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7-05-12 10:06
[세계사] 소련의 붕괴(1991년)
 글쓴이 : 옐로우황
조회 : 2,100  

1991년 소련의 붕괴에 대해 자료를 모아보았습니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약칭 소비에트 연방 또는 소련(蘇聯)은 1922년 12월 30일부터 1991년 12월 26일까지 유라시아 북부에 존재하였던 세계 최초의 공산주의 국가였다. 소련은 공식적으로 (그러나 본질상 상징적인 날짜인) 1991년 12월 25일 저녁 7시(모스크바 시간)에 붕괴되었다. 이후 소련의 공화국 15개가 독립하였다.

소련의 붕괴는 그 의미가 한층 복잡했고, 한층 장기간에 걸친 것이었으며, 불확실한 것이었고, 붕괴의 원인과 관련하여 논쟁의 여지가 있었고, 뭐라 표현하기에도 모호한 것이었다. 그러나 러시아의 입장에서 보면 한 단계 발전한 국가로의 진행을 위한 혁명과 같은 진통이었다고 볼 수도 있겠다.

1720년대부터 유럽 형태의 근대성 이식이라는 측면에서 러시아는 길고 험난한 길을 걸어왔다. 러시아는 70여 년 동안 사회주의 실험을 했다. 러시아의 사회주의는 효율성이 결핍되었기 때문에 마지막에는 실패했다고 볼 수 있고, 혹은 효율성이 더 높은 유럽 양식의 근대성에 자리를 내어줄 수밖에 없었다고도 볼 수 있다. 하지만 만약 러시아의 독특한 지연地緣 현실과 지연 정치적 경험 및 지연 문화적 신분을 충분히 고려한다면 다음의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즉 러시아의 사회주의 실험은 사실상은 유럽 양식을 띤 자본주의의 한 변종이라는 것이다. 양자는 대규모 자본축적과 자본운용이라는 가장 본질적인 측면에서, 사회 생산력을 크게 향상시켜 근대화를 실현했다는 점에서 일치한다. 양자의 다른 점은 유럽은 시장과 개인의 작용을 더 중시했고, 러시아는 이와 달리 국가계획의 작용을 더 중시했다는 데 있다. 그리고 이는 러시아의 독특한 역사 및 문화적 배경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이로 인해 러시아의 사회주의 실험은 유럽 양식과는 다른 근대성을 대표하게 되었고, 이러한 종류의 근대성은 사실상 더 효율성 높은 근대성으로 가기 위해 반드시 거쳐 가야 할 길이었다. 이러한 의미에서 러시아의 사회주의 실험은 결코 실패한 것이 아니다. 1990년대 이후 유럽식 정치적 현대성을 이식하는 데 러시아는 대단히 큰 성공을 거두었다. 하지만 주의할 점은 이러한 성공 또한 사회주의 실험이라는 토대가 있었기에 가능할 수 있었다는 사실이다. 만약 이전 70년 동안에 사회경제발전 수준을 대폭 끌어올리지 못했다면 1990년대 초의 혁명은 상상할 수 없는 것이다.


위의 글은 르우안웨이의 <지연 문명>이라는 책에서 발췌했다. 역사를 바라보는 다양한 시각이 존재한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왜라면 17-05-13 09:49
   
중국인 특유의 편협한 세계관이 드러나는 글이군요.

중국인은 항상 서구를 구분 짓길 좋아합니다.

때로는 그런 시각이 명료한 인식을 돕죠.

이 경우에는 실착이라고 생각됩니다.

간단하게 말해서 소련이 탄생하지 않았다면 러시아는 훨씬 나은 국가가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우리가 지금 동경하는 그 북유럽 조차도 사실 러시아 이하의 국가들에 불과했지요.
 
 
Total 20,026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1) 가생이 08-20 93029
7255 [세계사] 대피라미드의 크기 비교 (5) 옐로우황 05-10 3324
7254 [한국사] 여러분들은 광개토태왕에 대해서 어떤 평가를 내리… (22) GleamKim 05-11 2402
7253 [기타] 이승만 (5) 관심병자 05-11 1862
7252 [일본] 일본의 역사서 일본서기를 어떻게 바라봐야 할까요?? (11) 설설설설설 05-11 2801
7251 [한국사] 조선의 의미가 뭐지 궁금합니다. (3) 호태왕 05-11 1990
7250 [기타] 역사학자 이덕일, 김현구 교수 명예훼손 혐의 무죄 … (4) 인류제국 05-11 1658
7249 [기타] 선비족도 고조선의 한 갈래, 고구려와 형제 우의 나… (9) 관심병자 05-11 3311
7248 [한국사] 칡소를 아시나요? (6) 인류제국 05-12 1860
7247 [세계사] 소련의 붕괴(1991년) (1) 옐로우황 05-12 2101
7246 [한국사] 식민사학자들과 야합한 관료와 그리고 언론 3자가 어… (3) 스리랑 05-12 1558
7245 [일본] 손정의 회장- "한국은 중국이기도 했다"라고 망언 (18) mymiky 05-12 5928
7244 [한국사] 선비족이 고구려의 형제국가라고요? (14) 고이왕 05-12 3377
7243 [기타] 한반도의 똥개들 (10) 관심병자 05-13 5051
7242 [한국사] 백제 최전성기 영토[특별역사곡 브금] (24) 위구르 05-13 4465
7241 [중국] 중국 내부에서 도는 지도층의 인육 루머 (7) 고이왕 05-13 3765
7240 [세계사] 14세기의 위기 - 기근과 흑사병 (3) 옐로우황 05-13 3397
7239 [한국사] 백제 영토 개정판 (15) 위구르 05-14 6260
7238 [한국사] 일본이 한국에 근대화에 영향을 준 점 (2) (3) 사과죽 05-14 1578
7237 [기타] [펌] 한국 외교에는 왜 러시아가 없을까? 좋은글 이… (7) KANGOL 05-14 2308
7236 [한국사] [잡글] 왜? 고구려의 최대판도를 교과서에 실치 않을… (22) GleamKim 05-15 4553
7235 [기타] 원균 (22) 관심병자 05-15 3382
7234 [기타] 신라김씨는 선비족 모용씨(鮮卑族 慕容氏)의 후예인… (5) 관심병자 05-15 4825
7233 [한국사] 대한제국 시 왕 호칭 질문요. (2) 솔루나 05-15 1704
7232 [기타] 을지문덕 관심병자 05-16 2088
7231 [기타] 연개소문 (3) 관심병자 05-16 2730
7230 [한국사] 동양을 배경으로 한 판타지는 왜 마이너할까요? (19) 아스카라스 05-16 2739
7229 [기타] 서희가 거란한테 받은 강동6주는 어디일까? (7) 인류제국 05-16 3359
 <  471  472  473  474  475  476  477  478  479  4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