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8-03-17 06:24
[한국사] (1) 당 수군 침공로와 가탐 도리기 경로 고찰
 글쓴이 : 감방친구
조회 : 1,179  

가탐 도리기 원문과 학계 정설에서의 가탐 도리기 등주동북해행 항로 해석 및 그 경유지 비정


1. 신당서(新唐書) 가탐 도리기(道理記) 원문

一曰, 營州入安東道.
(생략)

二曰登州海行入髙麗渤海道

登州東北海行: 過 大謝島 龜歆島 淤島 烏湖島 三百里, 北渡烏湖海 至馬石山東之都里鎮 二百里. 東傍海壖. 過 青泥浦 桃花浦 杏花浦 石人汪 橐駝灣 烏骨江 八百里, 乃南傍海壖. 過 烏牧島 貝江口 椒島 得 新羅西北之長口鎮. 又, 過 秦王石橋 麻田島 古寺島 得物島 千里 至 鴨淥江 唐恩浦口. 乃, 東南陸行七百里至新羅王城. 自 鴨渌江口 舟行 百餘里, 乃, 小舫泝流 東北 三十里 至 泊汋口, 得渤海之境. 又, 泝流 五百里 至 九都縣城 故 髙麗王都. 又, 東北泝流 二百里 至 神州. 又, 陸行 四百里 至 顯州. 天寳中, 王所都. 又, 正北如東 六百里 至 渤海王城.

(정리)

二曰登州海行入髙麗渤海道
登州東北海行

登州 大謝島 龜歆島 淤島 烏湖島 三百里
北渡烏湖海 至馬石山東之都里鎮 二百里. 東傍海壖.
過 青泥浦 桃花浦 杏花浦 石人汪 橐駝灣 烏骨江 八百里, 乃南傍海壖.
過 烏牧島 貝江口 椒島 得 新羅西北之長口鎮.
又, 過 秦王石橋 麻田島 古寺島 得物島 千里 至 鴨淥江 唐恩浦口.

0) 해석 난점 1
ㅡ 해석 1안(학계 정설) : 登州東北海行 등주에서 동북쪽 바다로 가다, 등주 동북쪽 바다로 가다, 등주에서 동북 방향으로 항해, 즉 동북은 뱃길의 방향
ㅡ 해석 2안(본인의 견해) : 登州東北海行 / 登州海行入髙麗渤海道 등주에서 東北에 있는 髙麗渤海로 가는 (바닷)길(道)

1) 등주 ~ 오호도
ㅡ 총 3백 리
ㅡ 경유지 : 등주(봉래) - 대사도 - 구흠도 - 어도 - 오호도

2) 오호도 ~ (馬石山東之)도리진
ㅡ 총 2백 리
ㅡ 경유지 : 오호도 - 오호해 - 도리진

3) 도리진 ~ 오골강
ㅡ 총 8백 리
ㅡ 경유지 : 도리진 - 청니포 - 도화포 - 행화포 - 석인왕 - 탁타만 - 오골강

4) 해석 난점 2
ㅡ 해석 1안 : “過 烏牧島 貝江口 椒島 得 新羅西北之長口鎮. 又, 過 秦王石橋 麻田島 古寺島 得物島 千里 至 鴨淥江 唐恩浦口.” 를 일방향 선상에 있는 경유지
ㅡ 해석 2안 : “오골강에서 烏牧島 貝江口 椒島 得 新羅西北之長口鎮.” 경로a와 “오골강에서 秦王石橋 麻田島 古寺島 得物島 千里 至 鴨淥江 唐恩浦口.” 경로b로 나누어서 보고 오골강~경로b를 거쳐 압록강 당은포구까지 총 1,000 리
ㅡ 해석 3안(본인의 견해) : “오골강에서 烏牧島 貝江口 椒島 得 新羅西北之長口鎮.” 경로a와 “오골강에서 秦王石橋 麻田島 古寺島 得物島 千里 至 鴨淥江 唐恩浦口.” 경로b로 나누어서 보고 오골강~경로b를 거쳐 압록강 당은포구까지 200리로, 도리진~오골강~압록강 경로 거리가 총 1,000 리
ㅡ 해석 4안(학계 정설) : 오골강이 압록강, 패강구는 대동강, 진왕석교ㆍ마전도ㆍ고사도는 강화도, 당은포구는 현 경기도 남양만, 즉 해석 1안을 따르면서 “千里 至 鴨淥江”을 버림


2. 신당서 가탐 도리기 경로와 경유지에 대한 학계 정설로서의 해석과 그 비정

당나라 賈耽(730∼805)이 저술한≪道里記≫에 보면, 중국에서 신라로 가는 해로를 상세하게 기술하고 있다. 우리가 흔히 이야기하는 북방해로인 것이다. 이에 의하면 登州(山東省 蓬萊)를 출발하여 동북으로 大謝島(長山島)·鼉欽島(砣磯島)·末島(大·小欽島)·烏湖島(南隍城島)를 거쳐 300리를 나아간다. 그리고 북으로 烏湖海(黃詳川 海面, 老鐵山水道)를 지나 馬石山(老鐵山)의 都里鎭(旅順口)까지 200리를 가서 동쪽으로 靑泥浦(大連 부근)·桃花浦(金縣 淸水河口)·杏花浦(莊河縣 花園口)·石人汪(石城島)·橐駝灣(小洋河口)을 지나 烏骨江(鴨綠江口)까지 800리 길을 간다. 다시 남쪽 해안, 즉 한반도 서해안을 따라 烏牧島(平北 宣川郡)·浿江口(大同江口)·椒島를 지나 長口鎭(黃海 豊川郡)에 이른다. 다시 鵠島(白翎島)·秦王石橋와 麻田島·古寺島(江華島)·得物島(德積島)를 거쳐 唐恩浦(京畿 南陽灣)에 이른다. 이곳은≪도리기≫의 종점으로 신라시대에 대중국대륙 교통의 요지 가운데의 하나였다. 당은포에서 육로로 700리 길을 가서 신라의 서울 경주에 도달한다.
<출처 : 신편 한국사>

1) 해석1 :  登州東北海行을 등주에서 뱃머리를 동북 방향으로 몰아 나아가는 것으로 파악(동북ㅡ북ㅡ동ㅡ남)

2) 해석2 : 묘도군도를 따라 요동반도 끝에 도착해 한반도 서해안을 따라 내려오는 경로로 파악

3) 경로 및 경유지 비정

登州(山東省 蓬萊) - 大謝島(長山島 묘도군도) - 鼉欽島(砣磯島 묘도군도) - 末島(大·小欽島 묘도군도) - 烏湖島(南隍城島 묘도군도) - 烏湖海(黃詳川 海面, 老鐵山水道 묘도군도와 산동반도 사이) - 馬石山(老鐵山)의 都里鎭(旅順口 려순) - 靑泥浦(大連 부근) - 桃花浦(金縣 淸水河口 대련 금주구) - 杏花浦(莊河縣 花園口) - 石人汪(石城島) - 橐駝灣(小洋河口) - 烏骨江(鴨綠江口 현 압록강) - 烏牧島(平北 宣川郡) - 浿江口(大同江口 대동강) - 椒島 - 長口鎭(黃海 豊川郡 황해도 풍천군) - 鵠島(白翎島) - 秦王石橋 麻田島 - 古寺島(江華島 강화도) - 得物島(德積島 덕적도) - 唐恩浦(京畿 南陽灣 경기도 남양만)

4) 특징
ㅡ 산동 등주에서 묘도군도를 따라 요동에 도착하여 한반도 서해안을 따라 경기도 남양만에 이르는 경로
ㅡ 오골강을 현 압록강으로, 고구려 압록강을 현 압록강으로 비정, 즉 ‘고구려 압록강 = 현 압록강’설을 근거함
ㅡ 가탐 도리기 경로를 ‘고구려 압록강=현 압록강/고구려 평양=현 평양’으로 하는 현 학계 정설에 맞추어 파악하고 비정함


순수하게 선입견 없이
현 학계 정설로서의 수당 당시 고구려 영토, 가탐 당시 발해/신라 영토 등을 고려하고
산동ㅡ묘도군도ㅡ요동ㅡ한반도의 현실 지도를 보면서
가탐 도리기 원문과 현 학계 정설로서의 해석 및 경유지 비정을 견주어 보시기 바랍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남북통일 18-03-17 10:04
   
일단 당나라가 뭐하러 산동성에서 수군을 일으켰는지 궁금.......
     
도배시러 18-03-17 14:38
   
당 태종이 좌령좌우부장사(左領左右府長史) 강위(强偉)를 검남도에 파견하여 나무를 베어 선박을 만들게 하였다. 큰 배 중에는 길이가 1백 척, 넓이가 오십 척이나 되는 것도 있었다. 따로 사신을 파견하여 이 배들을 수로를 통하여 무협(巫峽)에서 강주(江州)와 양주(楊州)를 거쳐 내주(萊州)로 이동하게 하였다.
[네이버 지식백과] 보장왕 하 [寶藏王 下] (원문과 함께 읽는 삼국사기, 2012. 8. 20., 한국인문고전연구소)
 
 
Total 20,022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1) 가생이 08-20 89931
4713 [한국사] 가탐 도리기 항로는 군사 목적 항로가 아닙니다 (3) 감방친구 03-17 867
4712 [한국사] (1) 당 수군 침공로와 가탐 도리기 경로 고찰 (2) 감방친구 03-17 1180
4711 [한국사] 우리는 일본 역사학자들이 ‘한반도 지배 논리’를 … (1) 스리랑 03-17 1180
4710 [한국사] (2) 당 수군 침공로와 가탐 도리기 경로 고찰 (2) 감방친구 03-17 1118
4709 [한국사] (3) 당 수군 침공로와 가탐 도리기 경로 고찰 감방친구 03-17 1053
4708 [한국사] (4) 당 수군 침공로와 가탐 도리기 경로 고찰 (24) 감방친구 03-17 1249
4707 [한국사] (5) 당 수군 침공로와 가탐 도리기 경로 고찰 (2) 감방친구 03-17 799
4706 [한국사] (6) 당 수군 침공로와 가탐 도리기 경로 고찰 (3) 감방친구 03-17 1130
4705 [한국사] 대청광여도에 그려진 오호도 (14) 남북통일 03-17 1498
4704 [기타] 건륭제, 스스로 동이[東夷]라 하다. (5) 가난한서민 03-18 2201
4703 [한국사] 마크 바잉턴 보스톤 대학에서 한국 유사역사학에 대… (3) 고이왕 03-18 1354
4702 [한국사] 유사역사학이 떠받드는 푸스녠의 진실 (59) 고이왕 03-18 1728
4701 [기타] 어떤 성현자가 쓴 글인데 정말 정신이 안드로메다 급… (15) 뚜리뚜바 03-18 1503
4700 [한국사] 30년대 독립군 조선혁명군의 마지막 모습 (4) 고이왕 03-18 2352
4699 [기타] 흑룡회를 알아야 하는 이유!.....(1) (2) history2 03-18 2200
4698 [기타] 일본 우익에 대하여(우익과 야쿠자) .....(2) (3) history2 03-19 1493
4697 [기타] 환단고기와 흑룡회.....(3) (2) history2 03-19 1609
4696 [한국사] 가탐도리기 登州海行入髙麗渤海道 연구 (7) 감방친구 03-19 2625
4695 [일본] 蘇我가문과 木滿致, 蘇我滿知 (1) (2) history2 03-19 1115
4694 [일본] 蘇我가문과 木滿致, 蘇我滿知 (2) (1) history2 03-19 1106
4693 [한국사] 묘도열도의 남황성도 (10) 도배시러 03-19 1860
4692 [한국사] 가장 쉽게 보는 낙랑군의 위치 ( 이보다 정확하고 간… (4) 밥밥c 03-20 1089
4691 [일본] 반드시 알아야 할 신라의 왜 정벌(유례왕, 진평왕, 성… (1) history2 03-20 1614
4690 [일본] 반드시 알아야 할 신라의 왜 정벌(유례왕, 진평왕, 성… (1) history2 03-20 1292
4689 [한국사] 한사군 위치 지도 (13) 고이왕 03-20 1798
4688 [대만] 대만에서 신이 된 일본인들. (7) mymiky 03-20 3026
4687 [한국사] 신라의 대나무잎 병사 그리고 석씨왕조의 몰락의 시… (1) history2 03-20 2092
 <  561  562  563  564  565  566  567  568  569  57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