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8-03-15 21:58
[한국사] 영류왕 고건무를 위한 변명 1)
 글쓴이 : history2
조회 : 1,269  

영류왕을 위한 변명

영류왕을 바라보면, 프랑스의 패탱원수가 생각이 난다. 패탱은 1차대전의 프랑스를 승전으로 이끈 영웅이었지만, 2차대전 프랑스의 독일점령 때, 독일의 기미 괴뢰 프랑스 비시정부를 이끈 인물로 종전 후에 무기징역을 선고받는다.

 

13018photobbs.jpg
                     프랑스의 전쟁영웅에서, 반역자로 무기징역을 받은 패탱원수 

고영무 즉 영류왕도 고수전쟁의 일등공신이면서, 연개소문에게 척살 당할 후, 사대주의 매국노의 한명처럼 인식이 되어있다,

그래서 그의 공과 과를 객관적으로 적어보고 싶어 글을 든다.

image-3.jpg

                                       영류왕 고영무 

왜냐하면, 영류왕이 살해당했고, 강경파인 연개소문이 집권을 했음에도, 결국 고구려는 멸망했기 때문이다. 그러면 온건파인 영류왕이 연개소문을 제거했더라면, 어떻게 되었을까 생각해 봄 직한 문제라고 생각을 한다.

 

영류왕 고영무

 

1. 여수전쟁의 영웅

 

영양왕의 이복 동생. 수양제의 대대적인 침공에서는 직접 전선에서 군사들을 지휘하고 싸워 활약을 보인 인물이다. 그것도 보통 활약을 한 게 아니라 수서에 을지문덕과 함께 고구려군 장수로는 유일하게 이름을 올린 사람이다. 평양성 전투에서 결사대 500명을 이끌고 선봉에서 돌격해 내호아가 이끄는 별동대인 수나라 수군 4만명을 격파했다.

기록에 의하면, 평양성 밖에서 싸워봤자 승산이 없다고 판단하고 평양성 외성의 성문을 열고 외성을 무인지경으로 비워두어 그냥 수나라 군대를 맞아들였다고 한다. 내호아의 군사들은 아무도 자신들을 막지 않자 고구려인들이 모조리 도망갔다고 여기고 신나게 약탈에 몰두했고, 고건무가 지휘하는 500기는 이때를 기다렸다가 일거에 치고나가 당황하는 수나라 군대를 섬멸했다고 한다. 평양성 전투에서 수나라 수군이 격파되지 않았더라면 살수대첩도 없었을 것임을 감안하면 그야말로 여수 전쟁이 낳은 최고의 전쟁 영웅이자 명장 중 하나다.

 

그러나 이때 당시의 수나라의 대군을 상대하면서 영류왕이 느낀 것은 통일된 중국과 고구려간의 엄청난 국력차와 평화의 필요성이었던 것 같다. 그도 그럴 것이 고구려는 위진남북조시대 내내 중국의 지방 정권만 상대해왔지 통일된 중국의 물량을 제대로 경험한 것은 처음이었고, 통일 제국 수나라를 상대로 대승한 고구려의 업적은 역사에 길이 남을 승리지만, 문제는 전쟁이 고구려 땅에서 벌어졌다는 것이다. 고구려 영토 깊숙한 곳에서 전쟁을 벌인 만큼 고구려 입장에서는 이기더라도 그 피해를 회복할 시간이 필요했을 것이다.

 

2. 영류왕의 과실

 

1)낭중하급에게 대대로(수상)가 쩔쩔맴, 당 사신은 영류왕에게 인사도 안 함

2)고구려 쪽 대표로 태자가 임명됨

3)고구려 승전 기념물인 경관을 당사신이 무단으로 철거

4)당나라 사신의 군사 기밀 정탐을 방조

5)이러한 굴욕적 외교에 거란과, 말갈의 이탈동기를 부여함

6)칠중성 싸움 등 신라와 소모적인 전쟁을 진행

7)당은 고구려의 핵심지역 즉 요동이 한사군 이라고 주장하며, 영유권을 내세움,

이로인해, 고구려 내 강경파의 분노가 커졌으며, 급기야는 천리장성의 건설마저 중단하려는 극단적인 저자세 외교를 펼침 

640px-청룡_조선고적도보.jpg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Total 20,022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1) 가생이 08-20 89922
4740 [한국사] 고구려의 역산은 과연 황하 갈석산인가? (추적) (52) 감방친구 03-14 2850
4739 [한국사] 한국 전쟁사에서 왠지 무시되는 점 ㅠ (2) shrekandy 03-14 2289
4738 [한국사] 태종 이방원과 신덕왕후, 누가 조선건국의 공이 많은… (3) history2 03-14 1968
4737 [한국사] 도배시러님, 마석산이요! (5) 감방친구 03-14 921
4736 [한국사] 한국사 최대 난제는 발해인거 같네요 (3) 남북통일 03-14 1240
4735 [중국] 산동~요동반도, 묘도열도의 1911지도 (30) 도배시러 03-14 3839
4734 [한국사] 신당서, 오골강- 마전도의 위치 (16) 도배시러 03-15 1455
4733 [한국사] 학계 통설에서의 가탐도리기 해로 경유지 비정 (4) 감방친구 03-15 1401
4732 [한국사] 발해국과 소고구려국에 대하여(남북통일님의 글에 … (10) history2 03-15 1400
4731 [한국사] 해족의 위치는 어디인가?(요동반도에 위치한 적이 없… (5) history2 03-15 2380
4730 [기타] 폴란드볼 고구려 발해 (4) 인류제국 03-15 3223
4729 [한국사] 고건무가 연개소문만 못한 이유 (5) 위구르 03-15 1197
4728 [한국사] 고고학계에서 보는 고조선의 위치(펌) (5) 고이왕 03-15 1954
4727 [세계사] 중국 삼국시대 위나라와 진나라 시대에 유명한 귀양… (15) 고이왕 03-15 1071
4726 [한국사] 영류왕 고건무를 위한 변명 1) history2 03-15 1270
4725 [한국사] 영류왕 고건무를 위한 변명 2) (1) history2 03-15 1268
4724 [기타] 만주 · 퉁구스 어족 민족 (2) 관심병자 03-15 1531
4723 [한국사] 고구려 평양 및 원 수도(압록강) 재만주설이 웃긴 이… (7) 고이왕 03-16 1068
4722 [한국사] <삼국지> 예(濊)전과 관련한 고찰 (펌) 고이왕 03-16 803
4721 [한국사] 소위 대륙 고구려 및 삼국설에 인용되는 요사 지리지… (14) 고이왕 03-16 1309
4720 [한국사] 헌덕왕의 패강 장성에 대해 도배시러 03-16 880
4719 [한국사] 당 태종 2~차 원정과 수군 침략 경로 고찰 중간 보고 (14) 감방친구 03-16 1519
4718 [한국사] 소고구려 왕국(699~820)의 역대왕과 그 치세 (1) history2 03-16 1291
4717 [중국] 중국25사에 기록된 중국왕조 영역....... (1) 남북통일 03-16 1414
4716 [한국사] 대체 어디에 국내성이 의주라는 기록이 있습니까? (1) 남북통일 03-16 748
4715 [한국사] 일본 기슈 유학의 창시자 이진영 Shifteq 03-16 849
4714 [기타] 고구려 동천왕, 위나라를 공격하다 (4) 관심병자 03-16 1886
 <  561  562  563  564  565  566  567  568  569  57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