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8-05-14 04:41
[한국사] 무경총요의 압록강과 신라 흥화진
 글쓴이 : 도배시러
조회 : 1,129  

▶ (송나라) 무경총요 1044년 권22  : 거란/요나라 초기 지리관련

鴨綠水,高麗國西,源出緵緥白山,水色似鴨頭,去遼東五百里。高麗之中也,此水最大,波瀾清澈,恃之以爲天塹,
水闊三百步,在平壤城西北四百五十裏。
水東南二十裏分界,至新羅國興化鎮;自黃土岩二十裏西北至東京八百五十裏,南至海六十裏。

압록수, 고구려高麗國의 서쪽에 있다. 수원은 백산白山이다. 물색이 압두(鴨頭 오리머리)와 같고 요동에서 5백리 떨어져 있다. 

고구려에 있다. 이 하천이 가장 크며 물이 맑고 천참天塹이 된다. 강폭은 3백보이고 평양성 서북 450리에 있다.

압록수는 동남쪽 20리 쯤에서 갈라져서 신라국新羅國의 흥화진興化鎮에 도달한다. [흥화진興化鎮은 삼국사기에 없는 지명]

황토암 20리 서북에서 (요나라 초기) 동경까지 850리이다. 남쪽 해변까지는 60리이다.


압록강 과 가까운 신라 흥화진 ?


.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감방친구 18-05-14 04:52
   
무경총요는 고구려와 구분하기 위해 왕건 고려를 편의상 신라로 적고 있습니다

흥화진은 래원성 동쪽 40리에 있고, 보주는 대릉하 동쪽 20리, 또 보주는 래원성 서쪽 40리에 있다고 무경총요는 적고 있습니다
     
도배시러 18-05-14 04:56
   
글쿤요. 고씨는 고려, 왕씨는 신라...

흥화진은 한반도 압록강 이북에 있는 지명이라 보겟습니다.
감방친구 18-05-14 04:54
   
또 무경총요 기술 압록강은 현 압록강과 현 요하 정보가 초기 동경 위치, 현 요양 위치 등과 뒤섞여 있읍니다
     
도배시러 18-05-14 04:59
   
압록강이 동남으로 흘러간다고하니 관심이 가네요. 이게 가능할려면 혼하 ?
          
감방친구 18-05-14 05:12
   
초기 동경 위치와 연관 있지 않을까 싶네요
뒤죽박죽입니다
도배시러 18-05-14 05:24
   
무경총요는 고구려 압록수와 장백산의 압록강을 구분하네요.  鴨綠水 - 鴨綠江
長白山,在女真故會甯府南六十裏,橫亙千里,高二百里。草木烏獸盡白,故名其顛。
有潭,周八十裏,南流爲鴨綠江,北流爲混同江,東流爲阿也苦河。
     
감방친구 18-05-14 05:40
   
구분하고 있는 듯하지만 뒤죽박죽 섞어 씁니다

1. (동경에서) 東南至鴨綠水九百里

2. 保州,渤海古城,東控鴨綠江新羅國界,仍置榷場,通互市之利。東南至宣化軍四十里,南至海五十里,北至大陵河二十里。

3. 長白山,在女真故會寧府南六十里,橫亙千里,高二百里。草木烏獸盡白,故名其顛。有潭,周八十里,南流為鴨綠江,北流為混同江,東流為阿也苦河。

4. 鴨綠水,高麗國西,源出靺鞨白山,水色似鴨頭,去遼東五百里。高麗之中也,此水最大,波瀾清澈,恃之以為天塹,水闊三百步,在平壤城西北四百五十里。水東南二十里分界,至新羅國興化鎮;自黃土巖二十里西北至東京八百五十里,南至海六十里。

5. 耀州,地控新羅界,胡中要害之地。東至鴨綠江女真界,西至大遼,南至石城,北至東京百五十里。

6. 吉州,三韓古城也,契丹置兵防控新羅諸國。東至石城,西南至鴨綠江,東至大監州百里,西至海。

그런데 전체적 내용을 보면 현 요하를 가리키고 있습니다
          
도배시러 18-05-14 05:44
   
뒤죽박죽이 제법 있네요 ㅋ
 
 
Total 20,022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1) 가생이 08-20 89956
4119 [기타] 세계 각국의 헌법 제1조문 (2) 고이왕 05-13 1176
4118 [한국사] 고려시대 최대 강역 (24) 감방친구 05-13 3240
4117 [한국사] 이런 게 의미가 있나요? (11) 감방친구 05-13 1350
4116 [기타] 고대사학자 심백강 인터뷰 인터뷰(下)- 동아시아의 … (2) 관심병자 05-13 1226
4115 [중국] ‘동북의 왕’ 장쭤린(張作霖)[중국근현대인물사] 1 히스토리2 05-13 972
4114 [중국] ‘동북의 왕’ 장쭤린(張作霖)[중국근현대인물사] 2 (1) 히스토리2 05-13 941
4113 [한국사] 고려시대 강역 (36) 칼리S 05-13 1734
4112 [한국사] 고구려 강역의 서한선 (4) 감방친구 05-13 1714
4111 [한국사] 한국의 읍성 : 낙안읍성 (1) 히스토리2 05-13 957
4110 [한국사] 이 양반들아, 고려가 뭔 동여진을 기미통치해? (6) 감방친구 05-13 1599
4109 [한국사] 일제에 의해 훼손된 화성행궁 (3) 히스토리2 05-13 1831
4108 [한국사] 송나라 도박 05-13 896
4107 [한국사] 고려 때 천리장성(고려 때 지은 제주의 환해장성보다… (8) 히스토리2 05-13 2987
4106 [한국사] 한국의 대표적인 성벽(백제, 신라 , 가야 성곽도 포함 (3) 히스토리2 05-13 1664
4105 [한국사] 조선고적도보에서 찾은 천리장성의 비극 (3) 히스토리2 05-13 1572
4104 [한국사] 객사에 대하여 (조선의 대표적인 관공서) (5) 히스토리2 05-13 1491
4103 [한국사] 천리장성과 만주국 지도 (8) 히스토리2 05-13 2738
4102 [한국사] 무경총요의 압록강과 신라 흥화진 (8) 도배시러 05-14 1130
4101 [한국사] 일본측이 쓴 한반도를 통해 바라본 거란・여진 논문 … (2) 고이왕 05-14 1723
4100 [한국사] 고려를 동경한 조선의 양성지... (3) 고이왕 05-14 1064
4099 [한국사] 고려의 국력을 부러워했던 선조 (7) 고이왕 05-14 1818
4098 [한국사] 고구려 인구 추정(펌) (13) 고이왕 05-14 1655
4097 [한국사] 신라의 북방계 영향의 투구 그림 (4) 고이왕 05-14 1940
4096 [한국사] 고려의 의복 (3) 고이왕 05-14 6215
4095 [기타] 고려 곤룡포의 모습 (7) 응룡 05-14 2772
4094 [한국사] 이성계의 칼 (7) 호랭이해 05-14 1974
4093 [한국사] 일제시대를 배경으로 한 그림엽서들 히스토리2 05-14 981
 <  581  582  583  584  585  586  587  588  589  590  >