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8-04-13 17:02
[한국사] 경신대기근 2
 글쓴이 : history2
조회 : 1,442  

심지어 관리들은 서울을 탈출하기 위해 사직서를 제출했다. 영의정 허적은 14번이나 사직서를 제출한다. 다만 현종은 "다른 사람 다 나가도 너는 안된다."라며 허적을 잡아둔다.


05.jpg


 

이젠 서울마저 시체로 가득찬 거리가 되었다. 시체를 치울 가족들도 기근으로 죽거나 떠나서 시체를 치울 사람이 없었다. 오늘날 서울시 공무원인 한성부 관원들은 숫자가 적고 이들마저 기근과 역병으로 사람이 없어서 시체를 치울 수가 없었다.


ĸó_2015_12_29_12_41_11_203.jpg


 

결국 시체치우는 일에 승려들까지 동원이 된다. 기록에 따르면, 수천 구의 시신을 합동 매장한 일이 꽤 많았다고 한다. 경신년동안 전염병에 걸린 사람은 52천 여명이 보고되었고, 이중 절반이 사망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전라도는 사망자 비율이 무려 54%였다고 한다.


96aa146f-1c53-4e2c-81de-7f70e2c8dfa7.jpg


이정도 상황까지 오면(솔직히 이게 지옥이 아니면 뭐가 지옥일지..) 사람도 동물이 되어버리는데 조선 백성들 역시 마찬가지.. 유교국가에서 천륜도 인륜도 다 저버리는 상황까지 와버린다.

 

부모들이 아이를 강에 버리고 가는 상황이 일어난거다. 배식 대기 중인 부부 중 남편이 죽었는데, 아내는 신경도 안쓰고 남은 죽까지 다 먹은 후에 슬퍼했다고 하고, 아들은 어머니를 버리고 떠나고, 지옥의 하이라이트 즉 카니발리즘까지 일어난다.

 

인육, 식인이 보고되었습니다. 평소였으면 나라가 왈칵 뒤집어졌어야 정상이지만 이 당시에는 워낙 흔한 일이라... 승정원에서는 "굶주림이 절박했고 진휼이 허술했기에 이런 일이 벌어졌다"라고 담담하게 기록할 정도였다.


789078907907.png


이쯤되니 정부는 뭐하냐, 조선정부의 무능이란 의견이 나올만도 한데, 조선 정부는 오히려 솔직히 잘 대처한 편이었다.

 

먼저 경신대기근 시기 지구 전체를 보면, 당시 17세기는 지구 기온이 1도 떨어진 소빙하기 기후가 나타난 때 였다. 말이 1도지 지구 기온이 2도가 떨어지면.. 인류가 매머드처럼 얼음으로 변하는 재앙이 펼쳐질 정도로 당시 기온 변화는 심각한 것이었다.

 

중국에서는 강남 지방의 감귤농장이 전멸했고, 텐진 운하 결빙기간이 길어 교통이 마비되기도 했다. 심지어 에티오피아도 눈이 1년 내내 녹지 않았다.

 

그리고 현종시기는 예송논쟁도 있던 시기라 일본인들은 나중에 "당파싸움으로 싸우다 다 죽은거 아니냐"라고 말하지만, 왕궁까지 전염병이 퍼진 상황이었다. 솔직히 세종대왕, 엘리자베스 1, 강희제 어떤 명군, 성군이 와도 대처가 불가능할 정도의 천재지변이었다.

그나마 조선이 어느정도의 행정력이 있어서 나라가 안망하고 버텨낸 것이었다.

당시, 아일랜드에서는 대기근 때 자유방임주의를 따른다고 그냥 내버려 두다가(보이지 않는 손)이 온 국민을 다 죽였다.

 

단적으로 우리의 예송논쟁을 비난하는 일본역시 텐메이 기근 시기 일어난 잇키(봉기)의 발생 수를 보면, 조선 정부는 그나마 대처를 잘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경신 대기근의 영향에 대해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a) 대기근으로 재상급 인사들도 죽었다고 말했는데, 이중 화폐발행을 적극적으로 추진했던 병조판서 김좌명도 포함되어 있었다.

 

b)그리고 양반들이 엄청 거부하고 있던 대동법에 대한 여론이 확 바귄다. 대기근으로 살아남은 백성들이 그나마 대동법 때문에 세부담이 적어서 그랬다 라는 인식이 퍼지면서 대동법에 대한 지지는 하늘높이 솟구쳤다. 실제로 충청도에서는 결당 10두인 세금을 12두로 높이는 한이 있어도 대동법을 계속 시행해야 한다는 상소가 올라올 정도였다.

 

c)불행한건 24년 뒤 을병대기근이라는 2년의 대기근이 또 찾아왔는데.. 그땐 이때를 교훈삼아 청나라에서 3만 석의 쌀을 수입하게 된다.

 

d)대기근으로 발생한 다수의 유민들은 북쪽으로 향하게 된다. 이들이 북방, 만주지방으로 많이 떠나면서 자연스레 청나라와 국경분쟁이 일어나는데, 백두산 정계비 문제가 본격적으로 나타나는 것도 이 경신대기근 이후의 숙종 때 발생한다.

 

e)경신대기근을 잘 버텨낸 조선의 체제는 을병대기근 이후 다시 불안해지기 시작한다. 도참, 미륵 신앙이 유행하기 시작했으며, 장길산이란 유명한 산적이 등장하게 된다.

 

f)또한, 경신대기근 이후 17세기 사회 변화가 본격적으로 시작됩니다. 농장 해체의 경향, 노비제도의 완화 및 사회의 근본적인 해체 국면이 이때부터 시작된다. 그리고 서울에 모든 것이 집중되는 경기집중 현상도 이때부터 일어나게 된다.

 

g)그리고 온돌이 전국적으로 보급되면서 2층 한옥이 사라지게 된다. 그리고 땔감수요가 급등해 삼림자원이 남용되기 시작한다.

조선 말기에는 과벌목으로 인한 토사 유실로 농업생산성이 하락했었다고, 실록에 기록되어 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Total 20,025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1) 가생이 08-20 91799
4500 [기타] 탐스럽다라는뜻 유래가 (4) 존테러 04-12 1193
4499 [기타] 진나라의 궁전 아방궁 (1) 응룡 04-12 1161
4498 [한국사] 조선의 곤룡포 재업 (5) history2 04-12 1350
4497 [기타] 당나라 JPG (5) 응룡 04-12 2523
4496 [중국] 중국의 동북방을 지배한 공손씨 왕국 (5) history2 04-12 1816
4495 [한국사] 고려 3대 수입품(목화, 화포, 그리고 .......임질) (2) history2 04-12 2048
4494 [한국사] 당나라 시기 존재하던, 주위국가들 (4) history2 04-12 1523
4493 [기타] 중국 왕조중에서 전성기가 가장 길었던 왕조는 뭘까… (6) 응룡 04-12 1251
4492 [한국사] 웅진-사비기 왕릉급 무덤은 지역유지(?)무덤이란 말… (17) 그만혀 04-12 1899
4491 [한국사] 게시판이 세분화돼 있으면 좋겠다 싶네요 (2) 감방친구 04-13 738
4490 [기타] 일본 김 관련 기원에 대해 (3) 뚜리뚜바 04-13 1255
4489 [기타] 지구의 세차운동 옐로우황 04-13 1262
4488 [한국사] 동아시아 지도 짤 (5) 고이왕 04-13 4887
4487 [한국사] 6세기 중반 이후 고구려 갑옷(양당개,명당개 추청) (2) 고이왕 04-13 6741
4486 [한국사] 신라 천마총 토우 재현(신라 갑옷) (3) 고이왕 04-13 3114
4485 [한국사] 나름대로 저력이 있던 1900년 기준 대한제국의 GDP 고이왕 04-13 1461
4484 [기타] 중국의 도검 (4) 응룡 04-13 2482
4483 [한국사] 경신대기근 1 history2 04-13 2139
4482 [한국사] 경신대기근 2 history2 04-13 1443
4481 [한국사] 대한민국의 정통성이란 (17) 코스모르 04-13 1179
4480 [한국사] 백제의 금동관과 금동신발 (4) 감방친구 04-14 1309
4479 [한국사] 노다대감, 최초의 창씨개명 1호자 (1) history2 04-14 925
4478 [한국사] 노다대감 후손의 추악한 재산찾기(시사IN기사 첨부) (1) history2 04-14 951
4477 [기타] 청나라의 치욕적인 패배 - 호톤노르 전투 (1) 응룡 04-14 1117
4476 [한국사] 잘못 알려진 한국사 1 (고대) (5) history2 04-14 1410
4475 [한국사] 잘못 알려진 한국사 2(중세) (2) history2 04-14 1205
4474 [한국사] 잘못 알려진 한국사 3(조선) history2 04-14 795
 <  571  572  573  574  575  576  577  578  579  5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