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8-09-05 11:19
[한국사] 스다하치만 신사 인물화상경
 글쓴이 : 호랭이해
조회 : 1,569  

이 동경은 현재 일본의 국보(考古 제2호)로 지정되어 현재 동경국립박물관(東京國立博物館)에 보관되어 있다. 동경 가장자리를 따라 도드라지게 “癸未年 八月日十 大王年 男弟王在意 紫沙加宮時 斯麻念長奉(壽)遣開中費直穢人今州利二人等 取白上同二百畢 作此鏡(계미년 팔월일십 대왕년 남제왕재의 자사가궁시 사마념장봉(수)견개중비직예인금주리이인등 취백상동이백필 작차경)”이라는 명문이 새겨져 있다. 명문의 해석과 동경의 제작연대, 수수(授受)의 주체 등에 관해 많은 연구가 있고, 해석을 두고 한·일 학자들 사이에 상당한 시각 차이가 있다. 이 동경의 제작연대는 계미년(癸未年)과 남제왕(男弟王)을 근거로 할 때, 443년설, 503년설, 623년설 등이 있는데 503년설이 유력하다. 남제왕에 대해서는 응신천황(應神天皇)설, 윤공천황(允恭天皇)설, 인현천황(仁賢天皇)설, 계체천황(繼體天皇)설 등이 있는데 남제는 계체천황의 휘(諱)로 계체천황설이 유력하다. 그리고 이 동경을 사마념장이 만든 것으로 보는 견해와 사마(斯麻)를 백제 무녕왕(武寧王)으로 보고 무녕왕이 이 동경을 만들어 남제왕에게 하사한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무녕왕릉 출토 지석에서 무령왕의 휘(諱)가 사마라는 것이 밝혀져 사마가 백제 무녕왕이며, 따라서 계미년도 무녕왕 재위기간인 503년이라는게 확인되고 있다. 개중비직(開中費直)에서 개중은 지명으로 가와치(河內)로 보고 있다. 이곳은 백제군이 있었던 지역으로 한반도로부터 많은 사람들의 이주가 있었던 곳이다. 비직(費直)은 백제에서 사용됐던 관명으로, 개중비직은 카와치에 정착한 백제계 귀족 도래인으로 동경제작 당시 왜왕과의 매개 역할을 맡았다고 추측하고 있다. http://naver.me/G1vdstSQ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호랭이해 18-09-05 11:28
   
http://naver.me/G1vdstSQ
복사하니 글이 이상해져서 댓글로 옮깁니다

이 동경은 현재 일본의 국보(考古 제2호)로 지정되어 현재 동경국립박물관(東京國立博物館)에 보관되어 있다. 동경 가장자리를 따라 도드라지게 “癸未年 八月日十 大王年 男弟王在意 紫沙加宮時 斯麻念長奉(壽)遣開中費直穢人今州利二人等 取白上同二百畢 作此鏡(계미년 팔월일십 대왕년 남제왕재의 자사가궁시 사마념장봉(수)견개중비직예인금주리이인등 취백상동이백필 작차경)”이라는 명문이 새겨져 있다.

명문의 해석과 동경의 제작연대, 수수(授受)의 주체 등에 관해 많은 연구가 있고, 해석을 두고 한·일 학자들 사이에 상당한 시각 차이가 있다. 이 동경의 제작연대는 계미년(癸未年)과 남제왕(男弟王)을 근거로 할 때, 443년설, 503년설, 623년설 등이 있는데 503년설이 유력하다.

남제왕에 대해서는 응신천황(應神天皇)설, 윤공천황(允恭天皇)설, 인현천황(仁賢天皇)설, 계체천황(繼體天皇)설 등이 있는데 남제는 계체천황의 휘(諱)로 계체천황설이 유력하다.

그리고 이 동경을 사마념장이 만든 것으로 보는 견해와 사마(斯麻)를 백제 무녕왕(武寧王)으로 보고 무녕왕이 이 동경을 만들어 남제왕에게 하사한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무녕왕릉 출토 지석에서 무령왕의 휘(諱)가 사마라는 것이 밝혀져 사마가 백제 무녕왕이며, 따라서 계미년도 무녕왕 재위기간인 503년이라는게 확인되고 있다.

개중비직(開中費直)에서 개중은 지명으로 가와치(河內)로 보고 있다. 이곳은 백제군이 있었던 지역으로 한반도로부터 많은 사람들의 이주가 있었던 곳이다. 비직(費直)은 백제에서 사용됐던 관명으로, 개중비직은 카와치에 정착한 백제계 귀족 도래인으로 동경제작 당시 왜왕과의 매개 역할을 맡았다고 추측하고 있다.

--

http://naver.me/GvLrc4EM

개중비직 비직은(費直)은 직(直)의 옛 표기라 하니
하내직(가와치노아타히)과 씨성이 같다
도배시러 18-09-05 16:08
   
북방족의 명칭인  穢人 의 등장이 눈에 띕니다.
 
 
Total 20,022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1) 가생이 08-20 90048
4524 [중국] 고대 중국의 세계관 (2) 월하정인 01-11 1573
4523 [중국] 별명으로 조롱받던 군벌들 [중국근현대사의 인물] 히스토리2 05-14 1573
4522 [일본] 일본 대법, 한국 거주 피폭자 치료비 지급 판결할 듯 (1) 블루하와이 09-08 1572
4521 [한국사] 잡담게시판에 맨날 중국찬양글 올리는 우마오당 분 (2) 11학번 06-09 1572
4520 [한국사] 1-2세기 태조왕 시기의 고구려는 요서에 있었다 (14) 마누시아 06-25 1572
4519 [한국사] 조선고적도보에서 찾은 천리장성의 비극 (3) 히스토리2 05-13 1572
4518 [한국사] 간도에 대한 중국의 입장 (1) 히스토리2 05-15 1572
4517 [북한] 악의신. 이오시프 스탈린. 독재의 최고봉 6편.. (1) 돌통 10-17 1572
4516 [한국사] 장백산과 압록수 연구의 도입(導入) (3) 감방친구 08-04 1572
4515 [한국사] 김정민 박사의 고대 한국사 강의 (7) 깡통의전설 03-06 1571
4514 [기타] 신라가 통일해서 불만이 있는 분?[이해x] (5) 감디 12-06 1571
4513 [일본] 불장난도 마음껏 하는 아이들...日 '모험 놀이터&#… 블루하와이 01-24 1571
4512 [한국사] 매번 반복되는 어그로 조공과 공녀 드립 (2) 상식3 02-16 1571
4511 [기타] 고대 한국사속 인도, 러시아- 제2외국어 한국어 지… (1) 조지아나 12-06 1571
4510 [한국사] ↓ 예족과 맥족, 한인, 왜인에 대하여 (8) 윈도우폰 12-20 1571
4509 [일본] 일본의 근대화는 운이 좋았다 (11) 솔루나 08-13 1570
4508 [한국사] 김화 전투 (10) 인류제국 10-11 1570
4507 [한국사] 청나라 관련 유튜브 동영상을 보다가 궁금증이 생겼… (18) 뚜리뚜바 11-11 1570
4506 [한국사] 낙랑군 유물의 연속성 2 (14) 도배시러 03-27 1570
4505 [한국사] 스다하치만 신사 인물화상경 (2) 호랭이해 09-05 1570
4504 [한국사] 전통무-검무(칼춤) (2) BTSv 02-01 1570
4503 [다문화] 법무부 홈피를 방문해주세요~ 내셔널헬쓰 10-17 1569
4502 [다문화] 우유카레의 상징성을 사람들이 이해를 못하는군요~ … (1) 내셔널헬쓰 04-25 1569
4501 [기타] 야훼, 세트, 포세이돈 - 다른 이름 같은 신 ? (8) 옐로우황 10-10 1569
4500 [한국사] 거란 동경과 요수 ㅡ 무경총요를 중심으로 2 감방친구 04-23 1569
4499 [기타] 필독 쪽발짱깨척… 11-25 1568
4498 [한국사] 태기왕 전설 (4) 호랭이해 02-26 1568
 <  571  572  573  574  575  576  577  578  579  5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