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8-04-15 11:00
[한국사] 조선의 실패한 원정.. 대마도 원정
 글쓴이 : 고이왕
조회 : 1,230  

대한제국 독수리 문장 2.png

○義禁府提調卞季良等詣壽康宮啓: “昨承命, 鞫朴實敗軍之罪, 實供稱: ‘李從茂初令三軍三節制使皆下陸而戰, 後變令三軍節制使各一下陸。 實執籌乃下, 賊强我弱, 再報請救, 從茂不聽, 柳濕、朴礎等亦不下救, 故見敗。’ 臣等謂非特朴實之罪, 從茂、濕、礎皆亦有罪, 請竝鞫之。” 上王曰: “朴實敗軍之罪, 固所知也。 若以法論, 則廷顯爲都統使, 不卽收實請罪, 是亦有罪。 今罪張蘊以誣告, 而賞諸將, 又下廷顯、從茂於(嶽)〔獄〕, 無乃有愧於國人乎? 況東征勝多敗少乎? 後日之事, 亦不可不慮也。 若爲大擧之計, 亦宜用權, 然吾豈以此終不治其罪乎? 今實當以功臣之子免之。”


세종 5권, 1년(1419 기해 / 명 영락(永樂) 17년) 8월 16일(무자) 
의금부에서 박실의 패군 원인이 이종무 등에게도 있음을 아뢰니 무난히 처리케 하다 




의금부 제조 변계량 등이 수강궁에 가서 아뢰기를, 
“어제 명령을 듣고 박실의 패군한 죄를 국문하오니, 실이 공술하기를, ‘이종무가 처음에는 삼군 삼절제사에게 명령하여, 다 육지에 내려서 싸우라고 하더니, 뒤에 명령을 변경하여, 삼군 절제사 각 한 사람만이 육지에 내리라고 하여서, 실이 제비를 뽑게 되어서 내렸던 바, 적은 강하고 우리는 약하여서, 두 번이나 보고하여 구원하기를 청하였으나, 종무가 들어 주지 아니하고, 유습과 박초 등도 역시 내려와 구원하지 아니하였으므로, 패전하게 되었다.’ 하오니, 신들의 생각에는 특별히 박실의 죄뿐이 아니고, 종무와 습과 초도 다 유죄하오니, 모두 국문함이 옳은가 합니다.”
하니, 상왕이 말하기를, 
“박실의 패군한 죄는 모두 다 아는 바이지만, 만약 법대로 논한다면, 유정현이 도통사가 되어서 즉시로 실을 구속하고 벌을 줄 것을 청하지 아니하였으니, 그것은 역시 죄되는 일이므로, 이제 장온을 무고죄로 벌주고, 여러 장수들을 상주었다가, 또 다시 정현과 종무를 옥에 하옥한다면, 나라 사람들에게 부끄러움이 있지 않겠는가. 하물며 동정할 때에는 승리가 많았고 패전은 적지 않았는가. 뒷날의 일도 역시 생각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니, 만약 대거(大擧)할 계획을 한다면, 또한 권도(權道)를 써야 할 것이나, 내 어찌 그런 일로 하여, 끝까지 그 죄를 치죄하지 않을 수야 있겠는가. 이제 실은 공신의 자식이라 하여, 면죄시키게 하라.”
하였다. 
--------------------------------------
서로 싸우려 가지 않으려 해서 제비뽑기를 해서 보냈지만 대마도인은 강하고 조선군은 약해서 두번이나
원군을 요청했지만 이종무는 무시하고 배로 도망치는 조선군을 배에 있던 아군은 구경만 하였음,,
패한것을 조선 조정은 나중에 알게 되어 처벌하자는 주장이 나왔지만 왕이 쉬쉬 하고 덮어버림,,,


○左議政朴?啓: “左軍節制使朴實對馬島敗軍時所(護)〔獲〕漢人宋官童等十一名, 備知我師見敗之狀, 不可解送中國, 以見我國之弱。” 右議政李原及卞季良、許稠等皆曰: “宜解送, 以全事大之禮。” 上遣通事, 往見官童等于中路, 探問其所見。



세종 4권, 1년(1419 기해 / 명 영락(永樂) 17년) 7월 22일(을축) 
박실이 대마도에서 패군할 때의 상황을 알고 있는 중국인을 보내는 데 대한 의논 




좌의정 박은이 계하기를, 
“좌군 절제사 박실이 대마도에서 패군할 때 호위하던 한인(漢人) 송관동(宋官童) 등 11명이 우리 군사가 패하게 된 상황을 자세히 알고 있으므로, 중국에 돌려보내서 우리 나라의 약점을 보이는 것은 불가합니다.”
하니, 우의정 이원과 변계량·허조 등은 다 이르기를, 
“마땅히 풀어 보내어 사대(事大)의 예를 완전히 해야 합니다.”
하니, 임금이 통사를 보내어, 관동 등을 중로(中路)에서 보고 그 소견을 탐문하였다.
----------------------------------------------------
조선군이 패하는것을 중국인들이 보아버려서 중국에 그냥 돌려 보낼수 없다는 
의견이 있었지만 사대의 예로 돌려보냄,,





대마도 정벌의 전개 과정
○ 대마도 왜구들이 조선 해안을 따라 북상하여 요동을 털어먹음
○ 발끈한 명나라가 대마도 토벌을 위해 명나라군을 조선에 파병하는 계획을 수립함
○ 명군이 조선에 주둔할 상황이 벌어지자 조선 조정은 차라리 조선이 나서서 대마도 토벌하는게 낫다는 계산으로 대마도 정벌을 추진함
○ 대마도 왜구들이 또다시 요동을 털어먹으러 서해안을 따라 북상하는 사이 이종무의 대마도 정벌군이 대마도 빈집털이를 시도함
○ 대마도 정벌군을 본 대마도인들은 약탈나간 왜구가 돌아오는 줄 알고 환영 준비를 하다가 뒤늦게 조선군임을 알고 섬 안쪽으로 도주함
○ 대마도인들이 해안 마을을 버리고 대마도주와 함께 섬 안쪽으로 도망치자 텅빈 해안가에 조선군이 장악함. 그 와중에 미처 도망못간 대마도인 몇을 사살하고 포로로 억류중이던 명나라 사람들을 구출함
○ 해안 마을을 장악한 조선군이 해안 마을과 선박들을 불살라 초토화시킴
○ 섬 안쪽으로 도망친 대마도주를 쫓아가기 위해 제비뽑기로 부대를 선발해 선발된 부대를 섬 안쪽으로 진격시켰다가 대마도인들의 매복에 걸려 해당 부대가 전멸함
○ 패전이후 조선군은 다시 섬 안쪽으로 진격할 엄두는 못내고 해안가에서 한동안 진을 친체 대치 상황이 지속됨
○ 슬슬 요동으로 약탈간 왜구들이 돌아올 시기가 다가오자 대마도에서 철군하고 조정에는 구출한 포로 및 대마도 초토화 전공을 보고하며 대마도 정벌이 성공적이라 보고함
○ 요동에서 돌아오던 왜구들이 충청도에서 공물을 싣고 가던 세운선들을 나포함
○ 이에 상왕 태종이 이종무에게 다시 출격해서 세운선을 나포해간 왜구를 요격할 것을 주장했으나 신료들이 막 귀한한 부대를 다시 전장으로 보내면 사기가 떨어져 승산이 낮다고 만류해 왜구 요격은 포기하고 그대로 대마도로 돌아가도록 냅둠
○ 어찌했건 승전으로 인정되어 이종무 등이 포상 받음
○ 가로늦게 섬 안쪽으로 쫓아가다 매복에 패전한 상황이 조정에 발각됨. 이종무 등은 패전 책임을 물어 결국 유배감
○ 대마도주가 사신을 보내 조선과 협상 시도. 대마도에 조선과 무역권을 보장해주는 대신 왜구와 손을 끊는 것으로 교섭이 진행됨.
○ 어찌되었건간에 조선은 명에 대마도 정벌을 실행해 대마도주가 이에 항복했다고 보고함. 마침 요동을 털던 왜구들은 잔뜩 벼르고 있던 명군에게 제대로 걸려서 크게 패하여 세력이 꺾였었음. 그리하여 명나라의 대마도 정벌 계획은 취소됨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history2 18-04-15 11:40
   
당시 도도웅와(都都雄瓦) 대마도주의 항복을 받아내 정치.외교적으로는 성공적인 작전이었다.

하지만 군사적 측면에서 작전은 실패했고, 대마도에 대한 직접 지배체제를 마련하지 못하는 등 현대적 군사전략 면에서는 성공하지 못한 전쟁이었다는 것.

조선은 1419년 6월 삼군도체찰사(정벌군총사령관) 이종무 지휘아래 함선 227척과 병력 1만7천285명으로 정벌군을 편성, 대마도 정벌에 나선다. 거제도 남단 주원방포에서 10척의 정찰선단을 앞세우고 출발한 정벌군은 3일만에 대마도 천모만 전방 해상에 당도했다.

당시 대마도 왜구들은 조선의 정찰선단을 왜구선단으로 착각하고 환영연을 준비하다가 정벌군 본대가 접근하자 뒤늦게 산악지역으로 대피하기도 했다.


첫번째 소규모 상륙작전에서는 적선 129척을 나포하고 가옥 1천939채를 불사르고 왜구 114명을 사살하는 전과와 함께 왜구에게 끌려온 중국인 131명을 구출하는 성과를 거뒀다.

하지만 본격적인 상륙작전을 감행했을 때는 지휘관들의 전술지식 부족과 상륙전 경험부족으로 100여명의 아군 사상자가 발생하는 등 졸전을 치렀다.

지상전에 실패한 조선군은 해상봉쇄로 왜구들의 투항을 기대했으나 정벌작전을 편지 20일도 안돼 태풍을 우려해 뱃머리를 조선으로 돌려야 했다.

또 그해 7월 조선 조정은 대마도 공격군과 왜구 요격군의 2개 부대로 지휘부를 편성해 2차 정벌을 명령하지만 정벌군의 사기 저하와 군선의 파손, 기후조건 등을 고려해 출병을 늦춰야 한다는 상소로 결행하지는 못했다.

하지만 병조판서 조말생 명의의 서신을 대마도주에게 보내 '조선을 군신(君臣)의 예'로 섬기면 무력행사를 중단할 수 있다고 통보한데 이어 9월과 10월 군선을 정비하라는 지시를 각 도에 하달하면서 대마도주를 압박했다.

조선의 압박에 따라 대마도주는 조선으로 사람을 보내 군신의 예의를 갖추겠다는 내용의 항복 문서를 전달했다.

"대마도는 토지가 척박하고 생활이 곤란하니 섬 사람들을 가라산도(거제도) 등의 섬에서 살게 해주시고, 대마도를 조선 영토의 주군(州郡)으로 여겨 주군의 명칭과 인신(印信.확인서)을 내려주신다면 저희는 마땅히 신하의 에절로서 명령에 복종하겠습니다"

세종 20년인 1420년 7월 조선은 대마도주에게 '종씨 도도웅와(宗氏 都都雄瓦)'라는 인신을 내려 대마도주의 지위를 인정하게 된다. 대마도의 전략적 가치와 잠재적 경제가치를 인식하지 못하고 대마도주에게 자치권을 인정해주는 우를 범한 것.

당시 조선이 대마도의 전략적 가치를 이해하고 그 곳에 관리를 보내 직접지배체제를 마련했더라면 대마도는 조선의 영토가 됐을 것
     
촐라롱콘 18-04-15 14:07
   
[[본격적인 상륙작전을 감행했을 때는 지휘관들의 전술지식 부족과 상륙전 경험부족으로
100여명의 아군 사상자가 발생하는 등 졸전을 치렀다.]]
.
.
.
당시 조선군이 패한 전투에서 조선상륙군을 지휘한 장수는 대마도정벌 직전까지
수군절제사 또는 병마절도사급에 해당하는 대체로 종2품의 고위직에 있었음은 물론
대마도정벌 당시에도 정벌군 가운데 서열 몇 손가락 안에 드는 좌군절제사 박실이었습니다.

전투양상을 보면 박실의 조선군이 상륙하여 좁은 계곡지형을 따라 대마도인들이 피신한
산속으로 접근하다가, 대마도의 복병을 만나 기습을 당하고 포구까지 쫓겨 내려와 서둘러 배를
타려다 배가 뒤집히기도 했으며... 포구까지 쫓아온 왜구들이 조선군들을 시살하는 동안
주변 포구에 정박한 조선군 가운데 중군병력들은 그냥 어찌할 줄 모르고 구경만 하고 있었고

뒤늦게 우군절제사 이순몽의 병력이 하선 상륙하여 왜구를 저지하여 좌군이 겨우 전멸만은
면했던 치욕스런 참패였습니다.

이 전투에서의 조선군 전사자 숫자에 있어 조선측과 일본측이 차이가 크게 나는데
조선측기록에는 180명 전사, 일본측 기록에는 2,000명 전사라고 나옵니다.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조선측 기록은 축소, 일본측 기록은 과장이라고 봅니다.

좌군절제사 박실이 직접 좌군을 이끌고 상륙했다면 수 천명 규모의 병력이 상륙한 것이
상식에 합당할 것이며... 전열이 무너지고 무질서하게 포구까지 쫓겨내려오는 동안 일방적으로
왜구들에게 당할 정도에다가 중하급 지휘관들 또한 여러 명이 전사했던 것으로 비추어보면
적어도 수 백명 가량의 전사자가 발생했다는 것이 상식적일 것입니다.
그건그래 18-04-15 11:41
   
수십만을 동원하고도 실패한 윤관의 여진정벌...
 
 
Total 20,024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1) 가생이 08-20 90349
4472 [한국사] 잘못 알려진 한국사 4(일제~현대) (2) history2 04-14 784
4471 [한국사] 고려사 지리지 서문 (4) 남북통일 04-14 678
4470 [기타] 중국 고대 병기 극 (2) 응룡 04-14 757
4469 [기타] 고대 병기 '극'에 대한 실물사진 (1) history2 04-14 947
4468 [기타] 기타 운석들과 구리(금) 슬러지 (키덜트식 수집품) history2 04-14 910
4467 [한국사] 기타 최근 수집 유물(키덜트식 수집품) history2 04-14 679
4466 [기타] 최근 수집 유물 모음 (키덜트식 수집품) history2 04-14 790
4465 [한국사] 임분으로 본 고구려 평양 위치 (20) 영종햇살 04-14 1789
4464 [중국] 만주국 개관 1 (1) history2 04-14 1429
4463 [기타] 만주국 개관 2 history2 04-14 858
4462 [기타] 만주국 건국의 재해석 history2 04-14 1318
4461 [기타] 영토문화로 본 만주국 (1) history2 04-14 1935
4460 [한국사] 일진회의 역사와 평가 history2 04-14 846
4459 [한국사] 독사방여기요의 안시성, 서안평, 건안성 위치 (5) 도배시러 04-15 1885
4458 [한국사] 고려 전기 북방 강역 지도 (5) 감방친구 04-15 2617
4457 [한국사] 요수의 위치 변천 감방친구 04-15 1461
4456 [한국사] 발해 최대 강역의 추정을 위한 근거 (12) 감방친구 04-15 1868
4455 [한국사] 정조가 입던 조선 갑옷 복원 그림 고이왕 04-15 3690
4454 [한국사] 발해 영역 추정 (16) 고이왕 04-15 2633
4453 [세계사] 중국이 사라진 지도 (2) 고이왕 04-15 2695
4452 [한국사] 조선의 실패한 원정.. 대마도 원정 (3) 고이왕 04-15 1231
4451 [한국사] 고려의 영토비정(요동반도 ~ 공험진 까지) (17) history2 04-15 2127
4450 [한국사] 가탐 도리기 항로 시각화(지도화) (2) 감방친구 04-15 1471
4449 [한국사] 加臨土를 믿지는 않지만... 상고문자에 대한 의문 + … history2 04-15 881
4448 [한국사] 장지연은 사회진화론의 희생양 인가? (1) history2 04-15 747
4447 [한국사] 대한민국이 아직까지 식민사학자들의 세상이 된 이… 스리랑 04-15 648
4446 [한국사] 발해 동경 용원부의 위치 추적 (12) 남북통일 04-15 955
 <  571  572  573  574  575  576  577  578  579  5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