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8-04-02 00:29
[한국사] 조선의 사약 제도 (임금님이 하사하시는 은혜)
 글쓴이 : history2
조회 : 1,830  

퓨전한의학_송시열01.jpg


1) 조선 형벌제도의 근간인 명나라 대명률에는 사형 방식으로 목을 매달아 죽이는 교형(교수형)과 목을 베어 죽이는 참형만 규정할 뿐 사약 조항은 없다.

맹독성 사약은 역모나 패륜을 제외한 중범죄를 저지른 고위 관료나 왕실 가족에게 내리는 특혜성 이다.

따라서 사약을 받으면 왕의 처소를 향해 큰절을 올리고서 마시는 게 관행이었다.


2) 교형과 참형보다 훨씬 잔인하고 고통스러운 사형제는 능지처참이나 거열형이다.

고통을 천천히 느껴가며 죽게 하는 능지처참은 팔다리와 가슴 등을 잘라내고 마지막에 심장을 찌르고 목을 베어 죽이는 형벌이다. 능지(凌遲)는 언덕을 서서히 오른다는 뜻이다. 죄인을 기둥에 묶어 놓고 살점을 떼되 과다출혈로 죽지 않도록 조금씩 베어 극심한 고통 속에서 죽도록 하는 능지처참도 있다.

거열형은 팔다리와 목을 밧줄에 묶어 소나 말이 당겨서 찢어 죽이는 방식이다.

능지처참과 거열형은 군중이 지켜보는 저잣거리에서 집행하는 것이 원칙이었으며 서울은 세종대로 프레스센터 정문 부근에서 주로 이뤄졌다.

참수형 집행을 앞두고는 망나니 매수가 잦았다. 돼지 등 뇌물을 받으면 단칼에 죽이지만, 그렇지 않으면 칼을 여러 번 휘둘러 극심한 공포를 느끼게 하기 때문이다.


3) 참수형이나 교형도 공개 장소에서 집행돼 본인뿐만 아니라 가문이 치욕을 느꼈다는 점에서 사약 마시기는 가장 고상했다.

머리카락조차 부모가 물려준 것이어서 함부로 다루지 말아야 한다는 투철한 유교관에 비춰보면 목이나 몸을 훼손하는 처형이 최악의 불효였다.

참형이나 거열형으로 죽은 시신은 백성이 보도록 한동안 전시했으나 사약으로 숨진 시체는 곧바로 수습해 장례를 치를 수 있었다.

 

4) 후궁 처형에도 사약을 활용했다.

비록 죄인이지만 왕의 여인을 다른 남자가 함부로 만지게 할 수 없다는 배려에서다.


a9875133.jpg

 

5) 사약은 왕실 의약 담당인 내의원에서 만들었으나 제조법은 비밀에 부친 탓에 자세한 성분을 알 수 없다 고대 중국에서는 독수리와 비슷한 짐새 깃털을 술에 담가 생기는 독을 사약 제조에 쓴 것으로 알려졌다. 진나라(기원전 221~기원전 206) 이후에는 비소화합물인 비상을 활용했다.

조선 시대도 중국처럼 비상을 주재료로 사약을 만든 것으로 추정된다.사약을 받으면 왕의 처소를 향해 큰절을 올리고서 마시는 게 관행이었다.


6) 일단 사약을 마시면 밖으로 나오지 못하도록 방문에 못을 박은 다음 군불을 강하게 지펴 실내 온도를 최대한 높인다. 약발이 빠르게 받도록 하기 위해서다.

사약 반응이 사람마다 달라서 소량만 들어가도 목숨을 잃는가 하면 여러 사발을 마시고도 멀쩡한 사례가 간혹 생긴다.

이런 돌발 사태에 대비해서 사약을 넉넉히 챙긴다.

교통이 불편한 먼 유배지에서 준비해간 사약을 전부 마시고도 죽지 않으면 다음 사약이 내려올 때까지 며칠 동안 기다리거나 스스로 목숨을 끊기도 한다.

 

7) 왕이 하사한 사약을 제삼자가 건드리면 극형에 처하지만, 예외도 있었다.

경종이 1722년 좌의정 출신 조태채에게 보낸 사약을 홍동석이라는 머슴이 뒤엎어버리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졌다.

조태채는 귀양지 진도에서 죽기 전에 육지에 나간 아들을 만나보고 싶다고 금부도사에게 요청했다가 거절당하자 별안간 홍동석이 나서서 사약 항아리를 깨트린 것이다. 금부도사는 진상이 알려지면 본인도 처벌받을 것을 두려워한 나머지 험한 파도로 배가 심하게 요동쳐 사약을 물에 빠트렸다고 왕에게 허위 보고를 하고서 불문에 부쳤다고 한다.

 

8) 끝내 사약을 견디면 살려주지는 않고 자결을 유도하거나 군졸이 화살 시위를 풀어서 목 졸라 죽이기도 했다.


IXaK7bk1iAm3UwwL-7Ls_jkwGQsA.jpg

조선 후기 성리학 대가로 노론 영수를 지낸 송시열(1607~1689)이 석 잔을 연거푸 마신 다음에야 죽음을 맞았다.

평소 건강 관리를 위해 수시로 마신 어린애 오줌 성분이 사약 독을 없애는 바람에 약발이 더디게 받았다고 한다.

 

9) 우리 역사에서 사약을 가장 많이 마신 인물은 부제학(3품 왕실 비서관)을 지낸 임형수(1514~1547).왕의 외척과 실세들이 벌인 권력다툼에 희생된 임형수는 죽는 순간까지 의연한 기품을 유지한 일화로 유명하다.

임형수는 양재역 벽서사건 누명으로 처형된다.벽서사건은 "여자가 권력을 잡고 간신이 농간을 부리니 나라가 망하게 생겼다. 어찌 한심하지 않은가"라는 익명의 글이 양재역에 적힌 사건이다여기서 지목된 여자는 문정왕후(1501~1565)로 조선왕조 여성 가운데 수렴청정 등으로 최고 권력을 누린 인물이다.

문무에 능하고 성격이 호방한 임형수는 퇴계 이황과 수시로 어울려 술을 마시고 시를 읊조리며 조선 장래를 토론했다두주불사형인 임형수는 고향인 전남 나주에서 사약을 탄 독주를 16잔 비우고도 아무런 이상 징후를 못 느껴 민가에서 갖고 온 독주 2잔을 더 마셨다고 한다독주를 마실 때 온 가족이 대성통곡을 하는 상황에서 황당한 일이 벌어진다.

임형수가 "술을 주거니 받거니 할 상대가 없구나"라고 한탄하자 갑자기 시종이 안주를 들고나온 것이다.이에 임형수는 "벌주에도 안주를 금지하는 데 하물며 이 술이 어떤 술이라고 안주를 먹겠느냐"며 물리쳤다고 한다.

18잔에도 사약 효력이 없자 교형을 집행한다.

이때 임형수는 목을 졸랐을 때 혀를 길게 내밀고 죽는 게 수치스럽다며 모든 사람이 방 밖으로 나가달라고 주문한다.

결국, 집 벽에 구멍을 뚫어 연결한 밧줄을 임형수 목에 걸고서 방 밖에서 군졸 2~3명이 힘껏 잡아당겼다.

일정 시간이 지나 '' 하는 소리가 들리자 숨진 것으로 판단한 금부도사는 방 안으로 들어갔다가 대경실색한다.

밧줄에 걸려 넘어진 것은 임형수가 아니라 잠잘 때 쓰는 목침이었기 때문이다.

금부도사 일행이 안절부절못하는 모습을 본 임형수는 방구석에 누워서 호탕하게 웃으면서 "평생 즐긴 해학을 마지막으로 해 봤다"고 말하고서 밧줄을 목에 걸어 죽임을 당한다.


10) 고위 관리나 왕족이라고 해서 모두 사약을 받은 것은 아니다. 좌의정 이건명(1633~1722)은 지관이던 목호룡의 모함을 받아 유배지 전남 고흥군 나로도에서 참형으로 죽었다목호룡도 모략이 들통나 서울 용산구 신계동 당고개에서 목이 잘려 사흘간 길거리에 매달려 전시됐다.


2016040420461776687_1_99_20160405142010.jpg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history2 18-04-02 13:52
   
제조는 내의원에서 담당했으나 제조법은 철저히 비밀에 부쳐졌기에 성분을 확실하게 밝혀주는 문헌 기록이 없는 터라 현재까지도 정확한 제조법은 전해진 게 없다고 한다. 즉, 전해지는 현존 한의약서 중에서 사약을 다루는 서적은 없다. 한의학 서적은 널리 유통되는 것이 많고 금서로 지정될 이유도 없어서 오래된 서적도 어지간한 책은 다 전해지고 있다고 봐도 무방.

게다가 사약이란 것이 한순간에만 존재한게 아니라 계속해서 전해지다보니 지역별로 사약에 들어간다는 성분에 대해 주장들이 다르며 기본적으로 주장되는 주성분은 독이 있는 나무에서 추출한 독 정도이다.

다만 예로부터 사약을 먹으면 온몸에 열이 나서 죽는다는 말이 있었기 때문에 열을 내는 성질을 가진 부자 계열의 약재 ( 초오, 초두 )를 넣었을 거라 추측하는 일이 많다. 부자는 투구꽃에서 추출하는 약이며 지금도 한의학에서 매우 흔하게 쓰이는 약이다
6시내고환 18-04-05 23:00
   
내릴 사였군요...
 
 
Total 20,02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1) 가생이 08-20 90331
6064 [중국] 제발 부탁드립니다 (3) 목요출생 07-12 1832
6063 [기타] 제1회 한국·중국 고구려 연구학자 학술교류 회의 (7) 두부국 07-29 1832
6062 [기타] 북한이라는 국가가 진짜 한심한 게 (52) 쇠고기 03-23 1832
6061 [한국사] 일제에 의해 훼손된 화성행궁 (3) 히스토리2 05-13 1832
6060 [기타] 일본 경지면적과 농업 생산량의 실체. (24) 바람따라0 06-13 1832
6059 [다문화] 가정폭력에 무너진 코리안 드림? (1) snflgksk 09-05 1831
6058 [일본] [영상]일본군 위안부에 대해서 얼마나 알고 계십니까 doysglmetp 10-24 1831
6057 [한국사] 죄송한데 eo 님께 또 질문... (30) Marauder 02-13 1831
6056 [한국사] 중국역사지도의 위만 조선 지도 수준 (5) 고이왕 09-01 1831
6055 [중국] 통전으로 보는 요하의 위치 지도 (20) 도배시러 11-09 1831
6054 [한국사] 조선의 사약 제도 (임금님이 하사하시는 은혜) (2) history2 04-02 1831
6053 [한국사] 발해 강역에 대한 검토 (10) 감방친구 01-11 1831
6052 [한국사] 한국인은 북방계 남방계가 섞인게 아니에요. (9) 보리스진 03-19 1831
6051 [북한] 노수희 부의장, 3월 무단 방북 후 석 달째 체류중 (2) 적색츄리닝 06-16 1830
6050 [중국] 중 조선족 90% “중국이 조국”…일 조선인 17% “일본… (11) 투후 07-21 1830
6049 [기타] [민족은쓰레기개념임] 포인트제로 가야함. (10) 독설가 07-28 1830
6048 [한국사] 이동영상 실화인가요? (17) 꼬꼬동아리 06-27 1830
6047 [한국사] 거란(요) 동경의 교치상 추정 (3) 감방친구 04-21 1830
6046 [한국사] 하남 감일동 석실묘는 중국식국무덤인가요? (1) 뉴딩턴 09-09 1830
6045 [한국사] 러시아 연해주 향토 박문관에서 만난 발해 (2) mymiky 11-29 1830
6044 [기타] 뮬란의 역사왜곡 관심병자 01-20 1830
6043 [다문화] 세계의 다문화 정책 (5) 내셔널헬쓰 10-13 1829
6042 [한국사] 논란의 ㅐ발음 최종 정리 해봤습니다 (4) 징기슼 09-16 1829
6041 [한국사] 상상도 못한 정체, 한글로 단군이라 적힌 동전을 쓰… (3) 예왕지인 10-07 1829
6040 [다문화] <다문화가족 실태 조사>다문화 초등생 10% “학교… (3) 개혁 02-26 1828
6039 [기타] 근데 단편적 이미지로 너무 몰아가시는거 아닌가요 (7) 끄으랏차 03-18 1828
6038 [기타] 한자음으로 본 상고사 -3 비좀와라 09-24 1828
 <  511  512  513  514  515  516  517  518  519  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