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22-06-22 13:49
[한국사] 고구려 시조 성씨와 정권교체에 대한 질문
 글쓴이 : 구름위하늘
조회 : 1,543  

고구려 왕성이 "고"인 것으로 알고 있었고 초기에는 "부여"일 가능성을 알고 있었는데,
다음 자료에서는 초기에는 "해"였다가 모본왕 때에 "고"씨로 왕권 교체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혹시 이에 관련해서 잘 설명해주실 분 있는지요?

http://contents.history.go.kr/mobile/ht/view.do?levelId=ht_001_0030_0030

주몽 신화에는 주몽이 건국 후, 고구려라는 국명에서 왕실의 성씨를 따서 ‘고씨(高氏)’로 칭한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2대 유리왕부터 5대 모본왕까지는 성씨를 ‘해(解)’라고 하였다는 『삼국유사』의 기록이 전하고 있으며, 고구려 본기에도 4대 민중왕과 5대 모본왕의 이름에는 ‘해(解)’가 들어 있다. 이를 통하여 고구려의 왕실 교체를 설명하기도 한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파스크란 22-06-23 12:25
   
     
구름위하늘 22-06-23 16:42
   
오.... 재미있네요.
내용 다 보고, 채널 구독했습니다.

여러가지 가설을 제시하고 있네요.
관심병자 22-06-26 16:00
   
성씨를 보는 시각에서 현대에서의 고정관념이 하나가 있습니다.
고대에서도 성씨를 현대처럼 혈족을 구분하는 용도로 썼을까 하는거죠.
삼국시대 기록부터 보이는 '사성' 이라는 독특한 사례를 봤을때
같은 성씨지만 실제로는 피한방울 안섞인 즉, 혈족이 아닌 사람도 있다는거죠.

대표적 사례가 신라의 삼국 통일후 왕족 성씨를 내린것 입니다.
신라 왕족과 같은 성씨지만 신라 왕족과 혈연 관계가 아닌거죠.
조선시대 부터 내려온 유교문화를 상식으로 알고있는 현대에서는 이해하기 힘든일이되죠.
왕족이 아닌데 왕족과 같은 성씨를 가진다는 부분에서
유교 문화가 들어오기전 고대에서 성씨는 지금의 family 보다는 group의 의미가 더 강하다고 봐야합니다.

신라에 귀화한 고구려 왕족인 고씨가 신라 왕성인 김씨를 사성받고
발해 멸망후 고려에 들어온 발해왕족이 고려 왕족인 왕씨 족보로 편입되는등
고대~고려 시대의 성씨는 현재처럼 혈연만을 구별하기 위한것이 아니었습니다.
관심병자 22-06-26 16:34
   
고조선이나 고구려나 건국설화에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부분이 추대되었다 라는 것입니다.
고구려를 살펴 보면 5부가 중심세력 입니다.
조선처럼 왕 아래 다른권력이 없는 절대 권력으로 통치되던 시대가 아니라 연합, 연맹체 성격의 국가였습니다.
이것은 그당시 신라, 백제 모두 마찬가지 였죠. (신라6촌, 백제8족)
고대 왕권 관련해서 나오는 의문점들도 대부분이 조선시대를 기준으로 고대사를 보는데서 오는 오류입니다.

삼국 국가들의 왕은
왕권이 안정된 조선의 왕보다는 차라리 현재의 미국 대통령의 입장과 비교하는게 더 이해가 정확할것입니다.
미국이 잘돌아가고 있는 연방국가의 표본이죠.
미국 대통령의 권한이 강하긴하지만 여러사례들에서 이권관계에서 지방정부와 대립하기도 하며 그렇게 돌아갑니다.

다시 본론으로 돌아가서
고대의 왕족의 성씨는 조선시대 유교사상이 바탕이된 현재 시점처럼 그런것이 아니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왕족의 성씨라는 것은 당시 그곳에서 가장 강한 세력의 일원이라는 표식같은 것이지,
꼭 그 왕과의 혈연을 의미하지는 않았을수도 있다는것이죠.

해씨도 이러한 상징성을 가진 단어였을거라 생각합니다.
조선의 왕을 국내에서는 '임금' 이라고 불렀습니다.
왕이니 황제니 그런것은 다 중원식 칭호이고
'임금' 이 제대로된 호칭입니다.

왜 해씨를 단어라고 했느냐고 하면,
해가 성씨가 아니었을수도 있습니다.
임금 처럼 왕명앞에 붙이던 칭호였을수도 있다는 말입니다.
여러 부족들이 모여서 왕을 추대하는 연맹체 국가에서 한 일족만이 대를이어 왕자리를 독식한다?
유교사상이 없던 시대라는걸 감안하지 않더라도
전쟁을 통한 정복과 복속을 통해 왕이된것이 아닌
여러 세력이 존재하던 공화제에 가까운 상태에서 선출되었다는걸 생각해보면
여러 해씨왕들은 지금같은 가문 성씨로서의 해씨가 아니었을겁니다.
 
 
Total 20,025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1) 가생이 08-20 92013
4203 [한국사] 발해의 미스터리 - 지배층은 고구려인가? 말갈인가? (5) Attender 03-06 1524
4202 [일본] 호사카 유지 ㅡ 신친일파의 한국 침식이 심각하다 (2) mymiky 11-09 1524
4201 [기타] 상상도 못한 정체, 한글로 단군이라 적힌 동전을 쓰… (1) 관심병자 10-05 1524
4200 [한국사] [쓸모없는 에세이] 멋진 스타일의 옷 - 철릭 (1) 떡국 11-11 1524
4199 [한국사] 고려시대 말기 개인 기록과 고려의 만주 지역 영토 보리스진 12-04 1524
4198 [다문화] 그 어떤 이유로도 사람을 돈주고 사고파는행위는 (8) 둥가지 02-05 1523
4197 [기타] 쩝 마음대로 남의 글 이렇게 퍼와서 자기 글인 마냥 … (3) 콜라캔 07-08 1523
4196 [기타] 우리는 수렵민족인가요? (8) 대은하제국 12-11 1523
4195 [기타] 한국인의 주체성과 도 - 한국인의 사상적 병폐 - 그 … (2) 주체성 07-10 1523
4194 [일본] 벛꽃...바람...그리고 신선조 (1) history2 04-03 1523
4193 [북한] 구소련 비밀문서에서 확실히 밝혀진 사실들.재미있… 돌통 05-14 1523
4192 [한국사] [조금 다른 인류사] 수로왕은 가야가 아니라 ‘가락… (1) 수구리 01-14 1523
4191 [다문화] 진보를 이용해서 문을 쉽게 허물고, 보수를 이용해서… (1) 내셔널헬쓰 11-28 1522
4190 [기타] 인종 구분 (1885–90) 지도 하플로그룹 08-15 1522
4189 [세계사] 일본이 조공을바친걸 가지고 속국이면 (3) mughshou 09-07 1522
4188 [한국사] 영문 위키피디아에 서술된 한국인과 한국 역사 일부… (1) 흑요석 04-17 1522
4187 [한국사] 단군 말살에 앞장 선 「한겨레 21」 (2) 마누시아 06-24 1522
4186 [기타] 현존 가장 오래된 스키 함경남도에서 발견. (8) 샤를마뉴 07-16 1522
4185 [세계사] 세계 고인돌 dolmen 모음 (1) 도배시러 11-09 1522
4184 [기타] [제시] 신립 충주/탄금대전투의 조선군 규모 이설(異… (5) 관심병자 05-19 1522
4183 [한국사] 산서지집요-치우성-기산-수양산-규수 (15) 영종햇살 06-02 1522
4182 [북한] 기생충 이 되살려낸 블랙리스트 의 추억 돌통 02-14 1522
4181 [다문화] 은근히 종교욕 하는 찌질이들... (2) 닥돌진 02-23 1521
4180 [다문화] 맹목적인 ‘다문화담론’ 이제 원칙을 세워야한다 doysglmetp 06-11 1521
4179 [기타] 혹시 하나라가 단군조선과 관계는 없을까요? 괴개 04-30 1521
4178 [베트남] Vietnam 물가지수=교환가치 관련 질문입니다. (1) 아날로그 06-30 1521
4177 [기타] 철령위의 위치 (1) 관심병자 07-01 1521
 <  581  582  583  584  585  586  587  588  589  5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