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6-07-08 01:42
[한국사] 잘 알려지지 않은 우리나라 목조 건축물
 글쓴이 : 세끈한펭귄
조회 : 3,908  







아래 동대사와 자금성 이야기 나와서 쓰게됨.

다만 살짝 집고 넘어가자면 있다면, 동대사 정전과 태화전은 최대의 목조 건축이 아닌,'현존하는 세계 최대의 목조건축' 이 되겠음.


당장만 해도 고대 중국 궁궐은 자금성 떡실신하고도 남을 것들이 수두룩함.

넘어가서,

우리나라 거대 목조건축이라 하면 항상 나오는 것이 안학궁, 황룡사 등인데...



솔직히 너무 많이 알려져서 질리지 않을까 해서 써보는 글!

1. 발해 제 2정전google_co_kr_20160708_004741.jpg




발해라 하면 한국 역사상 있던 국가중 손꼽히는 강국.

이 당시 특징이 당 문화가 동아시아 여기저기에 영향을 주던 시대인지라,

발해 역시 수도성과 궁궐의 구조를 중국풍으로 지음. 다만 내부의 양식은 중국풍과 다른데,

고구려 건축양식으로 추정.


발해 황궁의 정전 사이즈가...

google_co_kr_20160708_004018.jpg


태화전 2배로, 떡실신 시키는 수준. 근정전의 3배.

태화전이 60m급이라 생각하면 대충 사이즈가 감이 올거임. 적어도 100m이상.


"근데 지금 중국에 있잖아. 어자피 복원도 못할꺼 정신승리아님? ㅉㅉ" 하는 것들이 있을텐데,


복원의 가망은 없고, 중국이 당풍으로 멋대로 지을려다가도, 너무 큰 규모인 나머지 적당히 방치하고 있는 실정이지만 아직 한국에는 복원계의 이단아들이 있음.

바로,



2. 후백제 왕궁


tistory_com_20160708_003150.jpg


2015년부터 후백제 왕궁을 발굴하기 시작. 본격적인 복원작업을 시작했음.

경상도에서 신라 월성이네, 황룡사네 복원하니 부랴부랴 전라도 쪽도 백제 유물 복원을 시작한 셈인데.


전면이 무려 84m.


후삼국 최강국이였던 후백제였으니, 어쩌면 당연한 것일지도.




2. 신라 실상사.

황룡사에 가려져 잘 알려지지 않은 대사찰.

통일신라 시절 현 전라도 남원지역에 건설된 절인데,


egloos_com_20160708_011303.jpg

거대 목탑터와, 건축물 하나가 발굴되었음.

저 건물터는 궁궐을 제외하고, 온돌을 갖춘 건축으로는 우리나라에서 제일 큰 건물, 즉 한국 최대의 온돌 단일 건물임.

거기다 중앙의 목탑은,


egloos_com_20160708_011202.jpg


9층 70m급에 달하는 사이즈.


egloos_com_20160708_011213.jpg


실상사 목탑터.


egloos_com_20160708_011404.jpg


석등 규모만 보아도 얼마나 큰 규모의 대사찰이였는지 짐작 가능.

 


3. 경복궁 광화문과 흥례문의 은밀한 사이에 있는 의문의 건축지.


egloos_com_20160708_012236.jpg


전면이 50m급이라 하는데 정확힌 모르지만 조선 전기 경복궁의 문이 아닐까 함.

조선 전기 경복궁은 문이 일렬로 4개, 중간에 좌우 1개씩 있었음.


4. 하남시 백제 동사지.


백제 수도의 유력 후보라 추청되는 곳.

그에 맞게 황룡사를 필적하는 절이 있었다는데, 적어도 조선 전기까지 대사찰로 명맥을 유지했다고 함.


egloos_com_20160708_013320.jpg

목탑을 받쳐주는 하대석의 규모가 5m로 당대 최대 규모.


egloos_com_20160708_013352.jpg

동사지 구조. 탑을 중심으로 3개의 정전이 바라보는 모습은, 고구려 절과 일본 호류지에서 볼 수 있음.

이런 구조때문에 중앙의 목탑양식이 고구려 특유의 팔각탑이냐, 사각탑이나로 말이 많음.


더 있는데, 너무 늦고 피곤해서 그만함. 졸리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넘버4 16-07-08 01:54
   
저런것들을 살을 붙여서 빨리 복원해야 되는데..
왜구척살 16-07-08 01:58
   
고구려 정전이 세계최대의 목조 건축물로 알고 있는데 발해인가요?
     
세끈한펭귄 16-07-08 02:03
   
안학궁 정전이 2개 있습니다.
종종 당나라 대명궁 정전보다 크다며 비교하는 건축물은 제 2정전.

발해궁같은 형식의 건축물이 안학궁 제 1정전인데, 발해 정전 쪽이 더 떡대가 클껍니다.
          
왜구척살 16-07-08 02:28
   
책인가 팟캐스트인가에서 고구려 정전이라고 들은 것 같은데 제가 잘 못 들었을 수도 있겠네요ㅎ
냉면제국 16-07-08 02:38
   
맨 아래 설계도는 일본 자료인거 같은데 일본과 같이 발굴 작업 하는건가요?
두부국 16-07-08 04:59
   
잘보고갑니다
뚜리뚜바 16-07-08 12:16
   
고려 무신정권기 최우에 집에도 대 목조건축물이 있었다는데 뒷뜰에 루를 지었는데 1000명이 들어가고도 그 크기가 남아돌아 이름을 대루라고 지었다고 알고 있습니다.

루란 정자와는 다르게 경관 감상용의 성격도 가지면서 연회를 베풀수 있는 2층 마루형 건축물. 현재남아있는 건축물중 루의 최고봉을 꼽으라면 경복궁 경회루겠지만 그 크기에 몇배나 되는 건축물이 황제도 아닌 자의 집 뒤뜰에 있었다니...권력이 얼마나 컸는지 알수있겠죠? ㄷㄷㄷ
 
 
Total 1,67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619 [한국사] 해동천자의 나라 고려 (5) 한산대첩 07-06 4115
1618 [한국사] 고구려보다 넒은 영토와 군사력을 가졌던 발해는 왜 … (30) 레스토랑스 11-02 4090
1617 [한국사] 고구려 발해 여자 만화 그림 (2) 인류제국 10-11 4090
1616 [한국사] 발해 유적 발굴과 발해 영토 추정 변화 (19) 감방친구 10-22 4084
1615 [기타] 당나라 황궁 대명궁 (3) 두부국 11-25 4062
1614 [한국사] 한민족의 뿌리와 족보 스리랑 10-03 4058
1613 [기타] 발해 화폐로 추정되는 금화 첫 공개 (2) 두부국 07-22 4036
1612 [한국사] 발해 멸망과 동단국 사민의 전말(顚末) (7) 감방친구 04-18 4036
1611 [중국] 원나라 시대 민족별 계층 (47) 고독한늑대 08-01 4031
1610 [한국사] 이기동 “한국사 초본 봤다, 통일신라 → 남북국시대… Shark 10-04 4030
1609 [한국사] 나라 이름에 관해 잡생각들 (16) 관심병자 08-01 4024
1608 [기타] 조·청 국경분쟁 (2) 관심병자 03-30 4007
1607 [한국사] 고구려 비사성의 위치(시각화 지도) (11) 감방친구 04-18 4005
1606 [기타] 고구려 사극 방송사들의 놀라운 역사왜곡 (7) 두부국 09-11 3993
1605 [기타] 한국 역사 게임은 왜 보기 힘들까? (13) 아지드 08-27 3990
1604 [한국사] 잘 알려지지 않은 우리나라 목조 건축물 (7) 세끈한펭귄 07-08 3909
1603 [한국사] 고구려어 = 일본어를 퍼뜨리는 일본 공작원(펌) (14) 고이왕 01-19 3907
1602 [한국사] 고토 회복 이란 무척 위험한 생각입니다. (48) 타샤 12-03 3890
1601 [한국사] 한,중,일 삼국역사의 실체(사진 대폭 수정되었습니다… (8) 스리랑 05-01 3880
1600 [기타] 당나라의 전술-육화진법(六花陣法) (3) 인류제국 04-23 3872
1599 [중국] 산동~요동반도, 묘도열도의 1911지도 (30) 도배시러 03-14 3867
1598 [한국사] 님들은 신라를 안 좋게 보시나요? (31) 흑요석 10-14 3862
1597 [기타] '삼국사기' 일식기록, 고구려는 제국, 하북성 … (8) 두부국 06-18 3862
1596 [기타] 어느 발해 지도가 가장 현실적입니까??????? (18) 샤를마뉴 07-18 3821
1595 [한국사] 신간 "한사군은 중국에 있었다" 책소개 합니다. (26) 한라산노루 06-23 3806
1594 [한국사] 고구려 안시성, 오골성, 신성, 남소성 등의 위치 고찰 (13) 감방친구 12-17 3793
1593 [한국사] 947년, 석중귀와 황룡부 (6) 감방친구 04-01 3790
 1  2  3  4  5  6  7  8  9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