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3-11-15 01:24
[필리핀] 장충체육관은 필리핀인들의 원조와 기술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다
 글쓴이 : 코코코
조회 : 3,358  

장충체육관은 우리기술과 디자인으로 우리국민의 세금으로 만들어진 건물입니다. 당시 장충체육관을 건립하기 위한 예산도 책정이 되어 있습니다. 필리핀의 원조 아닙니다.
 
이원복교수님과 같은 인지도가 있으신 분이 만드신 국민교양만화가 잘 못된 정보를 주는것이 안타까와서 메일 드립니다.
 
 
아래 글은 장충체육관을 설계하신 김정수선생님의 아드님이신 김석범님의 메일 전문입니다.
-------------------------------------------------------------------------------------
한국 건축역사학회 담당자님께,


장충체육관에 관하여 인터넷상에는 필리핀의 설계와 기술로 지어졌다는 이야기들이 있고 이 잘못된 이야기들이 인터넷상에서 계속 번지어 나가고 있어 이를 바로잡기 위하여 건축역사학회의 공식적인 답변을 들을 수 있기를 바랍니다.

이 문제는 저희 경기대학교의 건축대학원의 안창모교수님에게도 질의하였기에 안교수님에게 연락드려 주시고 결과를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시기 바랍니다.

김석범 드림
아래 글은 김석범님의 질의에 대한 안창모 교수님의 답변 내용입니다.
-------------------------------------------------------------------------------------
김석범선생님께,
선생님으로부터 서울시 중구 장충동에 소재한 장충체육관이 필리핀 엔지니어에 의해 설계되고 시공되었다는 이야기가 인터넷 상에 돌아다닌다는 말을 듣고 깜짝 놀랐습니다.
 
김정수 선생님께서 설계하신 장충체육관이 필리핀인의 작품이라는 이야기를 듣고 아드님 되시는 김석범선생님께서 매우 놀라셨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진작에 답을 드렸어야 하는데, 회신이 너무 늦었습니다. 죄송합니다.
 
저는 한국건축역사학회에서 학술이사를 맡고 있는 안창모(경기대학교 건축대학원 교수)입니다. 저는 한국근현대건축을 연구하는 학자이고, <건축가 김정수작품집>을 출판한 적이 있어 장충체육관 건립에 관한 내용을 잘 알고 있어, 장충체육관 건립과 관련된 풍문에 대한 사실을 확인해드릴 수 있을 듯 합니다.
한국건축역사학회에 질의하신 내용에 대해 학회를 대신해서 답을 드립니다.
 
 
장충체육관은 이미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김정수선생님 설계로 1962년에 지어진 건물입니다. 지름 80미터에 달하는 철골구조의 장충체육관 건설은 대공간건축에 대한 기술축적이 미약했던 당시로서는 매우 획기적인 건축물로 우리나라 대공간 체육시설의 효시가 되는 기념비적인 건축입니다.
건축디자인은 김정수선생님이 맡으셨고, 구조설계는 최종완선생님께서 맡으셨던 건물입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일찍이 최종완선생님의 인터뷰 기록도 남아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역사적 사실이 명백한 이 건물에 대해 근거없는 이야기가 시중에 나도는 것은 매우 유감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왜 이러한 소문이 나돌게 되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소문의 근거가 되었을지도 모른다고 추정되는 부분은 있습니다.
 
 
비슷한 시기에 미국의 원조로 지어진 경제기획원청사(현 문화관광부)와 미국대사관이 PA&E에 의해 설계되고 미국회사인 빈넬사에 의해 시공되었습니다. 당시 이 건물을 짓는데 미국의 영향하에 있던 필리핀의 엔지니어가 참여했다는 이야기를 들은 바 있습니다.(제가 직접 확인한 내용은 아닙니다) 미국 원조로 짓는 건물이니 미국설계사무소가 설계하고 시공하는 것이 자연스러웠을 것이고, 미국에서 엔지니어를 구하는 것보다 영어권으로 미국의 식민지를 겪었던 필리핀 엔지니어를 고용하는 것이 여러 가지로 편리했었을 것으로 추정되기에 경제기획원청사 건설에 필리핀엔지니어의 참여는 사실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1960년대의 필리핀은 오늘날의 필리핀과 달리 아시아에서는 경제적으로 기술적으로 가장 앞섰던 나라였기에 이러한 추론에는 전혀 무리가 없습니다. 이러한 정황을 알고 있는 분이 장충체육관의 경우도 똑 같은 상황이 있었을 것이라고 짐작했던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물론 필리핀 엔지니어가 장충체육관 시공과정에서 일정한 도움을 주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지만, 설혹 그렇다고 하더라도 건축디자인과 구조설계가 김정수와 최종완선생님들에 의해 이루어졌다는 사실에는 전혀 변함이 없습니다.
 
더 이상 장충체육관과 관련된 문제로 근거없는 이야기가 시중에 돌아다니는 일이 없었으면 좋겠습니다. 더불어 김석범 선생님의 부친이신 김정수 선생님의 명예에 누가되는 일이 더 이상 없기를 희망합니다.
안창모
경기대학교 건축대학원 교수
한국건축역사학회 학술이사
2010년 12월 10일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첼파 13-11-17 22:02
   
이것두 한참전에 떳던거라 알고 있었죠...
 
 
Total 20,025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1) 가생이 08-20 91672
6498 [일본] '아베 망언'만 문제일까 주변 전범기업 돌아… (4) 굿잡스 11-18 3002
6497 [기타] <동영상> 한국의 50대와 일본의 50대 (1) 하얀꽃불 11-17 5257
6496 [기타] 中학계 "한자는 동이족 문자...한국만 몰라" (39) gagengi 11-17 14798
6495 [기타] 이제 중국은 미국ppp를 넘어설것 같습니다 (15) ㅉㅉㅉㅉ 11-16 3885
6494 [중국] 5. 몽골리안의 부활을 꿈꾸며. gagengi 11-16 3850
6493 [대만] 채널a,대만정부의 압박에 항복, 대만정부측,아무도 … (4) 포세이돈 11-16 3990
6492 [다문화] 한국인 vs 미얀마의 인종차별. (16) Centurion 11-15 6844
6491 [기타] 유머게시판에 올라온 한국인에 대한 인종적 편견 (2) Centurion 11-15 2880
6490 [기타] 1960년대 아시아 주요국 1인당 국민소득 변화(이미지 … (2) 푸우님 11-15 8345
6489 [일본] 방숭국 꽁치가 '타이완산'으로..검역 강화 필… (4) 굿잡스 11-15 2988
6488 [다문화] 우리나라 사람들 답답하고 정신 못차는게.. (9) 모름 11-15 2600
6487 [대만] 박통의 한중일 역사교과서 공동편찬제의에 조롱하는… (12) 포세이돈 11-15 3366
6486 [필리핀] 필리핀의 1960년대 국민소득 (6) 오늘지금 11-15 9361
6485 [기타] 장충체육관이 필리핀의 도움을 받은건 사실입니다 (6) 써리원 11-15 8580
6484 [일본] “한국은 바퀴벌레” (15) 카더쿠 11-15 5245
6483 [필리핀] 장충체육관, 우리 자금과 손으로 만든 `100% 국산' (3) 코코코 11-15 3595
6482 [필리핀] 장충체육관은 필리핀인들의 원조와 기술로 만들어진… (1) 코코코 11-15 3359
6481 [필리핀] 이자스민 왈; (11) 코코코 11-14 4196
6480 [일본] 이성 잃은 아베? "한국을 '어리석은 국가'라 … (7) 코코코 11-14 3426
6479 [필리핀] 태극기 없어서 화나신 분들께 (1) 대한국만세 11-14 3288
6478 [필리핀] 한국 무시하는 필리핀의 2013 행태 (1) 코코코 11-14 7549
6477 [필리핀] 오늘도 글로벌 호구화 되는 대한호구 ... (6) 필립J프라… 11-14 2981
6476 [필리핀] 이자스민 이여자 참 골때리는 여자네여 ㅋ (14) 코코코 11-14 4772
6475 [기타] 역사 조작,왜곡하는 환빠들의 심리를 변호해보면 (7) 나좀보소 11-14 2362
6474 [통일] 환단고기에 대한 나의 단상. (12) 굿잡스 11-13 4193
6473 [기타] 북한에선 환단고기 규원사화를 어떻게 볼까? (23) 정의의사도 11-13 5693
6472 [통일] 환상적인 국가 (9) 굿잡스 11-13 3998
 <  501  502  503  504  505  506  507  508  509  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