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2-10-30 19:11
[다문화] 무조건 다문화 반대하는 사람들보면 구한말 위정척사 생각남
 글쓴이 : 써리원
조회 : 1,920  

내눈엔 이게 시대적흐름에 역행하려는것 처럼 보임
다문화가 좋고안좋고를 떠나 (개인적으로는 별로 안좋아 하기는 함)
세계적 흐름을 볼때 다문화는 피할수 없을꺼고 앞으로도 더하면 더했지 줄어들꺼라 생각이 안듦

그럼 다문화로 인한 부작용을 파악해서 이에 대비하는게 순서인거 같은데
무조건 다문화OUT 다문화OUT 이러고만 있음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84년우체통 12-10-30 19:16
   
어느정도 공감은 합니다만 , 우리보다 수십년 앞선 선진국만 하더라도 이미 실패한 정책이라고 인정을 했죠.
또한 선진국일수록 해외노동자나 망명,혹은 난민법이 강력합니다.
세계적으로 다문화 정책을 반대하고 있는 인식이 커지고 있고 , 미국 역시 인종차별이 존재합니다.
미국같은 경우는 다문화가 아니라 다인종이기 때문에 가능한거 같습니다.

우리나라는 다인종 정책이 아니라 다문화정책인게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미국내에서 인종차별은 많이 좋아졌다지만 , 아직 종교로 분리되는 다문화는 성공하지 못하고 여전히 사회문제가 되고 있으니까요.

저는 글쎄요.... 다문화..... 회의적입니다.
우리나라의 개념속으로 그들이 들어오는 다인종 개념이라면 찬성이지만 , 단순 돈벌 목적으로만 철새처럼 있는 다문화 개념이라면 반대입장입니다.
     
내셔널헬쓰 12-10-30 19:22
   
한 번만 더 쓰면 100번일듯...
다무놔란 말에 속는 사람이 왜 이리 많은지..다무놔의 본질은 혼혈잡탕화 정책임.
다무놔란 말은 단순히 혼혈잡탕화를 에둘러서 표현한거지...일문화의 반대개념이 아닙니다.
님같으면 티비 라디오에서 다무놔란 말 대신에 동남아혼혈화를 합시다. 이러면 좋겠습니까? 아마 즉각적으로 반응하는 국민이 많을 듯...
하지만 다무놔합시다 이러면 다인종은 괜찮은데 다무놔가 나빠요 이러면서 다무놔 하자는 반역자들 좋은 소리 하죠!!
다무놔는 곧 다인종이고 문화도 개잡탕 되는 겁니다. 다인종 해놓고 한국문화??? ㅎㅎㅎ
짱개에게 말해보삼~ ㅋㅋㅋ 짱개들아~ 짱개문화 버리고 우리 문화를 받아라~ ㅎㅎㅎ 이거 삼척동자도 말안되는 잡소리인거 알거인데..
많은 국민이 속고 있는 거 보면 참...망국이 머지 않았습니다.
          
84년우체통 12-10-30 19:40
   
다인종개념과 다문화개념이 같은 맥락이라고 생각은 합니다. 흥분하지 마세요.
저도 내셔널헬쓰님과 같은 생각이니까요.

그렇다고 폐쇄적이게 다른나라사람은 여행객만 가능한 나라가 되는게 옳다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세상이 변하긴했어요. 과거처럼 다른나라 가기도 너무 힘들고 , 전화도 없으며,인터넷으로 세계가 연결되고 글로벌이란 단어가 없었을때라면 , 전적으로 한민족 다인종반대!!! 라고 해도 당연하게 받아들이겠지만 ,
현재와는 비교가 적당하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긍정적인 다인종이란 , 한국 헌법과 애국심(국방의무등),세금도 잘내고, 반한적이지도 않으며 ,한국인이라는 생각을 스스로가진 한국사회에 긍정적인 사람들과의 융합을 지향한다는거죠.
애초에 미국처럼 다인종국가창립이 아니고 한민족이라는 민족적 단결심이 확고하기에 쉽지 않겠지만 말이죠.미국은 엄마가 러시아계이고 아빠는 라틴계라고 하지만 자신은 미국인이라고 생각하듯이 말이죠.

암튼 현재의 다문화정책은 전적으로 반대하는 입장입니다.
               
내셔널헬쓰 12-10-30 19:46
   
한국사회에 긍정적인 사람들과의 융합을 지향한다는거죠. ---> 말이 쉽죠~
제가 예전에 올린 글을 못보셨군요~ 핀란드 타타르족..핀란드 말고 폴란드에도 타타르 있어요~ 13세기 몽골 따라 들어간건데 아직도 타타르라는 정체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도대체 시간이 얼마나 지났습니까??? 숫자나 많으면..1만 명인가 극소수에요~

핀란드와 타타르는 인종은 다르지만 언어학적으로는 비슷~ 700년이나 타타르를 유지해오고 있삼! 융합의 대상으로 소수의 만주족같은 우리와 언어적 유전적으로 매우 가까운 집단이 되는 것도 아니고 완전히 다른 동남아가 가능하리라 보십니까? 망합니다. 망해요!
만주족도 융합이 안되서 내내 따로 놀다가 금나라 청나라로 갈려 나갔건만...
내셔널헬쓰 12-10-30 19:17
   
진짜 구한말 공자왈 맹자왈 십선비들이 생각나는 글이군요~
구한말 때도 십선비들은 공자왈 맹자왈이 시대적 흐름이라 굳게 믿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아시다시피 전혀 아니었다는..

현재의 십선비들도 다무놔가 시대적 흐름이라고 믿고 있습니다. 그러나 실패 선언이 줄을 잇고, 이민 벽은 높아지고, 반대로 가고 있죠! 진정한 시대적 흐름은 반다무놔!

신문 기사도 있었음! 전 세계에서 다무놔에 찬성하는 나라는 단 두 곳!!!!
우리나라와 빨레스타인!! 팔레스타인이야 이스라엘하고 허구헌날 총질하고 테러하고 하니 이슬람 광신도 수입이 절실하겠지만..우리는?? 미친짓하고 있느 거죠!!
김투덜 12-10-30 19:30
   
이런분들의 큰 착각이죠. 시대역행? 위정척사? ㅋㅋㅋㅋㅋ 지금 다문화가 시대의 역행이라는 사실은 모르시는거죠 전세계적으로 반다문화, 반이민정책이 대세에요, 지금 시대에 역행하는건 대한민국이죠. 그리고 위정척사언급하시는데요, 다문화가 무슨 세계화인줄아세요? 저임금, 저질 외국인노동력 수입정책이 어째서 세계화라고 생각하는겁니까? 다문화는 세계화와는 하등 아무런 관계가 없어요. 그동안 다문화 안했어도 한국은 충분하고 넘치도록 세계화가 된 국가입니다. 너무 개방화가 되서 오히려 문제죠. 다문화 안해서 지금까지 한국이 수출을 못하고 해외진출을 못했나요? 착각좀 하지마세요 다문화랑 세계화는 아무런 관계가 없어요
내셔널헬쓰 12-10-30 19:31
   
싱가폴 호주 스위스....반다무놔가 세계적 흐름이라는 뉴스를 허구헌날 올려대도...쩝..
소귀에 경읽기인가..소는 귀에 경을 읽어주면 돌아는 볼텐데..정말 답답합니다. 국민 여러분~ 우리나라 민족 지키고 안전하게 삽시다!
무솔리니 12-10-30 19:31
   
요즘 세계적으로 반이민정책이 유행인데;;; 우리가 시대를 역행하는거죠; ㅋ
김투덜 12-10-30 19:32
   
세계화가 결국 글로벌 스탠다드를 쫒는다는건데 글로벌스텐다드가 뭡니까? 결국 미국식경제운용아닙니까? 그게 다문화랑 무슨상관이 있어요? 지금까지 다문화라는말  코빼기도 안나왔어도 다들 영어에 미쳐있고 미국미국 거리면서 글로벌스텐다드를 충실하게 쫓아온게 한국인데 그게 다문화랑 무슨상관이냐고요?
행화촌 12-10-30 19:35
   
다문화라는 말 자체가 말장난이죠.  잘사는 나라에 기를 쓰고 기어들어가 얹혀 살려는 가난한 나라 사람들이
만들어낸 말장난....... 미국을 예로 들어 다문화 찬양하면 등신인거 아시죠?  미국은 원래 주인없는 나라죠. 원래주인은  다 죽였으니...

한국은 주인이 있잖아요. 오천년이나  이땅을 피똥싸며 지켜온  한국인들...
이제 먹고살만 하니까,  다문화 라면서 온갖 시러베놈들도  받아들여야 된다는건 ......이건 강도가 하는 소리지..
김투덜 12-10-30 19:39
   
다문화를 다문화=세계화, 다문화=개방 이런식의 초딩같은 발상을 하는분들이 가끔 있더라고요. 보고있으면 어이가 없어서 웃음이 나옵니다. 다문화는 후진국의 저임금노동력 수입, 후진국형 이민정책 이거일뿐이고요 전혀 세계화에 도움이 되는정책이 아닙니다. 세계화는 말그대로 글로벌스탠다드의 추종이죠. 충분히 한국은 글로벌스탠다드를 추종하는 국가고요.
호로록호롱 12-10-30 19:42
   
다문화 = 한 국가의 일자리 장벽을 허물고 저렴한 외국 용병을 적극 수입하는 정책.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니지 않나요?

애초에 다문화는 문화적인 담론에서 출발하지도 않았고 단지 저개발국가의 싼 노동력을 수입하면서 국내 치안이 불안해지고 자국민들의 노동시장이 교란되고 내수시장이 발전하지 못하는 부작용에서 일어나는 반발을 설득력있게 무마시키기 위한 광고 브랜드 네임이라고 생각합니다...
81mOP 12-10-30 19:43
   
에효..아직도 이런글이...
현 다문화의 본질을 보소서.....
칼리 12-10-30 20:34
   
다문화는 국가적으로 독입니다.

단일민족국가라는 자부심은 국가적으로 매우 긍정적인 요소입니다. 다문화는 미국같이 태생적으로 어쩔수 없거나 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피해야 하는 겁니다.

우리나라가 5천년간 정체성을 이어온 것도 단일민족이라는 자부심이 컸기 때문입니다. 일본은 섬나라라서 그렇지 우리처럼 5천년 역사를 가지면서 쭉 이어온 나라도 드뭅니다. 다문화란 허황은 평화로운 시기는 별 문제가 없지만 국가 위기가 닥치면 바로 엄청난 해를 가져오는 독 일뿐입니다.
소악녀 12-10-30 20:44
   
다문화(내국인 차별,한국문화 폄하,민족말살책)

=  친일파 매국노(내국인 차별,조선문화 폄하민족말살책)

이게 정설 아닌가
zzag 12-10-31 03:28
   
그 시대의 시대적 흐름이라면 당연히 경쟁적인 식민지 확보..
그 시대적 흐름에 저항한 조상이 '십선비' ?
 
 
Total 20,025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1) 가생이 08-20 90716
4311 [일본] 美국무부 "세계 매춘여성 수출국 1위는 일본" (7) 야비군 11-01 4611
4310 [기타] 1945년 해방 이후 한반도에서의 미국 소련의 이해관계 (5) 부농의딸 11-01 2313
4309 [기타] 명 청시대 연해주 (20) 제로타겟 11-01 2987
4308 [중국] 한사군은 허구다 (펌) -계속 (20) sssangi94 11-01 2905
4307 [중국] 한사군은 허구다 (펌) sssangi94 11-01 2468
4306 [다문화] 정체성이 침략의 명분이 됨을 아십니까? 내셔널헬쓰 11-01 5789
4305 [다문화] 영국 총리 - "국가적 다문화주의는 실패 하였다" 뿍엑스 11-01 1886
4304 [기타] 1945 해방이후 미국과소련의 남북간섭...궁금증풀어주… (5) 은굥 11-01 2433
4303 [다문화] 외국인 문구점 강도침입 방화 경찰 추적 (7) 뿍엑스 10-31 2317
4302 [기타] 여진족이성계 (23) 제로타겟 10-31 4325
4301 [기타] 미군범죄 319건 중 구속은 단 1건 (2) 뿍엑스 10-31 1701
4300 [다문화] 호주 ABC방송에서 한국의 다문화정책 확산을 심층 취… (1) 내셔널헬쓰 10-31 2902
4299 [다문화] 한국인은 예전부터 다문화였나? (9) 배찌형 10-31 5215
4298 [다문화] 다섯을 넘으면 숫자를 못 센답니다. (5) 내셔널헬쓰 10-31 2045
4297 [기타] 역사) 우리나라는 대체 언제부터 중국의 지배를 받았… (21) 갈갈갈 10-31 2608
4296 [다문화] 다문화는 문화상대주의 (타문화존중)이 아니다. 리눅서1 10-31 3277
4295 [다문화] 지난5년간 한해평균 7880명 베트남 신부.. (11) 토박이 10-31 4440
4294 [일본] 15년전 한국 외교관의 명쾌한 ‘독도 문답’ (5) 진짜인간 10-31 2832
4293 [다문화] ㅠㅠ ㅈㅅ (13) 섭섭 10-30 1760
4292 [다문화] 장애인 인권운동가가 다문화 행사장에 난입한 이유? (2) 소를하라 10-30 1665
4291 [다문화] 이자스민 남동생 8년간 한국 불법체류 (4) doysglmetp 10-30 2454
4290 [다문화] 재미 교포가 느끼는 한국 정부 다문화 선동의 본질 (2) 뿍엑스 10-30 4415
4289 [다문화] 무조건 다문화 반대하는 사람들보면 구한말 위정척… (16) 써리원 10-30 1921
4288 [다문화] 싱가폴에서 느끼는 다문화 - 역시 실패 (7) 내셔널헬쓰 10-30 4660
4287 [다문화] 호주 새 난민법 부결…해상 비극 계속될 듯 (2) 뿍엑스 10-29 2812
4286 [다문화] "스위스 새 난민법·이민법 확정" (2) 뿍엑스 10-29 2412
4285 [다문화] 난민법 이슈화를 두려워하는 세력? 섬뜩한 여론조작 (2) 내셔널헬쓰 10-29 1720
 <  581  582  583  584  585  586  587  588  589  5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