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5-11-17 21:17
[한국사] 한자 읽는 법 질문.
 글쓴이 : 해달
조회 : 2,413  

예전에 어디선가

옛날에는 한자를 읽을 때, 오늘처럼 山을 산이라고만 읽지 않고, 뫼라고도 읽었다던데.

그러니까, 예를 들어, 光州를 광주로만 읽지 않고 빛고을 이런 식으로도 읽었다던데.

이게 고려인가, 조선인가, 어느 왕 때부터 한자를 현재처럼 음독으로만 읽게 해서, 그것이 지금까지 이어져 왔다는데.

이 왕이 어느 시대, 어느 왕인지, 자세히 알고 계시는 분 알려주심 감사하겠습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꼬마러브 15-11-17 22:14
   
후기신라 경덕왕때 지명들을 한자 2자의 중국식으로  개명한 것을 말하는 것 같네요.
후기신라 경덕왕시기에 신라의 전제왕권이 귀족세력의 부상으로 흔들리고 있던 때입니다. 이런 상황으로 인해 경덕왕은 왕권의 재부상을 위해 행정체계와 관제정비에 대대적인 개혁을 하게 되는데 그 중 하나가 전국의 행정체계 즉 지명들을 전부 중국식(한화 漢化)으로 바꾸는 것입니다. (대부분 우리말 -> 한자어)  지금의 지명들도 대부분 이 때 바뀌어 아직까지 사용되는 곳이 많죠 (예 : 길동군 -> 영동군,  사벌주 -> 상주 , 고타야군 -> 고창군 , 답달비군 -> 화령군 , 달구화 -> 대구 , 텰둥글 -> 철원 , 곰나루 -> 공주 , 누스키 -> 유성  등등.. 많음.. 아마 지금 대부분의 지명들이 이 때 바뀐 것임) 즉 지명을 모두 중국식으로 바꾸어버려 우리도 이제 중국과 같은 나라다! 라는 것은 천명한 것이죠. 과거와 같이 왕과 귀족들이 다스리는 나라가 아니라 왕 혼자 다스리는 전제왕권을 성립하고자 했던 겁니다. 뭐..  지리지에 원 지명과 한화(漢化)지명을 나란히 적음으로서, 원래 땅이름의 음과 뜻을 추정하고 복원할 수 있는 여지는 남겨두었으나, 순우리말이 크게 힘을 잃었던 첫번쨰 사건입죠
     
꼬마러브 15-11-18 08:22
   
이렇게 후기신라 경덕왕때 모든 지명들을 중국식의 한자명으로 전부 바꿔 버린 것이 첫번째 사건이고 두번째 사건은 일제 때 전국에 있는 지명 (신라 때 바꾼 것이 큰 행정단위 였다면 이번에는 작은 행정단위까지 전부 다) 한자어로 바꿨습니다. 현재 대도시 지명 중 ‘서울’만이 유일한 순우리말 지명으로 남아 있죠
크크로 15-11-17 23:44
   
제 얕은 상식으로는... 신라시대 이두문자로, 일본과 다르게 뜻과 음을 구분해서 한자를 적었고...
한글이 발명되기 전에는, 감각에 따라 한자를 음독, 훈독한걸로 알고 있습니다. 지금의 일본처럼요.ㅎ
오늘날 각 지명이랑, 이름이 중국식 3,2 자로 변한건 조선시대로 알고 있습니다.
     
pasa 15-11-18 00:04
   
네 일본이 그렇게 쓰는것 같더군요..
pasa 15-11-18 00:09
   
언제부터 그랬는지는 모르겠는데,,
우즈벡 고려인들하고 언제 이야기하는데,,
사과를 능금이라고 말하더군요.. 산도 뫼라고 하고,,
고려인들 이주시기가 조선 말이나 됐을까요? 그런것 보면
그리 오래되지 않았을듯 하는데요..
     
아스카라스 15-12-28 23:29
   
그러하면 끽해야 200년인데 200년만에 이렇게 말이 바뀔 수가 있다는 건가요? 하.. 정말 도무지 알 수 없습니다.
운드르 15-11-18 00:31
   
정확히 말하면 山을 뫼라고 읽었다기보다는 뫼를 山으로 표기했다고 봐야겠죠.
무슨 차이가 있냐고 하실지도 모르지만, 중국에서 온 외교 문서 같은 것을 읽을 때 차이가 납니다.
전 당나라 문서에 적힌 山은 '산'이라 읽었으리라 생각합니다.
우리나라 사람들끼리 보는 글에는 이두식으로 적어서 山을 뫼라고 읽었겠지만요.
그렇지 않고서는 당나라 때의 중국 한자음이 거의 그대로 우리나라 한자음으로 고착된 것을 설명하기 어렵죠.
잘은 모르지만 한자를 음독하라고 강제한 왕은 없었을 겁니다.
보나베띠 15-11-18 02:00
   
광주(光州)의 옛 지명이 빛고을입니다.
즉, 빛 광, 고을 주의 한자 표기로 광주가 된 셈인데
같은 한자라도 한국과 중국은 발음 자체가 다릅니다.
光州를 우리는 광주라고 말하지만 중국은 광쪼우, 일본은 고오슈우 라고 발음을 합니다.

세종대왕이 고심한 것은 우리 백성의 글을 읽지 못함으로 인해 생겨나는 어려운 일들을
안타까워 한 것도 있지만 이렇게 같은 한자임에도 중구과 발음이 다르다는 것도 이러한
새로운 글의 방식을 만드게 된 것이라 볼 수 있습니다.

훈민정음은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의미가 담긴 뜻입니다.
이두는 한자의 음과 뜻을 이용하여 우리말의 어순대로 문장을 표기한 표기법이죠.
     
운드르 15-11-18 02:48
   
당나라 때는 중국에서도 '광주'라고 발음했습니다.
시대가 지나면서 중국에서는 발음이 계속 바뀐 반면,
우리나라 한자음은 거의 변화가 없어 이렇게 차이가 나게 됐지요.
satima 15-11-18 10:11
   
한자를 공부할때 자형, 자음, 자의 를 기본적으로 공부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그냥 외우지만 중국에서는  이렇게 공부합니다.  자음(字音)에 관한 사항인데 중국의 자음서인 광운(廣韻)이나 강희자전(康熙字典)에는 반절법(反切法)이라는 음표기법이 있는데  거기에 따른면 됩니다.  광운과 강희자전의 음표기법이 지금 우리가 발음하는 한자의 음과 거의 같습니다.  현재의 중국음표기와는 많이 차이가 나더군요  수,당시대의 중국한자의 음이 지금 대한민국에서 사용하는 우리 한자의 음표기와 거의 갔습니다.
     
satima 15-11-18 10:14
   
수당시대의 발음이 지금 우리가 사용하는 발음과 거의 갔습니다.
          
pasa 15-11-18 16:07
   
갔다는거요 같다는거요
 
 
Total 179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71 [한국사] 조선시대말 군사력이 그렇게 형편없었나요? (16) 시골가생 11-21 5317
70 [한국사] 초록불씨 왈,"상고사대토론회서 이덕일 복기대가 발… (3) 한량012 11-20 3180
69 [한국사] 후손들을 가르치기 위해 만든 국정교과서(교육은 百… (5) 스리랑 11-20 1665
68 [한국사] 한자 읽는 법 질문. (12) 해달 11-17 2414
67 [한국사] 독립운동을 했던 분들이 얼마전까지 매국노들에게 … 스리랑 11-17 1890
66 [한국사] 제헌헌법과 진보적 민주주의 -학교에서 가르치지 않… (1) 해달 11-17 2332
65 [한국사] 국정교과서 한방으로.. (2) 흑화한다 11-16 1844
64 [한국사] 얼마나 더 그들에게 세뇌당해야 하나?? (2) 스리랑 11-15 2187
63 [한국사] 한국인이 백인이니 프리기아니 하는 잡설때문에 가… (11) 한량011 11-15 3386
62 [한국사] 부례구야국의 동진·설화·관모와 부여의 기원 (6부) (5) 비좀와라 11-14 2568
61 [한국사] 부여의 출자에 대한 <삼국지 한전>분석 (5부) 비좀와라 11-14 1937
60 [한국사] 갈석의 위치로 본 부여는 산서성 북부 (4부) 비좀와라 11-14 2164
59 [한국사] 사서 분석을 통한 고죽과 부여의 위치 비정 (3부) 비좀와라 11-14 1805
58 [한국사] 부여 관련사서 및 언어적 관련성 검토 (2부) 비좀와라 11-14 1535
57 [한국사] 부여의 기원과 도읍지 비정에 관한 연구 (1부) 비좀와라 11-14 2082
56 [한국사] 한반도 민족의 백인 학설 ?? (17) 비좀와라 11-14 5764
55 [한국사] 지금까지 대한민국의 역사가 올바로 자리잡지 못한 … (1) 스리랑 11-14 2055
54 [한국사] 국회에서 한국 상고사 대토론회가 벌어지네요. (11) 카노 11-13 3457
53 [한국사] 타자의 눈으로 본 한국사 (4) 스리랑 11-13 3294
52 [한국사] 육군훈련소 04년도에 입소해서 신교대 교육받을때 썰… (4) 패닉호랭이 11-13 2864
51 [한국사] 고명하신 주류사학님들 국정교과서 고대사부분은 … 한량011 11-13 1481
50 [한국사] 긍정의 역사관과 환단고기 (5) 재래식된장 11-13 1862
49 [한국사] EBS 교육방송에서 나온 한민족과 말갈의 계통도 (7) 카노 11-12 2609
48 [한국사] 낙랑군이 평양에 있으면서 선진문물의 창구라고? (6) 카노 11-12 2582
47 [한국사] 역사스페셜 대가야 백두대간을 넘다 호랭이해 11-12 1449
46 [한국사] 민족주의에 대한 좋은 정보입니다.(이화여대 강철구… (2) 스리랑 11-12 1750
45 [한국사] 조선 개국공신 퉁두란 그는 누구인가? (2) 비좀와라 11-11 4034
 1  2  3  4  5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