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20-11-05 19:59
[한국사] 호복(胡服)이라는 말 함부로 쓰지마세요
 글쓴이 : 감방친구
조회 : 1,251  

이 용어가 나올 때 됐는데 하고 있었는데
아니나 다를까
어김 없이 나오는군요

중국(지역적 개념)에서 북방 제민족의 복식을 비하하여
칭한 것이 이른 바 胡服입니다

그리고 우리 의복사학계에서도
사대주의, 중국중심주의적 세계관을 벗지 못 하고
우리 민족의 복식을 범주한 게 胡服이고요

우리가 오랑캐입니까?

엄밀히 써야지요
그냥 胡服 할 것이 아니라
"고대 중국에서 胡服이라 칭한"이라고 두서를 달아야죠

중국의 본래 복식은
동남아 및 일본의 전통복식과 마찬가지로
남자도 치마를 입거나
여미는 원피스 형태의 복식이었습니다

인류사적으로 보면
치마나 원피스 형태의 옷을 입는 지역이 훨씬 광범위했습니다

그리고
한나라 때의 혈통적 족속도
본래 중국 중심지의 족속이 아니라
초, 오, 월 지방의 이른 바 남만이
한나라 건국에 대거 용병으로서 참여하면서
뒤섞이며 물갈이 됐습니다

그리고 그 이전의 이른 바 고중국인은
지금의 중국인과 많이 다른데
이들은 고아시아 족속으로서
유전적 특화가 흉노나 고조선 계통의 족속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된 인족입니다

요서와 만주(연해주), 한반도의 인족적 특질은
이미 BC 4천 년 경부터 나타납니다

# BC7세기 전후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mymiky 20-11-05 20:04
   
어쨎든ㅡ 한복이랑 한푸는 (근본)이 다르다는 말씀!
섬나라호빗 20-11-05 20:06
   
역시 잘 아십니다. 중국넘들 것은 원피스가 기본이죠. 우리는 투피스.

저도 오랑캐 호가 들어가면 싫어했는데, 요즘 아주 타문화를 자기것으로 만들려고 안달난 거 보면

호자가 아주 나쁘진 않다고 생각합니다. 어쨌든 그건 구별을 뜻하니깐요.
윈도우폰 20-11-05 20:30
   
중국 옷이나 왜의 옷은 재단 개념이 없이 천을 잘라서 봉제한 것임
그에 반해 한복은 입체재단까지는 아니지만 재단개념이 들어간다는 점에서 중공이나 왜 등 이웃 나라와는 차이가 큼

재단개념이 없다 보니 그냥 염색이나 자수 등으로 화려하게 표현하는게 다인 것이 기모노나 중국 옷인데...이들 복식은 아무리 멋있게 보여도 의상학적으로 낮은 수준의 옷임...

그 이유는 무엇보다 피팅이 잘 안 된 옷이라는 점... 그나마 청나라 들어서 북방복식의 영향을 받아 나름 제대로 된 재단개념이 접목된 옷이 생긴 것임...뭐...치파오라는 것을 보면 피팅감이 엄첨 뛰어난데...베트남 아오자이랑 함께근19세기 중엽 이후 서구의 영향을 받아 만들어진 변형된 전통복식이기 때문임

재단이 개념이 약한 옷들은 염색과 자수를 포함한 장식적인 부분으로 치장하는데...그러다 보니 몇 미터 떨어져서 보면 화려함...하지만 옷감이 안 좋거나 염색 수준이 떨어지면...왜의 목욕가운(오후로)과 같은 옷이 되버림...그런게 왜의 대표적인 복식이고...지금 일반화된 화려한 기모노는 게이샤 옷일 뿐임

같은 패턴으로 대량생산하기 위해서는  현대의 복식처럼 같은 패턴을 만들거나(marking) 사이즈별 grading을 할 수 있도록 소위 입체재단으로 가야하는데...동양3국 그 어디도 여기 수준까지는 못감....그 나마 우리 한복의 평면재단은 왜의 복식이나 짱개 복식과는 같이 비교할 급이 아님.

한 복은 grading으로 여러 사이즈를 같은 패턴으로 만드는 현대식 입체재단까지는 못 갔지만 동아시아 복식 중 거의 유일하게 평면재단을 적용하여 맵시를 잡았다는 점에서 중국이나 왜와는 비교하기 어려운 것임.

고구려나 백제의 의복을 보면 하프코트 같이 긴 겉옷이 바로 평면재단을 적용한 옷의 특징... 반면 중공인들이 되살리고 싶어하는 한푸라는 것은 각 부위에 적합하게 재단하는 부분이 최소화되어 있음...전체적으로 보면 그냥 잘라서 바느질한 단순 봉제 수준

중국의 한푸랍시고 올라오는 사진 중 선녀옷 같다고 좋게 얘기되는 것들 보면 재단적 요소 때문에 예쁜게 아나라  플라넬과 같은 소재를 통해 하늘하늘 거리게 해서 그런건데...일반적인 면포나 비단으로 그런 느낌을 못냄

재단개념이 없다 보니 그냥 염색이나 자수로 화려하게 표현하는게 기모노나 중국 옷은 고대 희랍이나 로마시대
튜닉과 마찬가지로 원시적인 옷에 불과함...의상학적으로 보면^^
     
감방친구 20-11-05 20:36
   
한복이 입체적이라고 하신 것은 아주 탁견이십니다

예전에 (아마도 이어령 선생) 누군가 저명한 사람이
한복을 평면의 미학이라고 평했는데
어린 시절 그걸 읽고 동의하기 어려웠습니다

저고리의 여밈도
우리와 쭝궈는 여밈의 정도가 대대로 분명히 있었습니다
쭝궈는 상체를 휘감는 방식으로 여몄죠

이런 걸 구분하지 못 하고 한복 디자이너들이
자꾸 중국식 미감으로 우리옷을 디자인해냅니다
 
 
Total 5,29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4321 [한국사] 중국 많이 컸네. 거지국가 였는데..... (5) 대숑여사친 11-08 1037
4320 [한국사] 한국인을 찾으세요 (12) 예왕지인 11-07 1093
4319 [한국사] 1909년 환단고기 (등사본 환단고기 처음 대중에 공개) (20) 보리스진 11-07 1398
4318 [한국사] 광해군 VS 명나라 VS 청나라 VS 이자성?! 예왕지인 11-07 714
4317 [한국사] 임진왜란의 엄청난 은인이였던, 조선덕후 명나라 황… (23) 예왕지인 11-07 1274
4316 [한국사] 아리랑의 뿌리는 중국 입니다 (35) 예왕지인 11-07 1432
4315 [한국사] 한국의 한복은 왜 관복과 예복은 중국이랑 비슷할까?… (34) 예왕지인 11-06 1227
4314 [한국사] 대한민국 내부의 식민사학자들 스리랑 11-06 920
4313 [한국사] [팩트체크] 우리 한복이 중국 명나라에서 유래했다? (1) ssak 11-06 939
4312 [한국사] 한복과 한푸 논쟁 관련해서 정리 해봅니다. (2) 탈레스2 11-05 864
4311 [한국사] 호복(胡服)이라는 말 함부로 쓰지마세요 (4) 감방친구 11-05 1252
4310 [한국사] 고구려 의복 예복 관복도 한나라 빼박이네요 (16) 예왕지인 11-05 1316
4309 [한국사] 몽골 의복 vs 한복 차이 논쟁 (22) 예왕지인 11-04 1969
4308 [한국사] 동명왕릉(북한 문화재) (7) mymiky 11-01 1299
4307 [한국사] 북한 및 러시아 쪽에서 말하는 우리 고대사 강역 (19) 윈도우폰 11-01 1719
4306 [한국사] 북한에 있는 고구려 주몽 무덤은 가짜죠? (10) 예왕지인 11-01 1148
4305 [한국사] 해외에서 보는 아요이계는 한반도인+백월계 (6) 예왕지인 11-01 1132
4304 [한국사] 금나라의 출자에 대해서(ft. 흑수말갈) (17) 감방친구 10-29 1761
4303 [한국사] 속말갈갈 vs 흑수말갈 (19) 예왕지인 10-29 1495
4302 [한국사] 조선 초기의 청자들 mymiky 10-29 1140
4301 [한국사] 역사속의 진정한 알맹이 정신문화 스리랑 10-25 1356
4300 [한국사] 학자들은 정조의 우상화를 경계해야 한다 (1) mymiky 10-24 1578
4299 [한국사] 재독학자가 본 조선후기 ㅡ 정조는 사실 폭군이였다? (2) mymiky 10-24 1490
4298 [한국사] 식민사학자들의 등쌀에 쫒겨나다시피한 김용섭교수 (4) 스리랑 10-23 1862
4297 [한국사] '한국사의 숨은 신' 김용섭 연세대 명예교수 … (2) 지골 10-22 1537
4296 [한국사] 식민사학에 찌든 강단사학과 맞섰던 최재석교수 스리랑 10-21 1326
4295 [한국사] 이을형 전 숭실대 법대교수) 한심한 역사학자들 (1) 스리랑 10-19 1553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