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7-12-29 11:30
[한국사] 고구려 개주 출신 말갈인 이다조
 글쓴이 : 고이왕
조회 : 1,824  

고구려와 발해사 연구에서 말갈 문제는 중요한 논쟁이 되어 왔다. 그런데 말갈인 스스로 어떻게 인식했는지에 대해서는 연구가 많지 않다. 말갈의 성격을 살필 때 말갈계로 알려진 사람들의 정체성을 살펴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와 관련해서 주목되는 인물은 李多祚이다.
  이다조의 열전에는 “遼陽郡王李多祚, 三韓貴種, 百戰餘雄.”(舊唐書 卷一百九 列傳 第五十九)이라고 하여 삼한의 귀종임을 밝히고 있다. 즉 말갈이 아닌 삼한 즉 고구려와의 관련성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 학계에서는 이다조와 고구려와의 직접적인 관련성에 대해 그다지 주목하지 않았다. 그 이유는 이다조가 말갈인이고 唐將으로 주로 활동하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구당서』에 삼한귀종으로 표현된 것은 부회한 것으로 여겨졌다.
  그런데 이다조의 묘지명을 보면 그의 출자를 다시 볼 여지가 있다. 이다조의 묘지명은 1991년에 洛陽 龍門山 남록에서 도굴된 무덤에서 발견되었다. 현재 龍門石窟研究所에 소장되어 있다. 蓋石은 가로 72㎝, 세로 71㎝, 두께 10㎝이고, 篆書로 “大唐故遼陽郡王李公墓志銘”이 쓰여져 있다. 志石은 가로 세로 모두 75㎝이고, 두께는 5.5㎝이다. 전문은 아래와 같다.(張乃翥, 「讀龍門山新出土的唐李多祚墓志」, 『洛陽大學學報』 1994-3, 1994)

大唐故鎮軍大將軍行右羽林軍大將軍上柱國遼陽郡王食恒州實封八百五十戶封王墓志銘
王諱多柞, 蓋州人也. 忠誠久著, 功績遠稱, 列代班師, 封爵所賴. 曾祖訥, 烏蒙州都督, 祖利, 烏蒙州都督. 父辯, 烏蒙州都督, 贈右武衛將軍. 王以神龍三年七月五日, 薨于長安, 春秋五十有四. 嗚呼哀哉! 但享年不永, 海內同暖. 即以先天二年歲次癸醜九月壬戌朔二十四日乙酉, 遷葬於洛州河南縣伊油鄉之平原, 禮也. 嗣妊承風, 女尼意滿等, 崩天靡訴, 畢地無追, 恐陵穀推, 遷, 紀德音於泉路. 嗚呼哀哉, 何其閣極.

  이다조 묘지명에는 그가 고구려 개모성인 蓋州 출신으로 나오고 있어 주목된다. 이는 이다조가 말갈계 고구려인이었음을 말해 준다. 증조와 조부 및 부친은 烏蒙州都督이었는데, 오몽주는 고구려에 지배를 받는 말갈 부락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어쩌면 烏蒙이 部의 명칭이었을지도 모르겠다. 죽은 나이를 역산하면 654년생으로 고구려 멸망기를 전후하여 당에 투항한 것으로 보인다.

(권은주, 「북방계 말갈과 한반도 말갈의 활동을 통해 본 말갈의 성격」, 『‘다원적 관점에서 본 말갈제족의 활동과 의미』 공동연구(연구책임자 구난희)결과 발표회집, 2017.11.22., 26~27쪽)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감방친구 17-12-29 11:50
   
"이다조 묘지명에는 그가 고구려 개모성인 蓋州 출신으로 나오고 있어 주목된다. 이는 이다조가 말갈계 고구려인이었음을 말해 준다. 증조와 조부 및 부친은 烏蒙州都督이었는데, 오몽주는 고구려에 지배를 받는 말갈 부락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어쩌면 烏蒙이 部의 명칭이었을지도 모르겠다. 죽은 나이를 역산하면 654년생으로 고구려 멸망기를 전후하여 당에 투항한 것으로 보인다."

권은주의 상기 서술은 다음과 같이 분석할 수 있다

1. 묘비명 상의 기록
1) 이다조는 개주 출신이다
2) 이다조의 증조부, 조부는 오몽주 도독이었다

2. 사실 교차
1) 개주는 개모성이 있던 곳이다
2) 죽은 때로부터 역산하면 고구려 멸망 전인 654년 출생이다

3. 권은주의 비약에 가까운 추정
1) 오몽주는 고구려의 지배를 받는 말갈부락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2) 어쩌면 烏蒙이 部의 명칭이었을지도 모르겠다.
3) 이는 이다조가 말갈계 고구려인이었음을 말해 준다.

대체 이게 뭥미???
이병도의 논설 수준과 짝짝꿍?

직업 특성상 석ㆍ박사 논문 작성에 직간접적으로 수차례 관여를 해봤지만 이게 전문 연구자가 부끄러움 없이 할 수 있는 추론의 수준인지 한심스럽습니다
     
도배시러 17-12-29 14:55
   
소설로 보입니다. 소설작가들끼리 히히덕거리는게 느껴지네요
감방친구 17-12-29 11:56
   
이다조의 열전에는 “遼陽郡王李多祚, 三韓貴種, 百戰餘雄.”(舊唐書 卷一百九 列傳 第五十九)이라고 하여 삼한의 귀종임을 밝히고 있다. 즉 말갈이 아닌 삼한 즉 고구려와의 관련성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 학계에서는 이다조와 고구려와의 직접적인 관련성에 대해 그다지 주목하지 않았다. 그 이유는 이다조가 말갈인이고 唐將으로 주로 활동하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구당서』에 삼한귀종으로 표현된 것은 부회한 것으로 여겨졌다.

그러니까

1) 그러나 한국 학계에서는 이다조와 고구려와의 직접적인 관련성에 대해 그다지 주목하지 않았다.
2) 그 이유는 이다조가 말갈인이고 唐將으로 주로 활동하였기 때문이다.
3) 그리고 『구당서』에 삼한귀종으로 표현된 것은 부회한 것으로 여겨졌다.

아니 대체 왜?

1. 삼한 귀종(구당서 열전)
2. 개주 출신(묘비명)
3. 증조부와 조부가 오몽주 도독(묘비명)

이 사실에서 어떻게
1. 고구려인이 아니라 말갈인이다
2. 삼한귀종은 부회한 표현이다

가 도출될 수 있는가?
도배시러 17-12-29 14:54
   
嗚呼 其荒唐甚矣
     
감방친구 17-12-29 15:54
   
ㅋㅋㅋ
Marauder 17-12-29 20:42
   
이다조라는 이름 처음듣는이름이라 검색해봤는데... 중국어위키에는 말갈인으로. 한국어위키에는 특정할만한 내용은 없지만 한국인처럼 나오는군요. 특히 장흥이씨의 시조다라고 나와있군요. 한국홈페이지만 봐서는 한국인으로 생각하게 적어놨네요.
     
감방친구 17-12-29 22:27
   
쭝궈놈들이나 하는 짓을 주류 학계가 한다는 게 문제
 
 
Total 20,025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1) 가생이 08-20 92073
6012 [다문화] <다문화가족 실태 조사>다문화 초등생 10% “학교… (3) 개혁 02-26 1829
6011 [다문화] 이런 황당한 사건은 뭔가여? 쿠리하늘 05-30 1829
6010 [일본] "위안부는 군사작전"...일본인들의 증언 (1) 블루하와이 08-11 1829
6009 [기타] 발해의 문화 두부국 06-21 1829
6008 [한국사] 신라를 비판하는건 맞는 얘기가 아니에요.(신라에 의… (5) 동화 12-10 1829
6007 [한국사] 신라천오백년 고려 오백년 조선 오백년 (16) 대쥬신1054 05-21 1829
6006 [한국사] 위만조선은 영토가 1백리 정도인 짝퉁 고조선이다 (18) 수구리 01-19 1829
6005 [한국사] 최리의,낙랑국 (27) 하이시윤 03-18 1829
6004 [한국사] 정읍 시의원 - 중국 본토에서 삼국사기 백제의 정… (2) 조지아나 07-06 1829
6003 [다문화] 단어 'not'을 비교하니 우리민족의 정체가 나… 내셔널헬쓰 07-01 1828
6002 [중국] 한심하다 한심해 세끈한펭귄 10-14 1828
6001 [기타] 몽골의 독립운동가 이태준 열사 (1) 두부국 04-30 1828
6000 [기타] 고구려가 한국사라고 하는 반크 영상을 중국어로 제… (1) 두부국 11-06 1828
5999 [한국사] 신라 옹호하실때 자꾸 신라는 그 당시 고구려와 백제… (5) 퐈이아 12-11 1828
5998 [다문화] 하루가 멀다하고 또 다문화 관련 법안 발의 (6) 모름 04-15 1828
5997 [한국사] 고려시대 사경 (6) 섬나라호빗 05-24 1828
5996 [한국사] 일본 학계가 역사왜곡한 사례가 있나요? (8) Marauder 01-02 1828
5995 [중국] 중국의 역사발전 원동력이란게... (4) 윈도우폰 01-21 1828
5994 [다문화] 이자스민이 말하는 사회인식... (1) 개혁 01-01 1827
5993 [중국] 신나라 왕망과 신라에 대한 단상 (1) history2 03-07 1827
5992 [일본] 우리 문화재 약탈 증거 명백한데…日 '모르쇠' (2) 블루하와이 08-18 1827
5991 [기타] 우리 민족의 역사를 노래로 만든 강동민 교수 대은하제국 10-03 1827
5990 [한국사] 동사 東史 두부국 08-04 1827
5989 [기타] 고구려 역사를.. 중국이... (2) 하이1004 02-22 1827
5988 [기타] 창기병은 양성하기 힘들었다(펌) 고이왕 05-18 1827
5987 [한국사] 당 건국 선비족 북방족으로 고조선 예하민족중 하나… (1) 러키가이 05-05 1826
5986 [한국사] 발해의 고구려 계승에 대한 단상 기록정리 설설설설설 10-30 1826
 <  511  512  513  514  515  516  517  518  519  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