진족 세력도(펌) (18) 고이왕 04-16 2412
2979 [한국사] 조선 전기 간도 알박기 계획 (8) 고이왕 04-16 1215
2978 [한국사] 부여와 은나라의 관계 (오행을 비판하는 부도지) (5) 비가오랴나 04-15 1585
2977 [한국사] 치우천왕은 부도지에 나오는 유호씨 이다 비가오랴나 04-15 1095
2976 [한국사] 한국역사에서 가르쳐주지 않는 역사2 (4) history2 04-15 1111
2975 [한국사] 한국역사에서 가르쳐주지 않는 역사1 (3) history2 04-15 1364
2974 [한국사] 한국 역사 지도 변화 AD 57- AD 668 (8) 고이왕 04-15 911
2973 [한국사] 고조선의 역사 고고학적 접근 1 (3) 고이왕 04-15 702
2972 [한국사] 인하대 복기대팀의 고려국경에 대한 신문기사 (아 기… (1) history2 04-15 1143
2971 [한국사] 환빠 (8) 위구르 04-15 771
2970 [한국사] 전쟁에 대처한 임금들의 태도 (4) 위구르 04-15 929
2969 [한국사] 한국전쟁의 숨은 Boss (2) history2 04-15 1220
2968 [한국사] 조선 전기 강역 변천 시각화(지도) 감방친구 04-15 2016
2967 [한국사] 뭐 이런 지도자가 다 있나? (1) history2 04-15 712
2966 [한국사] 발해 동경 용원부의 위치 추적 (12) 남북통일 04-15 958
2965 [한국사] 대한민국이 아직까지 식민사학자들의 세상이 된 이… 스리랑 04-15 654
2964 [한국사] 장지연은 사회진화론의 희생양 인가? (1) history2 04-15 750
2963 [한국사] 加臨土를 믿지는 않지만... 상고문자에 대한 의문 + … history2 04-15 884
2962 [한국사] 가탐 도리기 항로 시각화(지도화) (2) 감방친구 04-15 1474
 1  2  3  4  5  6  7  8  9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