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21-09-06 11:25
[기타] 3글자 이름이 중국식인가요?
 글쓴이 : tuygrea
조회 : 1,890  

진짜 중국식 이름은 원래 1글자거나 또는 삼국지 인물들 처럼 2글자였고

3, 4, 5글자로 짓는건 북방계 민족들식 이름이라는 얘기를 들은 적이 있어서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Marauder 21-09-06 11:51
   
성이 두개가 북방민족식. 외자가 한족식 아닌가요? 3 4 5글자는 한자가 아니라 북방민족 언어니까 3 4 5글자라고 치기에는 무리가...
함부르크SV 21-09-06 11:53
   
시대따라 달라진 것 같아서 ... 삼국지 보면 유비 손권 조조 처럼 두자 이름이 많은 것 같더니 근래는 습근평 강택민 모택동 등등 석자 이름이 많은 것 같고 ;;

정확하게 설명해 줄 설명충 등판이 요구됨....
비좀와라 21-09-06 12:15
   
원래 한자독음은 일독일음 입니다. 이게 한자 독음의 기본 원칙이죠.

이 한자 독음의 원칙이 언제 정해 졌는지는 모르겠고요.

그리고 한국인의 한자독음이 한자 독음의 바이블 격이죠.

예를 들면 상해가 원칙에 맞는 독음으로 우리는 상해라 하고 중국은 상하이라 하죠.

다시 말해서 한자를 하나로 써도 우리는 한개의 음으로 읽는데 반해서 중국은 두개 내지는 세개의 음으로 읽는다는 거죠.

위에서 예를 든 유비의 경우 중국어로는 유베이 이렇게 발음하고 조조 같은 경우 남방어로는 카오 카오 이렇게 발음 해요.

그리고 우리도 이름을 외자로 많이 쓰는대 이게 돌림자 놓기가 어렵 거든요. 아마도 돌림자 놓는 것도 나중에 생겼을 걸요.

그리고 한자를 쓰지 않을 경우 성과 이름이 굉장히 길어집니다.
     
구름위하늘 21-09-14 14:50
   
중국어를 모르지만,
상식적인 수준에서 우리 한개음으로 읽고 중국은 두~세음을 읽는 것이 아닐걸요.
우리 표기로는 상해가 상하이이지만,
중국어로 "하이"가 하나의 발음일 겁니다.

외국어 표현과 현지의 음절 인식이 달라서 착각한 것이 아닐까요?
위구르 21-09-06 12:50
   
고구려 남부는 지금 방식, 북부는 몽골식이었는데 망하고 지금 우리 사회에서는 사라진 것 같습니다
키륵키륵 21-09-08 17:16
   
성이 두글자라고 북방식은 아니에요. 그럼 남궁씨 서문씨는 북방쪽인가요? 원래 한족에도 2글자 성씨는 있었습니다. 조상이 궁궐 남쪽 마을 출신이면 남궁, 성의 서문쪽에 살았으면 서문, 벼슬이 사마였으면 사마 뭐 이런 식이었죠.

제 생각은 이렇습니다.

북방, 동방의 민족들은 원래는 이름밖에 없었는데 중국과 교류하면서  중국식으로 성+명으로 이름짓기를 흉내내게 되죠. 실제로 고추모(고주몽) 대왕도 추모대왕으로, 고유리왕도 유리왕 이렇게 성은 빼고 불렀고 신라도 혁거세 탈해 알지도 사실 상 당시에는 성이 없었다고 봐야죠. 이보다 수백년 후의 인물인 거칠부 이사부도 '김'이라는 성은 빼고 표기가 되기도 하잖아요.

중국을 흉내내서 성씨라는 것을 만들기는 하는데, 처음에는 고유어로 된 성씨를 만들지 않았을까요? 이것을 한자로 표기하는데 만약 성씨가 너무 길면 두 음절로, 짧으면 가급적 한 음절로 적으려 했겠죠, 옛날에는 중국과 비슷해 보여야 중국왕조들한테 무시를 안 당했을테니. 예를 들어 백제 왕가인 부여씨는 중국 보내는 외교문서에는 통상 여씨로 적었고 백제 망하고는 부여 서씨로 바뀌게 되죠. 또 연개소문을 예로 들면 일본측에는 이리가수미로 표기가 되어있는데, 아마 가수미는 개소문에 해당하고 성은 '이리'를 뜻이 같은 '연'으로 적은 것 같습니다.
구름위하늘 21-09-14 14:41
   
성씨는 추상적인 혈통을 의미하는 성과
실질적 친연관계를 나타내는 씨가 합쳐진 후대의 개념입니다.
중국 고대에는 보통 1자인 성과 보통 2자인 씨가 따로 있고, 여기에 이름이 붙었습니다.

후대로 가면서 성과  씨가 혼합(?)되어서 1자 또는 2자의 성씨가 된 것이죠. (성으로 합치면 1자, 씨로 합치면 2자)

씨는 우리나라에서는 본관, ~파 형태로 흔적이 남아있습니다.

북방민족도 성, 씨, 이름은 구분된 것으로 보입니다.
중국 변방과 외국의 성은 2자 이상이 되는 경우도 흔합니다.

징기스칸의 원래 성과 이름은 보르지긴 테무진. 씨족은 카야트.
 
 
Total 20,02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1) 가생이 08-20 90265
6415 [다문화] 다문화...개인적인 의견. (6) 로코코 05-15 1886
6414 [다문화] 영국 총리 - "국가적 다문화주의는 실패 하였다" 뿍엑스 11-01 1886
6413 [기타] 한국인의 주체성과 도 (2) 주체성 07-10 1886
6412 [한국사] 고조선에 대한 비문 (금석문) (1) 밥밥c 06-12 1886
6411 [한국사] 해남지역에서 큰무덤떼들이 대규모로 발견됬군요. (11) 설설설설설 05-31 1886
6410 [중국] 기록 관점으로 보는 조양(造陽) ' 유중(榆中)의 위… 현조 07-29 1886
6409 [세계사] 최초의 인쇄기술 발명국은 한국이다(목판인쇄, 목판 … 국산아몬드 01-10 1886
6408 [중국] "성형효과 없잖아, 내 돈 내놔"..불만 품고 의사에 흉… doysglmetp 07-19 1885
6407 [한국사] 독사방여기요의 안시성, 서안평, 건안성 위치 (5) 도배시러 04-15 1885
6406 [한국사] 백제 금동대향로 (1) BTSv 05-03 1885
6405 [한국사] 기자조선 이야기 찾아보니 조선에서 왜 기자조선 좋… (12) 아비요 03-11 1885
6404 [다문화] 프로메테우스와 다문화 (2) 내셔널헬쓰 06-17 1884
6403 [중국] 한국인이라던 ‘베이비 시터’ 알고 보니 조선족 doysglmetp 11-07 1884
6402 [다문화] 중도입국.... 이거 증말 문제가 많네요! (1) 내셔널헬쓰 12-06 1884
6401 [기타] 한민족의 물산을 언급한 최초의 책 (5) Player 02-13 1884
6400 [한국사] 임진왜란 관련 글에서 한국 농민이 양반들 등쌀에 못… (3) Marauder 05-09 1884
6399 [한국사] 백제의 성씨들에 대해서 (1) 고이왕 11-07 1884
6398 [한국사] 한국어의 친족 호칭 고찰 (1) 감방친구 11-26 1884
6397 [한국사] 백제의 코끼리는 어디서 왔을까? (1) 신수무량 01-17 1884
6396 [기타] 금 청 사 우리역사 글이 많이 올라오네요 (8) 충성 06-07 1883
6395 [기타] 로마제국이 과연 이정도일까요? (1) 두부국 04-22 1883
6394 [한국사] 우리나라 사람들 몽골인 닮았다 하시는데 (3) 보조도조도 04-14 1883
6393 [한국사] 한사군은 발해만 일대의 작은 지역이었다(이덕일 교… (12) 국산아몬드 12-27 1883
6392 [중국] 역사왜곡은 일본만한다? 더 위협적인 중국의 역사왜… (2) 서울남 10-07 1882
6391 [중국] 조선족들 댓글 (1) doysglmetp 11-17 1882
6390 [일본] 후쿠시마 햅쌀 일부서 기준치 넘는 세슘 검출 (2) doysglmetp 10-09 1882
6389 [한국사] 동요하가 압록강일 가능성, 그리고 10세기 여진족의 … (28) 감방친구 03-09 1882
 <  501  502  503  504  505  506  507  508  509  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