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7-05-01 16:57
[한국사] 교민이 찾아낸 고구려 불상, 한반도 불교미술사 새로 쓴다
 글쓴이 : 인류제국
조회 : 2,824  

한국 불교미술의 원류인 고구려 금동불상이 중국 베이징(北京)에서 새로 발견됐다. 역대 금동불상 가운데 두 번째 오래된 것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형태 또한 완전한 모양을 갖추고 있어 문화재적 가치가 크다. 한국 미술사를 새로 쓸 중요한 유물이 될 것으로 보인다.

“처음 보았을 때 제 눈을 의심했습니다. 깜짝 놀랐어요. 지난 반세기 동안 한국에서 고구려 불상이 나온 적이 거의 없었거든요. 획기적 발견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듯합니다.”

문명대 한국미술사연구소장이 새로 발견된 고구려 불상을 감정하고 있다. [베이징=예영준 특파원]
문명대(77·동국대 명예교수) 한국미술사연구소장은 지금도 흥분이 가라앉지 않는 듯했다. “지난해 베이징에서 불상을 두 차례 살펴보고 ‘진품’임을 확정할 수 있었다”고 30일 말했다. 그는 “지금까지 전해지는 고구려 불상은 10점 안팎으로 대부분 국보·보물로 지정됐다”며 “이번 불상은 제작 시기가 이른 편이고, 형태도 온전하다. 우리 품으로 되돌아올 수 있게 돼 매우 반갑다”고 밝혔다.

6세기 중반 고구려 불상 변화상 보여줘

새로 확인된 불상은 부처가 서 있는 모양의 입상(立像)이다. 높이 18.5㎝, 너비 8.6㎝ 크기다. 불신(佛身·부처의 몸), 광배(光背·불상 뒤쪽의 배 모양 장식물), 연꽃 대좌(臺座·불상 받침대)를 두루 갖췄다. 부처 머리에 공처럼 생긴 둥근 육계(肉?·상투)가 올려져 있고, 얼굴은 사각형에 가까운 원형이다. 가슴에 ‘V자’ 모양을 이루는 두터운 옷을 걸쳤다. 왼 손바닥은 펴서 아래로 내리고 있고, 오른 손바닥도 펴서 위로 올리고 있다.

문 소장은 “옷이나 손 모양 모두 고구려 불상의 전형적 특징을 보여준다”며 “일단 ‘구형(球形)육계식금동불입상’이라고 이름 지었다”고 말했다.

이번 불상은 6세기 중반 고구려 불상의 변모 과정을 보여준다. 현재 제작 연대가 확실한 우리나라 최고(最古) 불상은 ‘연가칠년명(延嘉七年銘)금동불입상’(국보 119호·국립중앙박물관)이다. 광배 뒷면에 539년(연가 7년) 고구려에서 조성됐다는 기록이 새겨져 있다. 한국 고대 조각사의 기준작으로 꼽힌다.

중국에서 발견된 고구려 금동불상. 6세기 중반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미소를 머금은 부처, 배처럼 생긴 광배 등 고구려 불상의 특징을 간직하고 있다. 사진은 실제 불상 높이와 같은 18.5㎝. [베이징=예영준 특파원]
문 소장은 “이번 불상은 기법·도상·양식 등을 따져볼 때 ‘연가칠년명불상’에서 ‘계미명(癸未銘)금동삼존불입상’(국보 72호·간송미술관)으로 옮겨가는 모습을 보인다”고 주장했다. 무엇보다 계미년(563년)에 만들었다는 ‘계미명불상’과 상투 모양이 거의 똑같다는 것이다. 그는 부처 머리 뒤에 타원형으로 음각한 장식도 주목했다. ‘연가칠년명불상’에는 없던 것으로 ‘계미명불상’에서 보다 섬세한 양각 문양으로 발전했다고 설명했다.

문 소장은 “이번 불상엔 제작 연도가 명기되지 않아 아쉽지만 대략 550년께 조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에서 두 번째 오래된 불상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다른 불상 전문가들의 의견도 크게 다르지 않다. 곽동석 동양대 교수는 “실물이 아닌 사진으로만 정확한 판단을 할 수 없다”고 전제한 후 “전반적으로 고졸한 느낌이 강해 6세기 중반 불상으로 보인다. 동글동글한 얼굴, 단순·담대한 옷 주름 등 고구려 불상의 개성이 드러나고, 광배의 다소 거친 불꽃무늬도 고구려 후기 불상의 패턴화된 문양과 차이가 난다”고 말했다. 양은경 부산대 교수는 “사진만으로 100% 확신할 수는 없지만 도톰하면서도 날카로운 대좌의 연꽃 생김새가 ‘연가칠년명불상’과 흡사하다”며 “중국 불상 대좌의 연꽃 형태는 대개 납작한 편”이라고 설명했다.

일제강점기 때 일본 고미술상이 반출

이번 불상은 베이징에 거주하는 한국 교민 A씨가 지난해 10월 일본에서 구입했다. 원래 지난해 6월 베이징에서 열린 유명 미술품 경매인 바오리(保利) 옥션에 출품됐다. 당시 중국 불상으로 알았던 일본인 전 소장자가 내놓은 것으로, A씨는 “중국이 아닌 한국 불상을 닮은 것 같다”는 한 미술 전문가의 견해에 따라 해당 불상에 관심을 갖게 됐다.

A씨는 이후 불상이 ‘연가칠년명불상’과 비슷하다는 사실을 알게 됐고, 일본인 전 소장자의 양해를 얻어 한국 불상 전문가인 문 소장에게 두 차례 정밀 감정을 의뢰했다. 지난해 베이징 경매에서 유찰돼 직접 일본에 가서 유물을 사들였다.

A씨가 입수한 일본인 자료에 따르면 이번 불상은 1924년 11월 일본 오사카(大阪) 미술전람회에 사흘간 출품된 적이 있다. 당시 도록에는 중국 ‘북위(北魏) 금동여래상’으로 표시됐다. 1900년대 초반 일본 야마나카(山中)상회에 의해 일본으로 반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야마나카상회는 일제강점기에 활동했던 일본의 대표적 고미술 무역상이다.

문 소장은 “1924년 전람회 출품 사진과 실물을 다각 분석했다. 불상에 붉은 곰팡이가 엷게 끼어 있어 일본 도록 사진과 다소 다른 느낌이 들었지만 동일 유물임을 확신했다”며 “고구려 불상이 거의 100년 만에 다시 한국으로 돌아오게 됐다”고 말했다.

"문화재 인정 땐 국립박물관 기증이나 대여”

소장자 A씨는 불상 안전 문제를 이유로 익명을 요구했다. “우리 문화재를 애호하는 사업가” 정도로만 밝혔다. 그는 “비록 매입 형식이긴 하지만 일제 때 우리 손을 떠난 문화재를 다시 환수했다는 데 큰 보람을 느낀다”며 “국보나 보물 같은 문화재로 인정받게 되면 기증이든, 대여든 국립박물관 같은 공공기관에서 소장·전시되기를 희망한다 ”고 말했다.

이번 불상의 국내 반입에는 문제가 없다. 외국에서 정당하게 구입한 것이기 때문이다. 국외소재문화재재단 김상엽 국제협력팀장은 “자료적 가치가 충분하고 제작한 지 100년이 넘은 문화재는 무관세로 들여올 수 있다”고 했다. 곽동석 교수는 “불상이 국내에 들어오면 문화재 신청에 앞서 성분 분석 등 과학적 조사를 받았으면 한다”고 제안했다. 문 소장은 이번 연구 결과를 6월에 나올 학술지 ‘강좌미술사’에 게재할 예정이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설민석 17-05-01 19:52
   
정부가 할일을 국민들이 하네
     
인류제국 17-05-01 20:04
   
우리나라 정부가 언제 제대로 일하는거 봤나요?

지들끼리 밥그릇 싸움이나하지
아비요 17-05-01 20:38
   
우리 유물은 전부 일본에 있네.. 언제 다 찾아올수 있으려나..
     
아날로그 17-05-01 21:14
   
왜넘 왕실도서관 지하에 있는거...지들이 고스란히 돌려줄리는 없고....

직접 뒤져오려면....상륙해서.....
문화재 수복팀 ( 특수부대 )를 만들어야 하는데 말입니다.
 
 
Total 1,227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146 [한국사] 대충 정리한 낙랑대방 관련 기록 (16) 호랭이해 05-01 1875
1145 [한국사] 교민이 찾아낸 고구려 불상, 한반도 불교미술사 새로… (4) 인류제국 05-01 2825
1144 [한국사] 왕검성과 낙랑군은 고고물질문화가 난제 (9) 감방친구 05-01 2220
1143 [한국사] 전근대시기 인구 변화의 유동성 (5) eo987 05-01 2021
1142 [한국사] 한,중,일 삼국역사의 실체(사진 대폭 수정되었습니다… (8) 스리랑 05-01 3869
1141 [한국사] 왕검성과 낙랑군, 패수의 위치 (5) 감방친구 05-01 1808
1140 [한국사] 최신 발굴 낙랑 무덤 컬러 사진 (31) 없습니다 04-30 3072
1139 [한국사] 낙랑군의 위치 (12) 감방친구 04-30 2559
1138 [한국사] 드라마속 조선시대 잔인한 고문 = 구라 (8) shrekandy 04-30 4646
1137 [한국사] 한국 역사를 홍보할 기회.. (1) 추구남 04-30 1236
1136 [한국사] 조선시대 하악하악 (9) 그노스 04-30 2679
1135 [한국사] 석탈해 신화와 유사한 캄차카 반도의 신화 (1) 호랭이해 04-30 1644
1134 [한국사] 폴란드볼로 보는 한국역사 (1) 인류제국 04-29 1900
1133 [한국사] 추모왕과 동명성왕이 동일인물인가요??? (5) 코스모르 04-29 1170
1132 [한국사] 몽고반점이 몽골인때문이라면 차라리 이설이 더 설… (11) Marauder 04-29 1573
1131 [한국사] 고려시대 건축?? (7) 설설설설설 04-29 2889
1130 [한국사] 공녀가 위안부야? (5) 감방친구 04-29 1638
1129 [한국사] 몽골반점 (7) 감방친구 04-29 1855
1128 [한국사] 왕검성과 낙랑군 (8) 감방친구 04-29 1604
1127 [한국사] 고려시대 건축물은 굉장히 화려했나보네요. (7) 탈레스 04-29 1731
1126 [한국사] 시진핑의 역사 강의 35년간 준비된 원고이다.. 고이왕 04-29 1203
1125 [한국사] 번조선 혹은 기자조선 과 위만조선위기때 (3) 바카스 04-28 1051
1124 [한국사] 강단 사학과 재야 사학 둘다 별로... (4) 배스킬러 04-28 1270
1123 [한국사] 마니산 참성단에 있는... (8) 코스모르 04-27 1862
1122 [한국사] 학계와 인터넷사이의 괴리감 간단히 ^^ (7) eo987 04-27 1752
1121 [한국사] 중국 피라미드 왜 침묵하는건가 ???? (답글) (3) drizzt0531 04-27 3386
1120 [한국사] 너무나 아쉬운 고려의 역사...... (15) 코스모르 04-26 2144
 1  2  3  4  5  6  7  8  9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