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7-02-25 11:07
[세계사] 툴루즈 전투 (Battle of Toulouse) - 721년
 글쓴이 : 옐로우황
조회 : 2,755  

툴루즈(Toulouse) 전투 (721년)는 아키텐(Aquitanian)의 오도(Odo) 대공의 기독교 군대가 툴루즈를 포위한 이슬람 우마이야(Umayyad) 왕조 알-안달루스 총독인 알-삼(Al-Samh ibn Malik al-Khawlani) 총독이 이끄는 이슬람 군대에 승리한 전투이다. 이 전투에서의 승리로 이슬람 세력의 나르본에서 아키텐으로의 확장을 저지하였다. 즉, 현재 프랑스 남부 지역을 지켜낸 것이다. 그리고 다음에 등장할 유명한 전투인 '투르 푸아티에 전투'까지 시간을 벌 수 있었다.

※ 투르 푸아티에 전투 (Battle of Tours) – 732년 : http://yellow.kr/blog/?p=1761


711년 이슬람 군대는 지브롤터해협을 건너 서고트 왕국을 무너뜨리고 이베리아반도를 점령한다. 719년에는 피레네산맥을 넘어 나르본을 점령하여 산맥 너머의 교두보를 확보한다. 그리고 721년에 아키텐을 공략한다.


오도 대공(Odo the Great, ? - 735년)의 출신은 모호하다. 프랑크 왕족이라는 설이 다수지만, 로마인이라는 설도 있다. 오도는 700년 무렵에는 아키텐의 실권을 장악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오도는 프랑크 왕국으로부터 아키텐의 독립을 기도했던 인물로, 아키텐에서는 대왕 또는 대공이라는 별칭의 the Great로 부른다. 이슬람과 손잡고 아키의 분리 독립을 기도하였으나 실패하고, 투르-푸아티에 전투를 계기로 카를 마르텔의 종속인이 되었다.


민족국가 형성 시대의 관점에서 볼 때, 툴루즈 전투는 서구 기독교 세계를 무슬림의 파도로부터 구출한 사건이었다. 역사적 대결에 뛰어든 기독교 전사들은 이런 역사적 의미를 제대로 이해했던 것은 아니었다. 오도 대공은 그보다는 아우스트라시아의 피핀 왕조와 코르도바 총독들의 몰락을 더 원했을 것이다. 대공은 자신의 지위를 지키고 공국을 유지하기 위해 이슬람 군대와 싸웠다.


* yellow의 세계사 연표 : http://yellow.kr/mhistory2.jsp


툴루즈는 프랑스의 남서쪽 가론 강 연안, 지중해와 대서양으로부터 비슷한 거리만큼 떨어져있는 도시이다. 미디피레네 레지옹과 오트가론 주의 중심지이다. 2010년 현재 인구 441,802 명으로 프랑스에서 4번째로 큰 도시이며, 근교를 포함한 대도시권은 1,218,166 명으로 프랑스에서 5번째이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721년툴루즈전투.png


- 721년 툴루즈 전투 당시의 역사지도


다음과 같이 자료를 찾아보았다.


※ 발췌 : http://yellow.kr/blog/?p=1800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znxhtm 17-02-25 14:08
   
이 글이 동아게랑 무슨 상관이 있죠?
     
호랭이해 17-02-25 16:08
   
동아게가 역사게도 겸해서요 이런글도 재밌고 괜찮네요 ㅎ
비좀와라 17-02-25 14:26
   
본문의 내용이 동아계와 관련이 없다는 것에는 동감 합니다.

단지 툴루즈 전투로 인해서 생긴 정치적인 지도가 지금도 작동하니 알 필요는 있다고 봅니다.

시리아 다마스커스를 중심으로 한 수니파 우마이야 왕조와 프랑크 왕국과의 싸움이 툴루즈 전투로 끝이 난것이 아니라 지금도 진행 중이죠.

우마이야의 진짜 라이벌은 프랑크 왕국이 아니라 이라크 바그다그를 중심으로 하는 시아파 압바스 가문으로 후일에 우마이야 왕가는 압바스 왕가에 망합니다.

이란의 호메이니는 이란의 팔레비 왕가의 압박에 프랑스로 망명을 하고 프랑스에서 세력을 규합해서 결국은 팔레비 왕가를 축출하고 시아파 이슬람 신정국가를 건국 합니다.

툴루즈 전쟁에서 생긴 정치적인 지도가 프랑스와 시아파 무슬림과의 친분을 만들었다고 봐야 하죠.

지금 시리아 정부는 시아파 이고 시리아 반군은 수니파가 대부분이죠.

여기서 IS는 수니파에 속합니다.

그래서 IS가 다른 나라 보다 프랑스에 테러를 일으키는 이유가 되는 것 입니다. 프랑스가 시아파 시리아 정부의 편을 들어 수니파를 탄압한다고 주장하는 것이죠.

지금도 툴루즈 전쟁의 여파가 작동한다고 봐야 한다고 봅니다.
     
흑요석 17-02-25 14:52
   
이분들 무슨 서양 역사에 악 감정 갖고 계신 분들인가?

이게 동아게랑 왜 관련이 없어요? 서양 역사는 역사가 아닌가?

글쓴이가 분명 [세계사]로 분류해서 올렸는데 이게 왜 관련이 없다는 거지?

좀 웃기네요;;
뚜리뚜바 17-02-25 18:04
   
공지사항보면 국내 및 각국의 역사라고 되어 있습니다. 동아시아게시판이라고 아시아에 국한된건 아닌듯...
Banff 17-02-28 03:05
   
[세계사] Tag 글들 재밌게 잘 읽고 있습니다.
 
 
Total 20,024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1) 가생이 08-20 90514
7577 [한국사] 고구려시대 압록강은 요하 (7) 패닉호랭이 02-22 2673
7576 [한국사] 자삭 (8) 아름드리99 02-23 1362
7575 [기타] 조선에는 100만마리 소가 살았다 (1) 관심병자 02-23 2991
7574 [한국사] 부여에 대한 자료는 너무 없네요. (8) 눈틩 02-23 1895
7573 [한국사] 작년 여름부터 꾸준히 수정요청을 남겼는데 사진을 … (9) Leaf 02-23 1851
7572 [기타] 하... 대체 김밥의 기원이... ㅜ.ㅠ (14) 뚜리뚜바 02-23 4082
7571 [기타] 불멸의 일본군부대 대판 제 4사단 (6) 관심병자 02-23 4287
7570 [한국사] [다큐] 잃어버린 문명...(동북아시아) (2) 아날로그 02-24 2719
7569 [기타] 6.25 남침론 (8) 관심병자 02-24 2788
7568 [일본] 수학여행 도게자? 레간지 02-24 2470
7567 [통일] 중국은 한반도 최대의 적 (9) 붉은깃발 02-24 4200
7566 [기타] 월남패망을 아십니까 (5) 관심병자 02-25 2402
7565 [일본] 일본의 백제마을 - 미야자키현 남향촌 (14) 아날로그 02-25 3954
7564 [세계사] 툴루즈 전투 (Battle of Toulouse) - 721년 (6) 옐로우황 02-25 2756
7563 [한국사] 무한도전 위대한 유산 - 양세형 X 비와이 "만세" (1) GleamKim 02-25 1561
7562 [기타] 무한도전 위대한 유산 - 유재석 X 도끼 "처럼" (1) GleamKim 02-25 2100
7561 [한국사] 기생(技生) (18) mymiky 02-26 3627
7560 [한국사] 노비(奴婢) -1 mymiky 02-26 2082
7559 [한국사] 노비(奴婢)-2 (1) mymiky 02-26 2367
7558 [한국사] 개인적인 한반도 최고의 군주 (11) 탈레스 02-27 3668
7557 [한국사] 중국의 백제마을 -월주백제,백제허,백제향,요서백제 (5) 아날로그 02-28 3344
7556 [기타] 하나된 조선 하나된 아시아 (7) 글루온 02-28 3107
7555 [기타] [유로파 유니버셜즈4] 조선 임진왜란 스타팅 (8) 글루온 02-28 3433
7554 [통일] 조선족 처우와 크림 반도의 러시아 귀속간 상관관계 (8) 앤디오빠 03-01 3971
7553 [세계사] 중국의근대화 와 일본의근대화 차이에대해 형들 답… (9) 케인즈 03-01 1994
7552 [기타] 군인 김석원 관심병자 03-01 3171
7551 [기타] 초원길 잡생각 (7) 관심병자 03-02 1709
 <  461  462  463  464  465  466  467  468  469  47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