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8-04-14 18:40
[기타] 만주국 개관 2
 글쓴이 : history2
조회 : 860  

7. 외교

 

만주국을 승인한 국가

중국은 만주국을 인정하지 않았지만 무역, 교통, 통신을 위해서 공식적인 관계를 맺고 있었다. 1933년 국제연맹이 리튼 보고서(Lytton Report)를 채택하여 만주가 중국의 일부임을 선언하자 일본은 연맹에서 탈퇴한다. 미국은 만주국이 건립하자 무력에 의해 만들어진 국제 관계의 변화를 거부하는 스팀슨 독트린(Stimson Doctrine)을 선언한다.

 

국제 연맹의 결정에도 불구하고 만주국은 엘살바도르(193433)와 도미니카 공화국(1934), 소비에트 연방(사실상 1935323, 법률상 1941413), 이탈리아(19371129), 스페인(1937122), 독일(1938512), 헝가리 (193919)에 승인되었다.


IMG_9092.jpg

250px-General_Officers_of_MIA-2.JPG



 

2차 세계대전 개전 이후, 만주국은 일본의 동맹국 독일의 지배를 받거나 영향하에 있던 국가인 슬로바키아(194061), 프랑스(1940712), 루마니아(1940121), 불가리아(1941510), 핀란드(1941718), 덴마크(19418), 크로아티아 독립국(194182)으로부터 승인을 받았다. 또한 일본의 영향하에 있던 중국 왕징웨이 정권(19401130), 태국(194185), 필리핀도 만주국을 승인했다.

 

8. 군사

 

만주국에는 일만의정서에 의해서 관동군이 주둔하였다. 1932년부터 만주군을 시작으로 군대가 창설되어, 황제 호위부대인 금위대과 해군, 비행대가 창설되었다. 만주국의 성격상 군대 역시 관동군과의 제휴를 전제로 하여, 관동군 지원 부대로서의 성격이 컸다.

 

9. 국적법의 부존재

 

만주국은 패망까지 국적법이 제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법적 의미의 만주 "국민"은 존재하지 않았다. 국적법이 제정되지 않은 배경으로 이중 국적을 인정하지 않는 일본의 국적법상 일본인 정착민들은 "일본계​​ 만주인"이 되어 일본 국적을​​ 포기하게 되므로 만주로 유입되는 일본인 이주민이 감소할 우려가 있었다. 일본의 식민지하에 있던 조선인을 일본 국민으로 취급하고 있던 조선 정책과의 일관성 문제 등이 있었다.


IMG_9094.jpg


 

 

10. 스포츠 등 문화

 

1932년 만주국 체육협회가 설립되었다. 만주국의 국기는 축구이며, 만주국 축구협회와 만주 축구 대표팀도 결성되었다. 야구에 있어서는 일본의 도시 대항 야구 대회에 참가한 팀이 있었고 일본 프로 야구 첫 해외 공식전으로서 1940년 만주 리그전을 하였다. 또한 만주국은 건국 당초 올림픽의 참가도 계획하여 1932521일 만주국 체육협회는 올림픽 조직위원회에게 로스앤젤레스 올림픽(19327월 개최)에 선수 파견을 정식으로 신청하였지만 참가는 할 수 없었다.(만주국은 1명의 육상 선수를 파견시키려 하였으나, 그 육상 선수는 만주국 선수로 참가를 거부하고 대신 첫 중화민국 선수로 출전하게 된다.)

 

국화는 난()이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Total 20,025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1) 가생이 08-20 92073
4473 [한국사] 잘못 알려진 한국사 4(일제~현대) (2) history2 04-14 791
4472 [한국사] 고려사 지리지 서문 (4) 남북통일 04-14 679
4471 [기타] 중국 고대 병기 극 (2) 응룡 04-14 762
4470 [기타] 고대 병기 '극'에 대한 실물사진 (1) history2 04-14 949
4469 [기타] 기타 운석들과 구리(금) 슬러지 (키덜트식 수집품) history2 04-14 917
4468 [한국사] 기타 최근 수집 유물(키덜트식 수집품) history2 04-14 685
4467 [기타] 최근 수집 유물 모음 (키덜트식 수집품) history2 04-14 791
4466 [한국사] 임분으로 본 고구려 평양 위치 (20) 영종햇살 04-14 1795
4465 [중국] 만주국 개관 1 (1) history2 04-14 1433
4464 [기타] 만주국 개관 2 history2 04-14 861
4463 [기타] 만주국 건국의 재해석 history2 04-14 1321
4462 [기타] 영토문화로 본 만주국 (1) history2 04-14 1939
4461 [한국사] 일진회의 역사와 평가 history2 04-14 849
4460 [한국사] 독사방여기요의 안시성, 서안평, 건안성 위치 (5) 도배시러 04-15 1900
4459 [한국사] 고려 전기 북방 강역 지도 (5) 감방친구 04-15 2639
4458 [한국사] 요수의 위치 변천 감방친구 04-15 1471
4457 [한국사] 발해 최대 강역의 추정을 위한 근거 (12) 감방친구 04-15 1899
4456 [한국사] 정조가 입던 조선 갑옷 복원 그림 고이왕 04-15 3693
4455 [한국사] 발해 영역 추정 (16) 고이왕 04-15 2661
4454 [세계사] 중국이 사라진 지도 (2) 고이왕 04-15 2698
4453 [한국사] 조선의 실패한 원정.. 대마도 원정 (3) 고이왕 04-15 1240
4452 [한국사] 고려의 영토비정(요동반도 ~ 공험진 까지) (17) history2 04-15 2140
4451 [한국사] 가탐 도리기 항로 시각화(지도화) (2) 감방친구 04-15 1478
4450 [한국사] 加臨土를 믿지는 않지만... 상고문자에 대한 의문 + … history2 04-15 886
4449 [한국사] 장지연은 사회진화론의 희생양 인가? (1) history2 04-15 751
4448 [한국사] 대한민국이 아직까지 식민사학자들의 세상이 된 이… 스리랑 04-15 661
4447 [한국사] 발해 동경 용원부의 위치 추적 (12) 남북통일 04-15 971
 <  571  572  573  574  575  576  577  578  579  5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