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8-04-09 11:45
[한국사] 희대의 미친 왕 1위 충혜왕과 그에대한 변명
 글쓴이 : history2
조회 : 1,817  

한 가정, 한 기업을 경영하는데도 상당한 노력이 필요하다. 사람과의 관계를 통해 일을 풀어내야 하기 때문이다. 국가를 경영하는 것을 말할 것도 없다

어떤 일을 성사시키기 위해 수많은 사람들을 움직여야 하며, 자기와 이해관계가 다른 각종 집단들을 설득해야 한다. 그래서일까? 역사적으로 왕들은 그리 오래 살지 못했다

그리고 다소 무능한 왕일지라도 왕으로서 역할을 하기 위해 일정 정도의 노력은 기울였다. 그 노력이 높은 평가를 받지는 못할지라도, 그 진정성을 의심 받는 경우는 드물었다. 그런데, 아예 왕이기를 포기한 왕도 있었다. 고려 충혜왕 이다.

 

다운로드.jpg


1. 비정상적으로 성에 집착했다.

 

왕들은 대부분 후궁을 둔다. 그렇다고 성에 집착했다고 볼 수는 없다. 당시 관행이었고, 대를 잇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그런 제도가 있었을 것이다. 우리가 잘 아는 조선의 왕들 중에도 정상 범주를 벗어나 막 나간왕은 많지 않았다. 그런데 고려 충혜왕은 그 정도가 너무 심했다.


thumb_1482044555.622585.jpg


 

충혜왕은 난잡한 성욕을 드러내면서 일종의 정력제인 열약을 복용하곤 했었다. 이로 인해 많은 상대 여성들이 충혜왕의 강한 성욕을 감당하지 못했다고 한다. 하지만 사기옹주만은 충혜왕을 잘 감당하면서 왕과의 사이에 석기라는 아들까지 두었다


충혜왕_101.jpg


.성욕을 푸는 대상에서 공신들의 부인도 예외가 아니었다. . 충혜왕은 왕성한 성욕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살인과 폭행도 마다하지 않았다. . 동석한 최원이라는 자가 충혜왕에게 솔깃한 얘기를 했다. 어디에 가면 정말 미색이 뛰어난 처녀가 산다고 귀띔한 것이다. 얼굴 예쁘다는 말만 들어도 성욕을 발동시키는 충혜왕이 그 말을 듣고 가만있을 리 없었다. 당장 그날 밤 술자리를 뒤로 하고 무리들을 거느리고 처녀가 산다는 곳으로 쫓아갔다. 그런데 그 집에 웬 노파가 혼자 살면서, 자기 집에는 그런 여자가 없다고 한 것이다. . 처녀를 아무리 찾아도 없자, 충혜왕은 성욕만 돋아놓고 자신을 흥분시킨 최원이 얼마나 미웠던지 그 노파와 함께 그 자리에서 죽여버리고 말았다.”

 

2. 왕답지 않게 축재에 집착했다.

 

역사적으로 재상이 축재에 몰두하는 경우는 종종 있었다. 하지만 왕이 재산을 모으는데 주력을 했던 경우는 드물다. 취미 때문에 희귀한 돌을 닥치는 대로 모았던 송나라 휘종이 특이한 경우였다. 이런 돌 뿐만 아니라 서화나 진귀한 보물도 모았다. 이런 황제를 둔 송나라는 결국 여진족이 세운 금나라에게 남쪽으로 쫓겨나게 된다. 충혜왕도 왕답지 않게 재산에 대한 사랑이 대단했다.

 

재산 증식을 위해 마련한 것이 직세였다. 직세는 관직에 있다가 낙향한 관리들에게 징수하는 세금이었는데, 이런 징세에 대한 발상은 충혜왕의 측근에 있는 자들이 주장한 것이었다. 과세 기준은 6품 이상 관리는 포 150, 7품 이하는 100, 산직은 15필로 정해졌다. 듣도 보도 못한 정말 희한한 세금이었다. 이 소문을 듣고 낙향한 관리들은 가족을 데리고 산속으로 숨어들거나 배를 타고 섬으로 도피하는 일이 벌어졌다. 충혜왕은 그 측근들을 각도에 파견하여 산택에 불을 질러 수색하고 도주한 자들의 친족에까지 손을 뻗쳐 닦달하였다. 이에 온 나라가 소란하였고 백성들의 원망이 가득했다고 한다. . 충분한 증거가 없어 조심스럽지만, 당시 왕실의 재정은 원의 통제를 받고 있지 않았을까 생각된다. . 게다가 원의 황실에서나 조정의 권력자들은 고려의 토지나 군현 단위의 지역을 경제적으로 지배하는 경우도 있었다. 그렇다면 조세로 거두어들이는 수입도 크게 줄어들 것이다. 이런 사정이 겹쳐 왕실 재정을 어렵게 만들고, 이에 따라 축재에 발 벗고 나서는 일이 생기지 않았나 싶다.”

 

 

3. 미치광이 같은 놀이를 하였다.

 

조선에 연산군이 있었다면, 고려에는 충혜왕이 있었다. 연산군은 온갖 유흥에 빠져 올바른 정치를 멀리했고 두 차례 사화를 일으켜 자신의 마음에 들지 않는 신하들을 대거 제거했다. 충혜왕에게 정치적 행위란 전혀 찾아볼 수 없었다. 시정잡배와 같은 삶 그 자체였다. 궁궐 속에서만 있었다면 피해가 덜했을 텐데, 백성들 속으로 뛰어들어 온갖 못된 짓을 하였다.


C170823213509_1.jpg


“13433, 충혜왕은 대궐 밖으로 나가 장난으로 탄환을 쏘면서 길가는 사람을 맞히는 놀이를 하였다. 여기 탄환이라는 것이 화약을 장전해서 쏘는 총인지 아니면, 줄이나 실을 이용한 것인지(새총같은) 정확히 나타나 있지 않지만, 사람들을 겨냥하여 탄환을 쏘니 백성들이 혼비백산하여 달아났다고 한다. 개념 없는 미치광이 같은 짓으로 위험천만한 놀이가 아닐 수 없었다. .밤에 충혜왕이 무뢰배들을 거느리고 민천사에 갔는데 비둘기를 잡으려는 것이었다.

 

그런데 비둘기를 잡으려다 누각을 통째로 불태우는 실수를 하고 말았다. . 철부지 소년도 아니고 이를 어떻게 이해해야 할지 모르겠다. 민천사는 조부 충선왕이 모후였던 제국대장공주의 명복을 빌기 위해 조성했던 사찰이었는데 충혜왕한테는 이런 사실도 별 의미가 없었던 모양이다.”

 

결국 기황후의 결정으로 충혜왕 개인에게 책임을 물어 압송된다. 충혜왕이 원으로 압송된 후 고려 관리들 사이에 충혜왕을 구원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가 벌어진다. 탄원서 서명도 지지부진했다. 누구도 서두르지 않았다.

 

워낙 엉터리 왕이었기에 관리들도 그를 구하고 싶은 마음이 정말 안 들었을 것이다. 결국 충혜왕은 계양현으로 가던 중 악양현에서 죽고 만다. 우리 역사에 최악의 왕으로 기록이 남은 30년의 인생이 이렇게 끝이 난 것이다.

 

충혜왕의 정책의 비판에 대한 반론)

 

1.재정정책

a) 충혜왕은 국가재정을 튼튼히 하는 데에 심혈을 기울였다. 일반적인 왕들은 국가경제를 키운 다음에 백성들로부터 세금을 많이 거두는 방법으로 국가재정을 강화했다. 하지만 충혜왕은 왕이 직접 영리활동을 하는 방법으로 재정을 강화했다. 자신이 직접 무역 상단을 조직해서 돈을 벌었던 것이다.

 

b)또 충혜왕은 관료들에게 분배한 토지의 상당 부분을 회수하고 이것을 봉급제로 대체하는 방법으로 토지에 대한 장악력을 높였다. 또 국가경제를 발전시키려는 특단의 노력도 없이 증세 정책을 강행하는 방법으로 재정수입을 늘렸다.

 

c) 충혜왕의 재정정책은 어떤 면에서 보면 진보적인 것이었다. 서민층뿐만 아니라 부유층에게도 증세를 강요했기 때문에, 그의 정책은 기득권세력을 견제하는 측면이 있었다. 하지만 그는 국가경제를 발전시키기 위한 특단의 노력이 없는 상태에서 증세를 강행하고, 그렇게 해서 증가된 수입의 상당부분을 사치와 방탕에 허비했다.

 

d)충혜왕의 재정정책은 서민층의 반발도 초래했지만, 무엇보다 기씨 집안을 포함한 기득권층의 거센 저항을 불러왔다. 결국 기씨 가문을 포함한 고려 기득권층은 몽골을 상대로 충혜왕 탄핵운동을 벌였다.

 

2.의료정책

습사성을 없애고, 동서대비원에 소속시켜서 도성 안의 환자들을 치료하고, 의복, 양식을 무상으로 주었다

 

3.고려인의 송환요구

만주의 요양, 심양 그리고 쌍성, 여진에 부랑하고 있던, 고려인의 송환을 요구하는 표문을 올렸다(1331)

 

4.원나라가 고려를 일개 원의 행성으로 만드는 입성책동막았다.

입성책동은 1330년충혜왕이 즉위한 직후에 장백상(將伯祥)에 의해 추진되었다. 장백상은 중국의 강남(江南)사람으로 충숙왕 때 정동행성 낭중(郎中)을 지낸 바 있었다. 이 해에 충숙왕이 퇴위되고 충혜왕이 즉위하자 원나라에서 입성책동을 일으켰다. 그 목적은 분명하지 않으며, 충혜왕이 직접 원나라의 우승상 연첩목아(燕帖木兒)에게 요청함으로써 곧 입성논의가 중지되었다.

 

충혜왕의 여러기행으로 고려 내에 충혜왕의 입지는 좁아졌고, 거기다 기득권의 이익을 저해하는 재정정책으로, 충혜왕에 대한 권문세족의 지지철회를 이유로 하여, 기씨집안이 충혜왕에 대한 탄핵을 주도했다는 것은, 이 집안의 정치적 수장인 기황후가 충혜왕에 대한 지지를 철회했음을 의미한다.

 

기황후 입장에서는 자신의 도움으로 복위한 충혜왕이 자기 집안을 재정적으로 압박하는 데 대해 분개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Hiryu 18-04-09 16:19
   
신문,방송 시절은 물론 인터넷까지 보급된 세상에서도 댓글부대로 여론을 선동하는 마당에 중세시대에 한사람
처 죽일넘 만드는건 일도 아니었겠죠... 뭐가 진실인지는 어차피 아무도 모르고 그냥 쓰여진대로 그냥 믿는수밖에...
6시내고환 18-04-12 23:15
   
입성책동 막은건 진짜 재평가해야죠
 
 
Total 3,042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934 [한국사] 웅진-사비기 왕릉급 무덤은 지역유지(?)무덤이란 말… (17) 그만혀 04-12 1898
2933 [한국사] 당나라 시기 존재하던, 주위국가들 (4) history2 04-12 1520
2932 [한국사] 고려 3대 수입품(목화, 화포, 그리고 .......임질) (2) history2 04-12 2045
2931 [한국사] 조선의 곤룡포 재업 (5) history2 04-12 1349
2930 [한국사] 최악의 폭군! 조선 연산군보다 고려 충혜왕 (3) 고이왕 04-12 1150
2929 [한국사] 백제 웅진하는 현 금강 (15) 감방친구 04-12 1828
2928 [한국사] 당나라 부대의 기원...어영청 history2 04-11 868
2927 [한국사] 당나라 한원서, 백제 6도성의 위치 (7) 도배시러 04-11 1354
2926 [한국사] 당나라 한원서, 대요수의 강폭은 일백보이다. (1) 도배시러 04-11 789
2925 [한국사] 미국 아이비리그 대학의 역사 교재 이홍범박사의 <… (10) 스리랑 04-11 1842
2924 [한국사] 무식한 사람이 신념을 가지면.멍청한 친일파 이용구 (11) history2 04-11 1505
2923 [한국사] 백제의 하천 - 당나라 한원서 (5) 도배시러 04-11 1126
2922 [한국사] 요수(와 압록)의 문제 (1) 감방친구 04-10 909
2921 [한국사] 한원 번이부 신라~임나의 위치 (3) 도배시러 04-10 877
2920 [한국사] 임나와 가야는 같은 용어인가? 2 두가지 입장 정리(문… (1) history2 04-10 1225
2919 [한국사] 임나와 가야는 같은 용어인가? 1 두가지 입장 정리(통… (3) history2 04-10 1041
2918 [한국사] 이완용의 마지막 유언 (8) history2 04-10 2446
2917 [한국사] 재야사학자 一道安士(김상) (1) 지수신 04-10 899
2916 [한국사] 한국사 가장 바보 짓 예송논쟁과 경신대기근 (4) history2 04-09 4163
2915 [한국사] 희대의 미친 왕 1위 충혜왕과 그에대한 변명 (2) history2 04-09 1818
2914 [한국사]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후 에밀리 브라운에 대해 아십… history2 04-08 2062
2913 [한국사] 희대의 미친 년(루즈벨트 딸 일명 미국공주) (2) history2 04-08 3093
2912 [한국사] 낙랑목간에 대한 비판(김병준 교수의 군현측면에서 … history2 04-08 1322
2911 [한국사] 한일 함선비교 및 명량해전 (1) history2 04-08 3290
2910 [한국사]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17) 스리랑 04-08 1948
2909 [한국사] 고려 조선의 인구와 당시 각 국가의 인구 비교 (11) 고이왕 04-08 2479
2908 [한국사] 한국의 경제성장이 원조빨이라는 개소리 반박 자료(… (5) 고이왕 04-08 1180
 1  2  3  4  5  6  7  8  9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