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8-05-06 18:09
[한국사] 조선 무과 시험 과목들
 글쓴이 : 고이왕
조회 : 2,073  

시험과목 - 무과는 활쏘기 주종목


무과는 처음에는 무예 6기와 강서 등 모두 7기예를 시험보았다.


 즉 목전(나무살 쏘기), 철전(쇠살 쏘기), 편전(애기살 쏘기), 기사(마상궁술), 기창(마상창술), 격구 등이다. 그 가운데 목전과 철전은 과락제가 있어 3발 중 1발 이상 마쳐야 다음 과목을 치룰 수 있었다. 


강서는 사서오경중 1서, 무경칠서중 1서, 통감․병요․장감박의․무경․소학 중 1서, 경국대전 등이다. 


이들 과목은 격구의 예처럼, 기초무예의 능력을 평가하는 성격이 강했다. 그러다가 임진왜란을 거치면서 간단하고도 실전적인 무예가 강조되었다.


 조총․편추(마상편곤)․관혁․유엽전 등의 새로운 무예가 추가되고, 표적을 쏘던 기사는 허수아비를 맞추는 기추로 바뀌었다. 임진왜란 이후 왜검을 비롯한 많은 검술과 창술 등이 연마되었지만, 정식 과목으로 채택되지는 않았다. 그 결과 『속대전』에는 모두 11기로 정비되었다. 식년시와 증광시가 11기를 모두 시험 본 반면에 각종 별시는 11기의 과목 중 2➰3기를 시험보았다. 무과의 11기 과목을 구분해 보면, 궁술(목전, 철전, 편전, 관혁, 유엽전), 기마무예(기창, 기추, 편추, 격구), 조총, 강서 등을 시험 본 셈이다. 무과 11과목 중 특히 활쏘기가 모두 6기(기추 포함)로 절반이 넘는다. 실제 각종 별시무과에서 채택된 2➰3 과목의 대부분은 활쏘기였다. 궁술 중심의 무과시험은 무과가 폐지될 때까지 계속되었다. 무과에서 활쏘기를 이처럼 강조한 까닭은 기본적으로 전술보다는 전략이 우선이라는 유교적 전쟁관과 함께 ‘육예(六藝)’ 의 하나로 인식한 때문이었다. 동시에 북방민족과의 투쟁에서 익혀 온 궁술이 ‘조선의 장기’ 였던 점도 작용하였다. 그리하여 ‘조선의 무예’ 하면 곧 ‘활쏘기’를 의미하였고. 동시에 ‘조선의 무사’ 라 하면 곧 ‘활을 잘 쏘는 무인’을 뜻하는 말로 인식되었다. 또한 무과에 강서를 보는 까닭은 문무를 겸비한 무장을 양성하기 위해서였다. 병서를 통해 지략을, 유교경전을 통해 관리로서의 소양을 갖추게 한 것이다. 하지만 실제로는 양반자제들이 무과에 쉽게 진출하는 발판이 되었다. 말을 이용한 기마무예가 많은 것도 경제력이 있는 양반에게 보다 유리한 시험과목이었다. 

http://noriyon.co.kr/bbs/board.php?bo_table=sub04_01&wr_id=212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히스토리2 18-05-06 20:36
   
무과도 양반에게 유리하게 만들었군요.... 좋은 자료 항상 감사드립니다.
6시내고환 18-05-06 23:07
   
역시 활의 민족 ㅋㅋㅋ
 
 
Total 20,025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1) 가생이 08-20 91796
7578 [기타] 영국, 불법이주민 규제법안 논란 (1) doysglmetp 10-11 2080
7577 [한국사] 위안부 할머니의 회고록. (19) 닥터그리어 01-23 2080
7576 [홍콩] 홍콩 청렴의 상징 "염정공서"의 역사(한국 공수처의 … (5) history2 03-29 2080
7575 [기타] 멋진음악 (1) 예맥사냥꾼 08-23 2079
7574 [일본] 한글이 일본에서 유래했다고 날조하려던 일본 doysglmetp 06-19 2079
7573 [기타] 조선이 근대산업에 참여하지못한것은 계급구조의 문… (20) 철부지 05-19 2079
7572 [한국사] 주류사학을 이길수 있는 방법은 남북통일후 북쪽 사… (3) 노트러블 02-04 2079
7571 [기타] 사료중심 실증사학의 한계 [아방강역고-정약용] (3) 두부국 05-25 2079
7570 [기타] 치우 (3) 관심병자 09-11 2079
7569 [기타] 참 답답하네요 (35) 감방친구 01-17 2079
7568 [한국사] 여진 정벌의 진실(철저한 사료, 논문 분석에 기초) - … (3) 무한성장맨 02-03 2079
7567 [한국사] 입체적인 고조선 연구서가 출간됐습니다 (2) 감방친구 05-04 2079
7566 [다문화] 다문화는 반대하지만 그렇지만 (10) *** 08-26 2078
7565 [다문화] 외국인노동자와 함께일했던 한국인근로자가 전하는 … (2) sssangi94 04-29 2078
7564 [다문화] 불체자들의 천국 한국 (3) 쿠리하늘 05-29 2078
7563 [기타] 베일 속 부여역사 (1) 두부국 09-20 2078
7562 [한국사] 국뽕들의 역사왜곡 (7) 가을제비 04-23 2078
7561 [한국사] 내가 알고 싶은 것은 ... (1) 바늘천사 07-12 2078
7560 [한국사] 요서와 황룡, 황수와 로합하 (2) 감방친구 01-18 2078
7559 [중국] 조선족은 좀 까도 무방하겟죠 ? (3) 닭아놀자 09-01 2077
7558 [일본] 미국에 밀려서 일본과의 굴욕적인 회담을 (4) Irene 05-02 2077
7557 [한국사] 부여의 기원과 도읍지 비정에 관한 연구 (1부) 비좀와라 11-14 2077
7556 [기타] 한국인은 왜 공동소유가 아닌데 "우리 마누라", "우리… (2) 관심병자 10-30 2077
7555 [한국사] 中 '한복공정' 국민분노에도···"항의 필요없… (3) 수구리 02-06 2077
7554 [기타] 차라리 우리나라 절에서 템플스테이를 해라! (2) 내셔널헬쓰 01-02 2076
7553 [다문화] 불편한 다문화의 유래 (7) 모름 02-23 2076
7552 [기타] 속국 정리 (7) 꼬마러브 04-14 2076
 <  461  462  463  464  465  466  467  468  469  47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