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5-07-17 04:24
[기타] 소설 데미안 관련한 잡담 혹은 질문..
 글쓴이 : 무재배전문
조회 : 1,635  

새는 알에서 나오기 위해 투쟁한다  알은 곧 세계이다 태어나려는 자는 반드시 하나의 세계를 파괴해야만 한다 새는 신을 향해 날아간다 그 신의 이름은 아브락사스이다

이 구절에서 세계를 파괴한다는게 뭘 의미하는걸까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mymiky 15-07-17 04:38
   
정해진 답이 있나요?
수학도 아니라,
그것도 문학에서-.-;;

님이 생각하시는 모든 것이 답이 될수 있지 않을까요?
님은 뭐라고 생각하시는데요?
     
무재배전문 15-07-17 06:28
   
책에서는 다른 사람들과의 교류를 통해 생각을 단련시키는 것을 알을 깨고 나오는 과정으로 비유하더군요. 문구가 가진 무게에 비해 너무 얼렁뚱땅 넘어가는 듯한 느낌이 강하게 들어서 다른 분들은 어떻게 해석 하시는지 알고 싶어 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비좀와라 15-07-17 07:49
   
그런 의미로 저 글을 이해 할려면 뒤에 아브릭사스를 이해하야 합니다.

저도 아브락시스를 설명 하고 싶은데 저도 이해 못했어요.
비좀와라 15-07-17 04:52
   
저는 소설 데미안을 안 읽어봐서 데미안 소설의 내용을 모르나 윗 내용은 신화를 배경으로 한 것이네요.

신화의 전통사상은 점성술에 기초 하였는데 한 성좌의 시대가 끝나고 다음 성좌의 시대가 되면 전 성좌의 시대는 파괴 된다고 믿었습니다. 알은 태양을 의미하며 태양은 신을 의미하며 세계를 의미합니다. 신이 죽고 새로운 세계가 열림은 다른 세계 즉 다른 성좌星座 시대가 열림을 의미하며 새란 인간과 신과의 메신저로 새가 머리에 앉거나 날아감은 권력을 잡았다는 것을 의미하니 새가 날아갔다 함의 새로운 권력내지는 신의 탄생을 의미합니다.

많은 예가 있으나 쉽게 접할 수 있는 것은 제우스상 옆에는 올빼미상이 같이 조각 된 경우가 많습니다. 올빼미는 부모를 잡아먹는 새로 여겨졌고 제우스는 신화에서 아버지 크로노스를 죽였습니다.  이와 같이 점성술을 중심으로 보는 세계관은 새로운 세계가 열리면 구세계는 파괴된다고 믿었습니다.
KNVB 15-07-17 08:10
   
그냥 제 개인적으로는 이렇게 이해하고 있습니다. 사람은 환경에 둘러싸여 있고, 그 영향을 받고 살아갑니다. 그러나, 사람은 성장하면서 자신을 둘러싼 세계를 확장시켜 갑니다. 태어나서 3-4세까지는 부모의 영향, 유치원에서 초, 중, 고 학교를 다니면서는 친구의 영향, 성인이 되어서는 지역 사회를 벗어나, 국가 혹은 세계를 보게 되죠. 그렇게 환경, 배경이 확장되어 나가는 과정이 기존의 가치관을 깨면서 이뤄집니다. 소설에서 주인공인 나는 데미안을 만나서, 어린 시절 삥뜯기던 불량배 친구의 위협에서 벗어나기도 하고, 점점 정신적인 성장을 하게 되죠. 일종의 정신적인 멘토였던 셈입니다. 그러다 소설 결말에서 데미안은 전쟁 중 부상으로 죽어가고, 마지막에는 앞으로 주인공 스스로 헤쳐나가야 한다고 말하죠. 본문에서의 구절은 그 과정을 압축해서 보여준다고 생각합니다.
영웅문 15-07-17 10:05
   
알이란 커다란 보호막이자 이것을 극복하지 못하면 갖히는 감옥이기도 하죠.
대부분의 사람들은 알이란 울타리에서 벗어나려 하지 않죠.
우리가 알고 있는 리더(현 우리나라 제외)들은 이런 알이란 울타리를 벗어나서 그들만의 세상을 구축한 사람들이죠.
그래서 우리는 그들을 신이라 하죠.
부르르르 15-07-18 00:56
   
읽은지 오래되서 가물가물 하지만... 소설속의  '나'에게 '알'이란 바로 '데미안'이었을지도 모른단 생각을 했었던것 같습니다. '나'에게 있어 '데미안'이란 선지자 이면서도 깨야할 고정관념이 아니었을까요?..... 제대로 기억하고 있는지 모르겠네요^^
구름위하늘 15-07-20 13:25
   
헷세의 다른 소설인 싯다르타를 보면 비슷한 언급이 나옵니다.

배를 타고 강을 건던 사람은 그 강을 건너게 해준 배를 버리고 길을 떠나야 한다... 이런 내용인데요.
자기의 가치관(?)이나 파라다임 같은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됩니다.

자라나면서 또는 깨달음을 얻으면서
기존의 자기 가치관이나 사상이 다음 단계에서는 발목을 잡는 방해물이 된다는 의미에서
파괴해야 한다고 말하는 것 같습니다.

불교 쪽에서 나오는 말 중에서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있죠. ^^

"도를 배우는 벗들이여! 법다운 견해를 터득하려면 남에게 미혹[속임]을 당하지 말고 안에서나 밖에서나 마주치는 대로 곧바로 죽여라. 부처를 만나면 부처를 죽이고, 조사를 만나면 조사를 죽이고, 아라한을 만나면 아라한을 죽이고, 부모를 만나면 부모를 죽이고, 친속을 만나면 친속을 죽여라. 그래야 비로소 해탈하여 사물에 구애되지 않고 투철히 벗어나서 자유 자재하게 된다.”
 
 
Total 20,022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1) 가생이 08-20 89905
4902 [한국사] 조선족, 고구려와 관련 없어”… 中 박물관, 버젓이 … (1) 고이왕 01-17 1641
4901 [일본] 풍신수길이 세금을 적게 거둬들였나요? (3) 아스카라스 07-11 1641
4900 [기타] 고죽국 관련 (1) 관심병자 10-28 1641
4899 [중국] 근대 청은 조선의 근대화를 가로막은 최악의 왕조 (5) 사랑하며 11-03 1641
4898 [다문화] 이민자-외국인 근로자는 한국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6) 화니군 01-31 1640
4897 [다문화] 다문화(이주민)이라는 말의 올가미 (6) 철완 02-18 1640
4896 [한국사] 개화파 인사들의 사진 + 흥선대원군(47세) (2) 히스토리2 05-07 1640
4895 [기타] 중공은 만방(전세계)의 敵 입니다!!! (4) kiyoke 12-01 1640
4894 [일본] 아베, 장기집권 시동...우경화 행보 가속 (3) 블루하와이 12-25 1640
4893 [기타] 역사학자 이덕일, 김현구 교수 명예훼손 혐의 무죄 … (4) 인류제국 05-11 1640
4892 [한국사] 『삼국사기』 초기기록 불신론이란 유령 (4) 마누시아 07-04 1640
4891 [다문화] 이민 침략!! 내셔널헬쓰 06-27 1639
4890 [한국사] 발해에 대한 접근 (17) 감방친구 02-01 1639
4889 [다문화] 불교(33천) 부처(부츠=구두=9x2) 구리족, 바둑판 비가오랴나 04-24 1639
4888 [한국사] 이번에 익산에서 백제 무왕의 무덤이 발견되었다는… 코스모르 07-18 1639
4887 [기타] 한국과 중국의 전통정원은 어떻게 다를까.. (2) 스쿨즈건0 05-28 1639
4886 [한국사] 1597년 당시 이순신 장군님의 상황 (3) 고구려거련 05-14 1639
4885 [중국] 중국 전국시대 갑옷 (15) 예왕지인 11-07 1639
4884 [북한] 북한에서 반란?민주화? 가능하다고 하는자체가 헛소… (8) Mr킬러 06-01 1638
4883 [중국] 소설을 잘 쓰는 중국인들 (5) 태호복희씨 09-02 1638
4882 [한국사] 삼한(三韓)의 탄생 배경 (1) 백운 03-22 1638
4881 [한국사] 한국이 벼의 종주국? (142) 밑져야본전 12-11 1638
4880 [일본] 야스쿠니에 합사된 외국인들 중 유명한 인사가 있나… 도타장인 11-04 1637
4879 [기타] 병인양요, 신미양요 (2) 관심병자 04-26 1637
4878 [한국사] 을지문덕의 시 與隋將于仲文詩 (여수장우중문시) (6) 고이왕 04-01 1637
4877 [기타] 박지원의 《열하일기(熱河日記)》를 통해서 본 한사… (1) 관심병자 05-22 1637
4876 [한국사] 왜(倭) 연구 요약 (4) 감방친구 10-04 1637
 <  561  562  563  564  565  566  567  568  569  57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