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8-04-28 22:24
[한국사] 북한의 고구려 성 위치 비정과 수나라 침입로 지도
 글쓴이 : 꼬마러브
조회 : 2,228  

고구려 수 전쟁.jpg


- 화질이 좋지 않지만 대충 보면... 고수전쟁 당시의 평양을 지금의 평양으로 비정하기 위해서 억지를 쓴 것이 보이는 듯 합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남북통일 18-04-28 22:58
   
제가 본 사진이랑 다르네요.
일단 북한에서는 고구려 평양을 단둥 봉황성으로 비정하고 있어요.
     
남북통일 18-04-28 23:00
   
앗, 죄송함다..........
제가 지도를 제대로 안 봤네요.
도배시러 18-04-28 23:10
   
수나라 요서 회원진의 위치가 틀렸네요.
수나라 요서 회원진의 위치는 북경의 북쪽에 있습니다.

과거 기억력에 의존하는 문헌 검증으로 이뤄진 성과라 봅니다.
지금은 단어로 검색만해도 회원진 관련 문헌은 쉽게 뽑아내지요.
도배시러 18-04-28 23:12
   
그리고 수나라의 영주는 북경의 먼 북쪽으로 나옵니다.
수나라 영주의 위치 설정도 어설퍼 보이네요.
     
남북통일 18-04-28 23:15
   
고지도로 보면 유성이 난하 서북쪽에 비정되어 있더라고요.
도배시러 18-04-29 01:30
   
● 구당서, 연주 귀덕군 회원懷遠
燕州 隋遼西郡,寄治于營州。武德元年,改為燕州總管府,領遼西、瀘河、懷遠三縣。其年,廢瀘河縣。
六年,自營州南遷,寄治於幽州城內。貞觀元年,廢都督府,仍省懷遠縣。開元二十五年,移治所於幽州北桃穀山。
무덕 6년(623)에 영주를 남쪽으로 옮겼다

● (당나라) 통전  ○归德郡 연주 귀덕군
 燕州 秦上谷郡地,历代土地与范阳郡同。隋文帝时,粟末靺鞨有厥稽部渠长,率数千人,举部落内附,处之柳城、燕郡之北。
 炀帝为置辽西郡,以取秦汉辽西之名也,统辽西、怀远、垆河三县。大唐为燕州,或为归德郡。领县一:辽西

연주는 진시황때 상곡군 지역이다. 燕州 秦上谷郡地
수나라  문제때 속말말갈이 귀부했는데... 연군의 북쪽에 있는 유성柳城 에 거하게 하였다.
隋文帝时,粟末靺鞨有厥稽部渠长,率数千人,举部落内附,处之柳城、燕郡之北。
     
도배시러 18-04-29 01:50
   
정리하면, 수나라때에......
북경의 북쪽에 요서군 회현, 연군(어양)의 북쪽에 유성( 영주 ? )
지수신 18-04-29 11:12
   
조선공화국 역사학계는 1960년대까지 놀라운 성과를 많이 냈었습니다.
분단 당시에 사학자다운 사학자는 거의 다 북으로 갔던 여파일 겁니다.
한국 '강단'에서 거의 유일하게 고조선 통사연구를 한 윤내현의 1994년 저서가
조선 리지린의 1960년대 연구를 거의 베끼다시피 했을 정도니 말 다했죠.

하지만 1970년대 유일지배체제가 강화된 이후로는 거의 제자리걸음이었고
지금은 한국의 '재야' 고수들보다도 수준이 처지는 것 같습니다.

물론 100년전 일제 관학자들의 주장을 앵무새처럼 답습하고있는
한국의 강단주류보다는 여전히 훨씬 낫습니다만.
     
꼬마러브 18-04-29 13:54
   
네 정확합니다.

다만 윤내현 교수가 리지린을 베끼다시피 했다는 것은

당시에 고조선사 (사실 현재까지도)에 대해서 리지린의 위치가 가히 압도적이었고

또한 윤내현 교수는
자신이 다른 사학자의 영향을 받지 않고 독자적으로 연구해 결론을 냈으며
그것이 우연히 북한사학계의 주장과 비슷한 것이라 하였습니다.

역사란 진실을 탐구하는 학문이니, 그것이 진실 혹은 진실과 가까운 것이라면
사람을 구별하지 않고 비슷한 결론이 나올 수 있는 것이죠.

그런데 사실 엄밀히 따져보면 리지린과 윤내현 교수의 주장이 완전히 똑같지도 않습니다.
위구르 18-04-30 19:53
   
현 평양을 강조하기 위해 고조선의 중심지마저 한반도로 옮기는 악수를 두었으니...
 
 
Total 20,025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1) 가생이 08-20 92058
4284 [한국사] 소소한 역사탐방 ... 남한산성 1 히스토리2 04-26 657
4283 [한국사] 소소한 역사탐방 ... 남한산성 2 히스토리2 04-26 527
4282 [한국사] 소소한 역사탐방...남한산성 3 히스토리2 04-26 599
4281 [한국사] 건안성과 요동성의 비정 감방친구 04-26 1160
4280 [한국사] 소소한 역사탐방 ... 남한산성 4 히스토리2 04-26 756
4279 [한국사] 소소한 역사탐방 ...남한산성 5 히스토리2 04-26 628
4278 [한국사] 요서 지역 성곽 유적 (8) 감방친구 04-26 1283
4277 [한국사] 만주족의 통일과 병자호란1 (2) 히스토리2 04-26 1786
4276 [한국사] 만주족의 통일과 병자호란 2 히스토리2 04-26 827
4275 [한국사] 소소한 역사탐방 -백운동 (강진) 히스토리2 04-27 943
4274 [한국사] 독립운동가 후손이 바라 본 동북아 역사재단 (2) 풍림화산투 04-27 938
4273 [한국사] 거란 동경과 고구려 성의 위치 비정(시각화) (6) 감방친구 04-27 2504
4272 [기타] 거란이 고구려 후예 ? (7) 관심병자 04-27 2099
4271 [한국사] 고구려 혹은 발해로 추정되는 고대 요새 (2) 스파게티 04-27 1141
4270 [기타] 광개토호태왕과 비려(碑麗)..호태왕, 30만 비려군 대… (4) 관심병자 04-27 2028
4269 [한국사] '고구려 타령' 좀 그만! 조선은 충분히 강했다 (11) shrekandy 04-28 2799
4268 [기타] 고려초중반 갑옷및 투구 (7) 응룡 04-28 4938
4267 [한국사] 백제 숫자 맞추기 (8) 물길 04-28 1141
4266 [한국사] 호위대장이 된 한국 근대건축의 아버지 (1) 히스토리2 04-28 1779
4265 [한국사] 고구려 안장왕과 한씨미녀의 사랑 이야기 (1) 히스토리2 04-28 1434
4264 [한국사] 지나에 존재한 또하나의 백제(신동아 기사 발췌) (3) 히스토리2 04-28 1948
4263 [중국] 황후에서 기녀로 자발적 선택을 한 호태후 (2) 히스토리2 04-28 3232
4262 [중국] 인류 역사상 가장 많은 남편을 둔 공주 (3) 히스토리2 04-28 2328
4261 [한국사] 북한의 고구려 성 위치 비정과 수나라 침입로 지도 (10) 꼬마러브 04-28 2229
4260 [한국사] 석(三, 石) 빙고. 3원 28수 비가오랴나 04-29 753
4259 [한국사] 각 시대 사서에 기술된 압록강의 위치 (15) 감방친구 04-29 3707
4258 [한국사] 거란과 고려 접경지 관련 기록 종합 교차 (시각화 지… (8) 감방친구 04-29 2705
 <  581  582  583  584  585  586  587  588  589  5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